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정당: 두 판 사이의 차이

< 영국
(새 문서: == 역사 == 19세기 중반 이전에 영국의 정치Whigs와 토리당Tories에 의해 지배되었다. 이들은 현대적 의미로...)
태그: 분류가 필요합니다!
 
(미완. 작성중)
1번째 줄: 1번째 줄:
== 역사 ==
== 역사 ==
19세기 중반 이전에 [[영국/정치|영국의 정치]]는 [[휘그당 (영국)|Whigs]]와 [[토리당Tories에 의해 지배되었다. 이들은 현대적 의미로는 정당이 아니라 이해와 개인의 다소 느슨한 동맹관계였다. 휘스에는 개신교 왕위계승에 헌신한 대표적인 귀족 왕조가 다수 포함되었고, 이후 신흥 산업 이익과 부유한 상인들의 요소로부터 지지를 이끌어 냈으며, 토리당은 상륙한 젠트리, 영국 교회, 스코틀랜드 교회와 연관되어 있었다.
영국에서 의회정치가 활성된 이례 17세기 이후부터 19세기 중반 이전에 [[영국/정치|영국의 정치]]는 [[휘그당 (영국)|Whigs]]와 [[토리당|Tories]]에 의해 지배되었다. 이들은 현대적 의미로는 정당보다는 개인, 집단들의 이해관계에 의한 다소 느슨한 동맹관계였다. Whigs(휘그당)에는 개신교 왕위계승에 헌신한 대표적인 귀족 왕조도 다수 포함되었고, 이후 신흥 산업 이익과 부유한 상인들의 요소로부터 지지를 이끌어 냈으며, Tories(토리당)는 젠트리(=신사) 계급, 영국 교회, 스코틀랜드 교회와 연관되어 있었다.<ref>당시 휘그당은 진보 혹은 중도좌파 정당이라고 보기 힘들었다. 당시까지만 해도 영국 정치는 매우 보수적이였으며 토리당이 워낙 왕당파 수구보수 정당이라 휘그당도 상대적인 진보에 가까웠다. 당장 근대 보수주의의 아버지 에드먼드 버크가 토리당이 아닌 휘그당 출신이였으니 말 다했다.</ref>
 
19세기 중반까지 여러 정치적 변화들을 거쳐 토리당은 [[에드먼드 버크]]의 사상을 수용한 '[[보수당 (영국)|보수당]]'으로, 휘그당은 보수색을 많이 버리고 좀 더 진보적인 [[자유주의]] 이념을 수용한 자유당으로 진화했다. 우파와 좌파의 개념은 원래 프랑스로부터 온 것인데, 19세기 후반 자유당은  좀 더 중도좌파 쪽으로 기울기 시작했다. 그러자 자유당 내 기성 보수파(영국 연합주의자)들은 [https://en.wikipedia.org/wiki/Irish_Home_Rule_movement 아일랜드의 민족주의 운동]에 대한 대응책을 놓고 타협적인 진보파들과 입장이 출돌해서 갈라섰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보수파들은 보수당에 더 가까이 다가갔으며 1920년대 자유당이 신흥 좌익정당인 노동당에 지지세가 밀림에 따라 자유당 내 보수파들은 보수당으로 당적을 옮긴다.<ref>그 중 하나가 [[윈스턴 처칠]](!!)이다.</ref>

2019년 7월 7일 (일) 11:20 판

역사

영국에서 의회정치가 활성된 이례 17세기 이후부터 19세기 중반 이전에 영국의 정치WhigsTories에 의해 지배되었다. 이들은 현대적 의미로는 정당보다는 개인, 집단들의 이해관계에 의한 다소 느슨한 동맹관계였다. Whigs(휘그당)에는 개신교 왕위계승에 헌신한 대표적인 귀족 왕조도 다수 포함되었고, 이후 신흥 산업 이익과 부유한 상인들의 요소로부터 지지를 이끌어 냈으며, Tories(토리당)는 젠트리(=신사) 계급, 영국 교회, 스코틀랜드 교회와 연관되어 있었다.[1]

19세기 중반까지 여러 정치적 변화들을 거쳐 토리당은 에드먼드 버크의 사상을 수용한 '보수당'으로, 휘그당은 보수색을 많이 버리고 좀 더 진보적인 자유주의 이념을 수용한 자유당으로 진화했다. 우파와 좌파의 개념은 원래 프랑스로부터 온 것인데, 19세기 후반 자유당은 좀 더 중도좌파 쪽으로 기울기 시작했다. 그러자 자유당 내 기성 보수파(영국 연합주의자)들은 아일랜드의 민족주의 운동에 대한 대응책을 놓고 타협적인 진보파들과 입장이 출돌해서 갈라섰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보수파들은 보수당에 더 가까이 다가갔으며 1920년대 자유당이 신흥 좌익정당인 노동당에 지지세가 밀림에 따라 자유당 내 보수파들은 보수당으로 당적을 옮긴다.[2]

  1. 당시 휘그당은 진보 혹은 중도좌파 정당이라고 보기 힘들었다. 당시까지만 해도 영국 정치는 매우 보수적이였으며 토리당이 워낙 왕당파 수구보수 정당이라 휘그당도 상대적인 진보에 가까웠다. 당장 근대 보수주의의 아버지 에드먼드 버크가 토리당이 아닌 휘그당 출신이였으니 말 다했다.
  2. 그 중 하나가 윈스턴 처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