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M

Terrazergtoss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6월 9일 (화) 11:30 판 (새 문서: 디지털 권리 관리(Digital rights management / DRM) == 개요 == 소프트웨어를 사용함에 있어 반드시 정품 인증을 거쳐야만 사용할 수 있도록 제한을...)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디지털 권리 관리(Digital rights management / DRM)

개요

소프트웨어를 사용함에 있어 반드시 정품 인증을 거쳐야만 사용할 수 있도록 제한을 가하여 복돌이를 방지하고자 한 소프트웨어 보호 알고리즘의 일종.

...이였어야 하지만 결과적으로는 대실패한 개념이다.

설명

많은 소프트웨어들은 반드시 댓가를 지불하고 사용해야 하는 '상용 소프트웨어'이다. 그러나 물리적 실체가 있는 물건들도 짝퉁이 나돌듯 물리적 실체가 없는 소프트웨어 또한 불법으로 복제되어 이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소프트웨어 개발업체들은 이러한 시도를 최대한 줄여보기 위해 많은 시도를 하였으나 사실 국가도 모든 사람들을 일일히 다 관리감독하는 것은 불가능한데 일개 회사가 그정도로 하는건 더더욱 불가능했고 이에 개발 업체들은 소프트웨어에 잠금장치를 걸어 반드시 인증을 거치도록 함으로서 복제품을 이용하지 못하게 하는 방안을 구사하였으니 이것이 바로 DRM이다.

이렇듯 의도는 좋았지만 정작 결과는 정 반대로 최악이였다. DRM조차 무시하는 복제판들이 등장하기 시작했기 때문. 이른바 크랙이라는 수단을 통해 DRM을 거치지 않고 바로 복제 소프트웨어를 이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것도 문제였지만 더 큰 문제는 정품을 이용하는 이용자들로, 정품 이용자들 입장에서는 DRM을 거쳐야만 소프트웨어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오히려 복돌이보다 더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만 소프트웨어를 이용할 수 있는 역차별을 당하게 된 것이다.

결국 이로 인해 정품 이용자들조차 복돌이들이 쓰는 크랙을 동원하는 등 오히려 복돌짓에 가담하는 결과를 낳게 되었고, 결국 얼마 안 가 기업들도 DRM이 무쓸모하다는 점을 인정하고 DRM을 퇴치하는 작업에 들어가서 이제는 DRM이 전보다 많이 약해진 상황이다. 물론 그렇다고 기업들이 정품 인증 자체를 포기한건 아니여서 인터넷 인증 등 다른 방향으로 바뀌기만 했을 뿐 여전히 인증 제도는 존재한다. 하지만 이것도 결과적으로는 복돌이들은 크랙만 쓰면 다 해결되기 때문에 정품 이용자만 불편한건 사실.

DRM이 얼마나 악랄했는가 하면 락스타 게임즈GTA 시리즈를 예로 들면 GTA 4는 우선 개발사인 락스타의 인증을 거쳐야 한다. 그런데 락스타 인증을 거치면 이번엔 윈도우즈 게임이라고 GFWL의 인증을 거쳐야 한다. 이걸 거치면 그 다음엔 SecuROM 인증을 거쳐야 한다. 여기서 SecuROM 인증 조건 중 하나인 '중복 설치 금지' 조항에 걸리면 정품인데도 게임을 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한다. 예를 들어 '3회 이상 설치 금지'가 조건인 경우 처음 설치를 했다가 하드 공간 확보를 위해 정리하는 과정에서 삭제하고 재설치, 그리고 컴퓨터 포맷을 하고 재설치를 하여 3번 설치를 한 상황이라면 그 다음에 삭제하고 재설치하려 하면 3회를 초과했다고 설치가 안되는 식이다. 정품을 샀는데 쓰지를 못하는 황당한 상황이 연출되는 것이다! 정작 복돌이는 크랙 먹여서 정품 인증 과정따윈 없이 바로 다이렉트하게 게임을 즐기고 몇번이고 재설치가 가능하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되려 정품 쓰는게 바보가 되는 것이다.

기타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