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PVS-5: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25번째 줄: 25번째 줄:
|}
|}


AN/PVS-5, AN/PVS-5A, AN/PVS-5B, AN/PVS-5C는 1973년도부터 미군이 사용한 2세대, 양안형, 수동형 야간투시경이다. AN/PVS-5D를 제외하면 전부 다 2세대 장비이며 지상형은 나중에 3세대 야간투시경인 AN/PVS-7으로 교체되었다.
AN/PVS-5, AN/PVS-5A, AN/PVS-5B, AN/PVS-5C는 1973년부터 미군이 사용한 2세대, 양안형, 수동형 야간투시경이다. AN/PVS-5D를 제외하면 전부 다 2세대 장비며 지상형은 후에 3세대 야간투시경인 AN/PVS-7으로 교체됐다.


언제까지 사용되었는지는 확실치 않지만 항공용으로는 최소한 테러와의 전쟁 초기까지 사용되었다. 9.11 테러가 일어난지 15일 CIA의 비밀공작 부대인 CIA SAD(미 중앙정보부 산하 특수활동부)가 선견작전을 위해서 아프가니스탄에 잠입할때 CIA가 보유한 동구권제 Mi-17 헬기로 침투하였다. 이 때 CIA의 헬기 조종사가 사용한 야간투시경이 AN/PVS-5C(혹은 AN/PVS-5D)이다. AN/PVS-5는 이후 항구적 자유 작전(Operation Enduring Freedom)을 지원할때도 계속 사용되었다. <ref>https://twitter.com/CIA/status/1173693861283147776?s=20 CIA의 공식 트위터 주소.</ref>
언제까지 사용되었는지는 확실치 않지만 항공용으로는 최소 테러와의 전쟁 초기까지 사용됐다. 9.11 테러 CIA 소속 비밀공작 부대인 CIA SAD(미 중앙정보부 산하 특수활동부)의 아프가니스탄 침투를 위해 Mi-17 헬기로 침투했다. 이 때 CIA의 헬기 조종사가 사용한 야간투시경이 AN/PVS-5C(혹은 AN/PVS-5D)이다. AN/PVS-5는 이후 항구적 자유 작전(Operation Enduring Freedom)을 지원할때도 계속 사용되었다. <ref>https://twitter.com/CIA/status/1173693861283147776?s=20 CIA 공식 트위터 주소.</ref>


== 각 야간투시경 파생형 ==
== 각 야간투시경 파생형 ==
AN/PVS-5D와 AN/PVS-5 야간투시경 시리즈의 시제품인 SU-50, 항공용 야간투시경 두종을 제외한 AN/PVS-5 야간투시경의 파생형을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AN/PVS-5A, AN/PVS-5B, AN/PVS-5C로 나뉘어져 있는데 모두 기본 AN/PVS-5의 개조형이며 1973년도부터 보급이 시작되었다.
AN/PVS-5D와 AN/PVS-5 야간투시경 시리즈의 시제품인 SU-50, 항공용 야간투시경 두 종을 제외하면 AN/PVS-5 야간투시경의 파생형을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AN/PVS-5A, AN/PVS-5B, AN/PVS-5C로 나뉘어져 있는데 모두 기본 AN/PVS-5의 개조형이며 1973년도부터 보급이 시작되었다.


=== 지상 및 항공용 ===
=== 지상 및 항공용 ===
42번째 줄: 42번째 줄:
1984년 미 공군의 AN/PVS-5A 야간투시경 교육 장면.
1984년 미 공군의 AN/PVS-5A 야간투시경 교육 장면.


AN/PVS-5는 1세대와 2세대 영상증폭관을 혼용 사용하는 위의 SU-50와는 달리 모든 영상증폭관을 2세대로 사용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영상증폭관의 구조와 렌즈 부분이 일부 다르고 시야각이 60도에서 40도로 축소된 대신 해상도가 개선되었다.
AN/PVS-5는 1세대와 2세대 영상증폭관을 혼용하는 SU-50와는 달리 모든 영상증폭관을 2세대로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영상증폭관의 구조와 렌즈 부분이 일부 다르고 시야각이 60도에서 40도로 축소된 대신 해상도가 개선됐다.


AN/PVS-5A는 AN/PVS-5와 비슷해보이지만 다른 야간투시경이다. AN/PVS-5A는 영상증폭관 조립체가 개선되었으며 실수로 IR 라이트가 작동되는 일을 막기 위해서 로터리 스위치 조작 방식이 뽑아서 돌리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접안렌즈 또한 달라졌으며 이 때문에 AN/PVS-5와 AN/PVS-5A간의 호환이 불가능하다.
AN/PVS-5A는 AN/PVS-5와 비슷해보이지만 다른 야간투시경이다. AN/PVS-5A는 영상증폭관 조립체가 개선되었으며 실수로 IR 라이트가 작동되는 일을 막기 위해서 로터리 스위치 조작 방식이 뽑아서 돌리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접안렌즈 또한 달라졌으며 이 때문에 AN/PVS-5와 AN/PVS-5A간의 호환이 불가능하다.
49번째 줄: 49번째 줄:


==== AN/PVS-5B ====
==== AN/PVS-5B ====
AN/PVS-5A는 F/1.4 대물렌즈가 장착되었지만 AN/PVS-5B는 F/1.2 대물렌즈가 장착되었고 이 때문에 AN/PVS-5B의 경우 영상증폭관이 50% 더 많은 빛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 가능한 배터리가 한종류 더 늘어났는데 1.5 볼트 알카라인 AA 배터리(BA-3058/U)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AN/PVS-5A는 F/1.4 대물렌즈가 장착되었지만 AN/PVS-5B는 F/1.2 대물렌즈가 장착되었고 이 때문에 AN/PVS-5B의 경우 영상증폭관이 50% 더 많은 빛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 가능한 배터리가 한종류 더 늘어났는데 1.5 볼트 알카라인 AA 배터리(BA-3058/U)를 사용할 수 있게 됐다.


==== AN/PVS-5C ====
==== AN/PVS-5C ====
[[파일:ANPVS-5(2).jpeg]]
[[파일:ANPVS-5(2).jpeg]]


1989년 PacEx(태평양 군사훈련)중 타라와급 강습상륙함인 LHA-5(Peleliu)에서 AN/PVS-5C 야간투시경을 쓰고 있는 미 해병대원의 모습.
1989년 PacEx(태평양 군사훈련)중 강습상륙함 LHA-5(Peleliu)에서 AN/PVS-5C 야간투시경을 쓰고 있는 미 해병대원.


AN/PVS-5B 보다 더 긴 대물렌즈가 적용되었고 자동 차단기능(high-light cutoff)이 있다는게 특징인데 야간투시경이 고광량 환경에 노출되었을시 약 1분동안 야간투시경이 정지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점 때문에 AN/PVS-5C는 항공용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사용 가능한 전원은 AN/PVS-5B에서 하나 더 늘어나 BA-5567 리튬 배터리나 BA-3058 AA 알카라인 배터리를 사용한다.
AN/PVS-5B 보다 더 긴 대물렌즈가 적용되었고 자동 차단기능(high-light cutoff)이 있다는게 특징인데 야간투시경이 고광량 환경에 노출되었을시 약 1분동안 야간투시경이 정지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점 때문에 AN/PVS-5C는 항공용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사용 가능한 전원은 AN/PVS-5B에서 하나 더 늘어나 BA-5567 리튬 배터리나 BA-3058 AA 알카라인 배터리를 사용한다.
64번째 줄: 64번째 줄:


=== 항공용 ===
=== 항공용 ===
AN/PVS-5는 70년대 중반부터 항공용 야간투시경으로 채택되었다.<ref>AGARD Conference Proceedings No.379 - Visual Protection and Enhancement</ref> 영상증폭관을 하나만 사용하는 AN/PVS-7이나 AN/PVS-14과는 달리 두개를 사용하며 양안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헬기 기동에 중요한 원근감 파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AN/PVS-5는 70년대 중반부터 항공용 야간투시경으로 채택되었다.<ref>AGARD Conference Proceedings No.379 - Visual Protection and Enhancement</ref> 영상증폭관을 하나만 사용하는 AN/PVS-7이나 AN/PVS-14과는 달리 두개를 사용한다. 양안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헬기 기동에 중요한 원근감 파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 GM-6(V)1 / GM-6(V)2 ====
==== GM-6(V)1 / GM-6(V)2 ====
GM-6(V)1과 GM-6(V)2는 항공용으로 제작된 모델이다. GM-6(V)1과 GM-6(V)2는 거의 같은 야간투시경이다. GM-6(V)1은 센터 마운트 형식이지만 GM-6(V)2는 오프셋 마운트 형식이라는 것이 차이점이며 이 외에는 기본적으로 같은 모델이다. 전원은 헬멧 후방에다가 장착하는 배터리 팩으로 공급되는데 BA-5567/U 리튬 배터리나 BA-3058/U AA 알카라인 배터리이다.  
GM-6(V)1과 GM-6(V)2는 항공용으로 제작된 모델이다. GM-6(V)1과 GM-6(V)2는 거의 같은 야간투시경이다. GM-6(V)1은 센터 마운트 형식이지만 GM-6(V)2는 오프셋 마운트 형식이라는 것이 차이점이며 이 외에는 기본적으로 같은 모델이다. 전원은 헬멧 후방에다가 장착하는 배터리 팩으로 공급되는데 BA-5567/U 리튬 배터리나 BA-3058/U AA 알카라인 배터리다.  


사용 헬멧은 SPH-4(특수보호헬멧, 모델 4 / Special Protective Headgear, Model 4)라는 이름의 항공용 헬멧인데 헬멧 자체 중량은 SPH-4 기준으로 약 1.54 kg, SPH-4B는 약 1.31 kg이다.
사용 헬멧은 SPH-4(특수보호헬멧, 모델 4 / Special Protective Headgear, Model 4)라는 이름의 항공용 헬멧인데 헬멧 자체 중량은 SPH-4 기준으로 약 1.54 kg, SPH-4B는 약 1.31 kg이다.
74번째 줄: 74번째 줄:
[[파일:PVS-5_cutaway_version.jpg]]
[[파일:PVS-5_cutaway_version.jpg]]


항공용 야간투시경 중에서도 소형화 및 경량화 모델(cutaway version)이 있는데, AN/PVS-5의 특징인 안면 보호대(faceplate)를 깍아내었다. 기존 야간투시경에 비해 무게와 부피가 경감되었고, 야간투시경 아래쪽을 바라볼 수 있는데 이 덕분에 지도나 계기판 등을 바로 확인할 수 있는데다가 야간투시경을 벗지 않아도 렌즈 조정 등의 작업을 할 수 있게 되었다. 후자의 장점은 꽤나 중요한데, 야간투시경을 벗거나 하는 등의 번거로운 작업 없이도 렌즈를 즉각 조정할 수 있다. 꽤나 괜찮은 개량형 모델이었지만 새로운 야간투시경 모델이 도입(introduced a new one)되었다. <ref>USAARL Report No. 88-12 </ref>
항공용 야간투시경 중에서도 소형화 및 경량화 모델(cutaway version)이 있는데, AN/PVS-5의 특징인 안면 보호대(faceplate)를 제거했다. 기존 야간투시경에 비해 무게와 부피가 경감됐으며, 야간투시경 아래쪽을 바라볼 수 있기 때문에 지도나 계기판 등을 바로 확인할 수 있는데다가 야간투시경을 벗지 않아도 렌즈 조정 등의 작업을 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해당 개량형은 도입되지 않았고 새로운 야간투시경이 도입(introduced a new one)됐다. <ref>USAARL Report No. 88-12 </ref>


=== 기타 ===
=== 기타 ===
86번째 줄: 86번째 줄:
KAN/PVS-5A 야간투시경의 모습.
KAN/PVS-5A 야간투시경의 모습.


KAN/PVS-5A는 83년도 당시 삼성전자에서 생산을 시작한 야간투시경이다.  중량은 0.9 kg, 전장은 16 cm이고 탐지거리는 100~200m, 배율은 1배율이다. 해당 야간투시경은 KAN/PVS-4와 같은 2세대 야간 투시장비이며 97년도 부터 KAN/PVS-7으로 교체가 시작되었다.
KAN/PVS-5A는 83년도 당시 삼성전자에서 생산을 시작한 야간투시경이다.  중량은 0.9 kg, 전장은 16 cm고 탐지거리는 100~200m, 배율은 1배율이다. 해당 야간투시경은 KAN/PVS-4와 같은 2세대 야간 투시장비이며 97년도 부터 KAN/PVS-7으로 교체가 시작되었다.


장비 노후화가 심하고 3세대가 아닌 2세대 장비라서 현재 대부분의 부대에서는 KAN/PVS-7이나 PVS-04K로 대체되었으며 창고에 저장해놓고 야간투시경 수량이 부족할 때와 같은 상황에서 예비용으로 사용한다.
장비 노후화가 심하고 3세대가 아닌 2세대 장비다. 현재 대부분의 부대에선 KAN/PVS-7이나 PVS-04K로 대체되었으며 창고에 저장해놓고 예비용으로 사용한다.


=== 이스라엘 ===
=== 이스라엘 ===
ORTEK사에서 만든 Type 5157이 있다. 외형은 AN/PVS-5(A)다.
ORTEK사에서 만든 Type 5157이 있다. 하우징은 AN/PVS-5(A)다.


=== 일본 (JGVS-V3) ===
=== 일본 (JGVS-V3) ===
98번째 줄: 98번째 줄:
JGVS-V3-B 야간투시경의 모습.
JGVS-V3-B 야간투시경의 모습.


JGVS-V3는 일본 자위대에서 사용하는 야간투시 장비이다. 특이하게도 사진의 야간투시경은 AN/PVS-5(A)와 비슷하지만 다른 형상을 띠고있으며 AN/PVS-5B와 형상이 다름에도 B 모델이라고 지칭하는 것으로 보아 장비 구분 및 명명법이 미군과 다른 것으로 보인다.
JGVS-V3는 일본 자위대에서 사용하는 야간투시 장비다. 특이하게도 사진의 야간투시경은 AN/PVS-5(A)와 비슷하지만 다른 형상을 띠고있으며 AN/PVS-5B와 형상이 다름에도 B 모델이라고 지칭하는 것으로 보아 장비 구분 및 명명법이 미군과 다른 것으로 보인다.


=== 중화민국 ===
=== 중화민국 ===
중화민국에서도 다량의 AN/PVS-5A를 구매했었으며 자체 생산시설들을 보유하려고 시도하였다.
중화민국에서도 다량의 AN/PVS-5A를 구매했으며 자체 생산시설을 보유하려고 시도했다.


= 연관 문서 =
= 연관 문서 =

2020년 8월 8일 (토) 20:13 판


ANPVS-5.jpeg

1984년 5월 9일, 제295 헌병중대 4소대 소속 병사가 기지 순찰중 렌즈 덮개를 씌운 AN/PVS-5A 야간투시경을 쓰고 있는 모습.

개요

ANPVS-5(4).jpeg

제원목록 설명
시야각 40도
초점거리 254mm(10인치)에서 무한대
영상증폭관 성능 2세대 (AN/PVS-5, AN/PVS-5A, AN/PVS-5B, AN/PVS-5C)
3세대 (AN/PVS-5D)
중량 약 0.68 kg
부피 17.2cm x 16.5cm x 11.4cm (높이×길이×폭)
운용 온도 -18℃~51℃

AN/PVS-5, AN/PVS-5A, AN/PVS-5B, AN/PVS-5C는 1973년부터 미군이 사용한 2세대, 양안형, 수동형 야간투시경이다. AN/PVS-5D를 제외하면 전부 다 2세대 장비며 지상형은 후에 3세대 야간투시경인 AN/PVS-7으로 교체됐다.

언제까지 사용되었는지는 확실치 않지만 항공용으로는 최소 테러와의 전쟁 초기까지 사용됐다. 9.11 테러 후 CIA 소속 비밀공작 부대인 CIA SAD(미 중앙정보부 산하 특수활동부)의 아프가니스탄 침투를 위해 Mi-17 헬기로 침투했다. 이 때 CIA의 헬기 조종사가 사용한 야간투시경이 AN/PVS-5C(혹은 AN/PVS-5D)이다. AN/PVS-5는 이후 항구적 자유 작전(Operation Enduring Freedom)을 지원할때도 계속 사용되었다. [1]

각 야간투시경 파생형

AN/PVS-5D와 AN/PVS-5 야간투시경 시리즈의 시제품인 SU-50, 항공용 야간투시경 두 종을 제외하면 AN/PVS-5 야간투시경의 파생형을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AN/PVS-5A, AN/PVS-5B, AN/PVS-5C로 나뉘어져 있는데 모두 기본 AN/PVS-5의 개조형이며 1973년도부터 보급이 시작되었다.

지상 및 항공용

SU-50

AN/PVS-5 야간투시경 시리즈의 시제품격 되는 장비이다. 1971년에 베트남에서 실전 투입이 시작된 야간투시경이며 1973년도부터 AN/PVS-5 야간투시경 시리즈로 대체되었다. 이 야간투시경은 지상용과 항공용 모두 사용된 야간투시경이기도 하다.

지상용

AN/PVS-5 및 AN/PVS-5A

ANPVS-5(3).jpeg

1984년 미 공군의 AN/PVS-5A 야간투시경 교육 장면.

AN/PVS-5는 1세대와 2세대 영상증폭관을 혼용하는 SU-50와는 달리 모든 영상증폭관을 2세대로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영상증폭관의 구조와 렌즈 부분이 일부 다르고 시야각이 60도에서 40도로 축소된 대신 해상도가 개선됐다.

AN/PVS-5A는 AN/PVS-5와 비슷해보이지만 다른 야간투시경이다. AN/PVS-5A는 영상증폭관 조립체가 개선되었으며 실수로 IR 라이트가 작동되는 일을 막기 위해서 로터리 스위치 조작 방식이 뽑아서 돌리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접안렌즈 또한 달라졌으며 이 때문에 AN/PVS-5와 AN/PVS-5A간의 호환이 불가능하다.

기타 사항으로 이 야간투시경은 영국군의 최정예 특수전 부대인 SAS(Special Air Service)에서 사용한 야간투시경 모델이기도 하다. [2]

AN/PVS-5B

AN/PVS-5A는 F/1.4 대물렌즈가 장착되었지만 AN/PVS-5B는 F/1.2 대물렌즈가 장착되었고 이 때문에 AN/PVS-5B의 경우 영상증폭관이 50% 더 많은 빛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 가능한 배터리가 한종류 더 늘어났는데 1.5 볼트 알카라인 AA 배터리(BA-3058/U)를 사용할 수 있게 됐다.

AN/PVS-5C

ANPVS-5(2).jpeg

1989년 PacEx(태평양 군사훈련)중 강습상륙함 LHA-5(Peleliu)에서 AN/PVS-5C 야간투시경을 쓰고 있는 미 해병대원.

AN/PVS-5B 보다 더 긴 대물렌즈가 적용되었고 자동 차단기능(high-light cutoff)이 있다는게 특징인데 야간투시경이 고광량 환경에 노출되었을시 약 1분동안 야간투시경이 정지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점 때문에 AN/PVS-5C는 항공용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사용 가능한 전원은 AN/PVS-5B에서 하나 더 늘어나 BA-5567 리튬 배터리나 BA-3058 AA 알카라인 배터리를 사용한다.

AN/PVS-5D

인터넷에서 있는 정보들을 보면 AN/PVS-5C의 본체를 사용하며 2세대 영상증폭관을 사용하는 AN/PVS-5, AN/PVS-5A, AN/PVS-5B, AN/PVS-5C와는 달리 3세대 영상증폭관을 사용한다고 나와있다. [3]

'US Navy - Electronics Technician - 9 - Electro-Optics'에 따르면 AN/PVS-5C를 AN/PVS-5D로 교체하는 계획이 언급되었고 외국의 어느 한 야간투시경 포럼에 따르면 미국의 정부기관에선 사용한다고 한다. [4]

항공용

AN/PVS-5는 70년대 중반부터 항공용 야간투시경으로 채택되었다.[5] 영상증폭관을 하나만 사용하는 AN/PVS-7이나 AN/PVS-14과는 달리 두개를 사용한다. 양안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헬기 기동에 중요한 원근감 파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GM-6(V)1 / GM-6(V)2

GM-6(V)1과 GM-6(V)2는 항공용으로 제작된 모델이다. GM-6(V)1과 GM-6(V)2는 거의 같은 야간투시경이다. GM-6(V)1은 센터 마운트 형식이지만 GM-6(V)2는 오프셋 마운트 형식이라는 것이 차이점이며 이 외에는 기본적으로 같은 모델이다. 전원은 헬멧 후방에다가 장착하는 배터리 팩으로 공급되는데 BA-5567/U 리튬 배터리나 BA-3058/U AA 알카라인 배터리다.

사용 헬멧은 SPH-4(특수보호헬멧, 모델 4 / Special Protective Headgear, Model 4)라는 이름의 항공용 헬멧인데 헬멧 자체 중량은 SPH-4 기준으로 약 1.54 kg, SPH-4B는 약 1.31 kg이다.

소형화 및 경량화 모델

PVS-5 cutaway version.jpg

항공용 야간투시경 중에서도 소형화 및 경량화 모델(cutaway version)이 있는데, AN/PVS-5의 특징인 안면 보호대(faceplate)를 제거했다. 기존 야간투시경에 비해 무게와 부피가 경감됐으며, 야간투시경 아래쪽을 바라볼 수 있기 때문에 지도나 계기판 등을 바로 확인할 수 있는데다가 야간투시경을 벗지 않아도 렌즈 조정 등의 작업을 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해당 개량형은 도입되지 않았고 새로운 야간투시경이 도입(introduced a new one)됐다. [6]

기타

M-802, M908, M909

리톤 사에서 만든 야간투시경이다.

미국 외 국가들의 AN/PVS-5

한국 (KAN/PVS-5A)

KANPVS-5A.jpg

KAN/PVS-5A 야간투시경의 모습.

KAN/PVS-5A는 83년도 당시 삼성전자에서 생산을 시작한 야간투시경이다. 중량은 0.9 kg, 전장은 16 cm고 탐지거리는 100~200m, 배율은 1배율이다. 해당 야간투시경은 KAN/PVS-4와 같은 2세대 야간 투시장비이며 97년도 부터 KAN/PVS-7으로 교체가 시작되었다.

장비 노후화가 심하고 3세대가 아닌 2세대 장비다. 현재 대부분의 부대에선 KAN/PVS-7이나 PVS-04K로 대체되었으며 창고에 저장해놓고 예비용으로 사용한다.

이스라엘

ORTEK사에서 만든 Type 5157이 있다. 하우징은 AN/PVS-5(A)다.

일본 (JGVS-V3)

JGVS-V3-B.jpg

JGVS-V3-B 야간투시경의 모습.

JGVS-V3는 일본 자위대에서 사용하는 야간투시 장비다. 특이하게도 사진의 야간투시경은 AN/PVS-5(A)와 비슷하지만 다른 형상을 띠고있으며 AN/PVS-5B와 형상이 다름에도 B 모델이라고 지칭하는 것으로 보아 장비 구분 및 명명법이 미군과 다른 것으로 보인다.

중화민국

중화민국에서도 다량의 AN/PVS-5A를 구매했으며 자체 생산시설을 보유하려고 시도했다.

연관 문서

출처

  • 국방과 기술 (2001.05) - 개인화기 조준경 개발방향 (1)
  • USAARL Report No. 98-28
  • 일본어 위키피디아
  • US Navy - Electronics Technician - 9 - Electro-Optics
  • TC 21-305-2
  • TM 11-5855-238-23&P
  • COMPARISON TEST OF DRIVERS NIGHT VISION DEVICES, M60 SERIES (AD-AO18 187)
  • PVS-5(V) - Archived 2/97
  1. https://twitter.com/CIA/status/1173693861283147776?s=20 CIA 공식 트위터 주소.
  2. 2017년 중 영국 런던 소재의 Imperial War Museum을 방문, 확인하였음.
  3. AN/PVS-5D Dual Tube Goggles
  4. Night Vision Forum at Nightvisionforums.com • View topic - Surplus PVS/14's?
  5. AGARD Conference Proceedings No.379 - Visual Protection and Enhancement
  6. USAARL Report No. 8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