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행기록장치

Mykim5902 (토론 | 기여)님의 2018년 1월 6일 (토) 12:48 판 (새 문서: 분류:교통 == 개요 == 운행기록장치는 운송수단의 운행 정보를 기록하여 유지보수 데이터 및 경제운전 분석에 활용하고, 사고시 증거 확...)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개요

운행기록장치는 운송수단의 운행 정보를 기록하여 유지보수 데이터 및 경제운전 분석에 활용하고, 사고시 증거 확보 목적으로 사용한다. 흔히 '블랙박스'라고 하는 데, 이는 항공기의 운항기록장치의 별칭에서 따온 것이며 주로 자동차의 영상기록장치를 블랙박스라고 한다.

자동차

  • 운행기록장치 (타코미터)
    차량의 운행 정보를 기록하는 장치. 속도, RPM, 운전자 조작 등을 기록하며 아날로그식은 기록지에 그래프로 기록, 디지털식은 전자기록으로 보관한다. 여객·화물자동차 운송사업자는 의무적으로 운행기록장치를 부착하여 기록해야 한다.
    '타코미터'라는 별칭이 있는 데 본래 타코미터는 엔진 회전수 계기를 가리키는 말이지만 아날로그식 운행기록장치는 타코미터 부근에 설치했기 때문에 그런 별칭이 붙게 되었다.
  • 영상기록장치 (블랙박스)
    차량의 전·후방을 촬영하면서 사고 발생시 증거를 확보하기 위해 장착한다. 영상 정보이기 때문에 화질이 중요한 요소이며 야간에도 우수한 화질을 유지하면 좋은 제품으로 평가받는다.
  • 사고기록장치 (Event Data Recorder;EDR)
    사고 순간의 차량의 ECU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 OBD 호환 장치만 있으면 충분히 사용할 수 있지만 한국에서는 자동차 제조사 등쌀에 못 이겨서 무용지물로 방치되어 왔다. 2015년부터 EDR 정보 공개를 제조사에게 의무화하였다.

선박

  • Voyage Data Recorder (VDR)

선박의 경우 항해일지를 작성하기 때문에 자동기록장치의 필요성 제기가 상당히 늦은 편이다. 항해일지를 작성하지만 수기 작성의 특성상 승무원의 조작 가능성이 높고, 침수시 훼손되기 쉬워 VDR이 도입되었다.

항공기

  • 음성기록장치 (Cockpit Voice Recoder)
  • 비행기록장치 (Flight Data Recoder)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