CD-DA

Zlzleking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5월 11일 (화) 20:34 판 (새 문서: 오른쪽|300px CD-DA (Compact Disk Digital Audio)는 CD를 사용하여 음원을 담는 규격이다. CD-DA는 1980년에 발표된 C...)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CDDAlogo.svg

CD-DA (Compact Disk Digital Audio)는 CD를 사용하여 음원을 담는 규격이다. CD-DA는 1980년에 발표된 CD의 최초 표준 규격으로서, 이후 정립된 레인보우 북 규격으로는 "레드 북"에 해당한다. 당시 주로 사용되던 LP를 대체하고 디지털 음원을 담기 위해서 설계되었으며 순차 재생을 기본으로 설계되었다.

역사

1948년에 LP가 발표된 이래 음원 시장은 LP와 카세트 테이프와 같은 아날로그 음원 위주로 운영되었다. 하지만 아날로그 매체는 시간이 지나서 열화되거나, 원판과 복제판의 무결성을 보장할 수 없고 재생 중에 지속적으로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고 트랜지스터 앰프의 발전 등 오디오 기술의 발달로 인해 규격의 한계를 맞이하게 되었다. 따라서 시간이 지나거나 복제본을 제작할 때 무결성을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음원 저장 방식이 필요했다.

이에 소니와 필립스는 공동으로 신규 규격을 개발하였고, 1979년에 AES에서 시연하였으며 1980년에 규격을 발표하고 1981년에 상용화하게 되었다. 최초의 CD 음반은 베를린 필하모닉이 연주하고 카라얀이 지휘한 알프스 교향곡이고 ABBA와 같은 대중음악 음반이 CD로 발매됨으로서 활발히 보급되었다.

한국에서는 1986년에 필립스와의 기술 제휴를 통해 SKC가 CD를 생산하기 시작하였으고 세계적으로는 CD가 등장한 후 활발히 LP를 대체하였으나 한국에서는 CD 플레이어와 같은 인프라의 보급과 비싼 음반 가격으로 90년대 초중반이 될때까지 LP와 카세트 테이프 위주로 음반시장이 형성되었으나, 90년대 중반 이후에는 CD로 대체되기 시작하여 2000년대 후반에 이르러서는 카세트 테이프를 대체하였다.

CD는 발표된 이후 소니와 필립스의 특허로 보호되고 있었기 때문에 CD 플레이어 제조사나 음반 제조사는 특허 사용료를 지불해야 했고, 관련한 분쟁도 있었다. 하지만 90년대 말에 이르러서는 상당수의 특허가 만료되었고 2000년대 초중반이 되면 대부분의 특허가 만료되었다.

소니와 필립스는 특허수익의 확보를 위해 이후 포맷인 SACD를 개발하였으나 SACD는 DRM을 위한 각종 제약과 비싼 플레이어와 음반 가격으로 인해 매니아층에만 이용이 한정되는 등 보급에 실패하였다.

기술적 상세

음원

CD-DA는 PCM으로 인코딩된 2채널 스테레오의 44.1khz의 샘플링 레이트를 가진 16비트 음원을 저장한다. 이론상 22.05khz까지의 가청 주파수를 모두 담을 수 있으며, 96db의 다이나믹 레인지를 확보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