궤도 회로

Mykim5902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12월 7일 (목) 17:36 판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철도신호을(를) 삭제함, 분류:철도 신호을(를) 추가함)
  • 軌道回路 / Track Circuit

개요

선로를 열차 내지 차량이 점유중인지 전기적으로 판별하는 회로 장치이다. 철도 신호 자동화의 첫 단추로, 현대 철도 신호의 기본 토대인 자동폐색식의 기초이다.

폐색 내의 레일 각각에 회로 한극씩 물리고, 열차가 폐색에 진입하면 레일에 올라간 차륜에 의해 회로가 단락되어 열차가 점유되었음을 판정하는 것이 기본 원리이며, 열차가 있으면 릴레이(계전기)가 신호를 끊어 신호기가 정지 신호를 현시한다. 같은 원리로 회로가 고장나면 릴레이 신호가 끊기므로 정지가 현시되어 fail-safe를 구성한다.

초기에는 직류회로로 구성되어 단순히 두 레일간의 통전이 이루어지는지 만으로 동작하며 물리적으로 레일의 절연구분이 필요했으나, 현재의 궤도회로는 상시 전류가 흐르는 상태로 단락으로 인해 회로구성의 변경이 이루어짐으로서 동작하며, 고속철도용의 경우 단순 검지 외에 정보의 교환 수단으로서도 사용되며 레일을 물리적으로 절연하지 않고도 동작하는 것으로 발전하였다.

궤도 회로에 주파수를 실어서 정보를 보내면 차상신호(ATC)로 동작하며, 특히 고속철도용의 TVM430 신호장치가 이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참고 자료

  • 궤도회로 일반사항(KR S-04010), 한국철도시설공단, 2017.07.26.
  • 궤도회로 구성(KR S-04020), 한국철도시설공단, 2017.07.26.
  • 궤도회로 종류(KR S-04030), 한국철도시설공단, 2015.07.01.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