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H-35: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59번째 줄: 59번째 줄:
대함미사일 한발로 최신 구축함을 격추시킨 이 사건으로 시 스키밍형 대함미사일은 소련 해군의 관심을 끌게 되었다.
대함미사일 한발로 최신 구축함을 격추시킨 이 사건으로 시 스키밍형 대함미사일은 소련 해군의 관심을 끌게 되었다.
==기능==
==기능==
하푼과 동체급의 유사 무기체계이나 실제 설계 이념은 엑조세를 추종했다.
 
===자체 성능===
우란은 시 스키밍 형 아음속 대함미사일에 속하기 때문에 저공비행으로 적함의 방공망을 회피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우란은 시 스키밍 형 아음속 대함미사일에 속하기 때문에 저공비행으로 적함의 방공망을 회피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68번째 줄: 67번째 줄:


탄두 중량은 하푼의 반인 145kg 의 관통형 고폭탄두를 사용하기 때문에 타격력은 하푼에 비해 떨어진다.
탄두 중량은 하푼의 반인 145kg 의 관통형 고폭탄두를 사용하기 때문에 타격력은 하푼에 비해 떨어진다.
===운용성===
==운용==
터보팬 엔진을 사용하는 아음속 대함미사일인 우란은 공격기와 호위함급 함정을 비롯해 헬기,고속정 같은 플랫폼도 운용이 가능한 경량 대함미사일을 지향하고 있으며 소련 붕괴 후 러시아 해군의 신세대 미사일로 배치되었다.
터보팬 엔진을 사용하는 아음속 대함미사일인 우란은 공격기와 호위함급 함정을 비롯해 헬기,고속정 같은 플랫폼도 운용이 가능한 경량 대함미사일을 지향하고 있으며 소련 붕괴 후 러시아 해군의 신세대 미사일로 배치되었다.



2020년 4월 30일 (목) 10:54 판

{{{무기이름}}}
Kh-35E fol maks2009.jpg
무기 정보
종류 대함 순항미사일(아음속)
길이 4.4/3.85m
0.42m

Х-35 Уран

Kh-35 우란소련과 러시아의 대함 미사일이다.

동구권의 아음속 대함미사일인 우란은 하푼과 유사해 하푼스키라는 별칭이 있으나 엑조세 신드롬으로 인해 만들어진 소련식 엑조세에 가깝다. 시스키밍 방식의 소형함과 항공기용 대함미사일을 지향했으며 스틱스를 비롯한 대형 미사일들을 대체해 현대 러시아 해군의 표준 대함무장으로 사용중이다.

이름인 우란은 우라늄을 뜻한다.

개발

1981년 포클랜드 전쟁에서 아르헨티나 공군 슈페르 에땅다르에서 발사한 엑조세 한발이 영국 구축함 셰필드를 격침시킨 사건은 관련국들 뿐만 아니라 소련에게도 큰 충격으로 다가왔다.

대함미사일 한발로 최신 구축함을 격추시킨 이 사건으로 시 스키밍형 대함미사일은 소련 해군의 관심을 끌게 되었다.

기능

우란은 시 스키밍 형 아음속 대함미사일에 속하기 때문에 저공비행으로 적함의 방공망을 회피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순항 고도는 해수면 기준 15m 내외의 고도를 비행하고 목표 돌입시 3m 까지 고도를 낮추어 비행한다. 아음속 미사일이라 속도 자체는 큰 의미가 없긴 하나 최대 속도는 M 0.85 정도로 다른 아음속 미사일과 거의 동일한 수준의 속도이다. 사거리는 기본형이 130km대나 개량형은 250km까지 사거리가 증대돼 서방권의 대함미사일과 동등한 수준이다.

탄두 중량은 하푼의 반인 145kg 의 관통형 고폭탄두를 사용하기 때문에 타격력은 하푼에 비해 떨어진다.

운용

터보팬 엔진을 사용하는 아음속 대함미사일인 우란은 공격기와 호위함급 함정을 비롯해 헬기,고속정 같은 플랫폼도 운용이 가능한 경량 대함미사일을 지향하고 있으며 소련 붕괴 후 러시아 해군의 신세대 미사일로 배치되었다.

공대함 사항은 MiG-29와 Su-27계열의 전투기들 외에도 러시아제 지상공격기의 무장으로 보편화 되어 있으며 공격헬기에 장착이 가능한 사항도 있다.

함대함 사항은 주로 경사발사대에서 발사되는데 구축함급 이하 함정들에 주로 탑재되며 최근에 배치된 우샤코프급 호위함과 스트레구시급 초계함을 비롯해 소형함 및 고속함의 무장으로 운용된다.

우달로이급 구축함도 개량 계획에 우란 탑재가 제안되어 있어 실현화 된다면 우란의 운용 폭은 더 넓어지게 된다.

파생형

금성3호

운용국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