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수: 두 판 사이의 차이

8번째 줄: 8번째 줄:
군대에서 필요한 물품을 조달하는 것을 군수라 하며, 전쟁의 승패를 가르는 일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아무리 좋은 군대에 고성능의 무기들과 군장비들을 가지더라도 군수가 엉망이면 야전까지 무기, 부속, 소모품, 식량, 피복 등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진 것이나 마찬가지다.
군대에서 필요한 물품을 조달하는 것을 군수라 하며, 전쟁의 승패를 가르는 일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아무리 좋은 군대에 고성능의 무기들과 군장비들을 가지더라도 군수가 엉망이면 야전까지 무기, 부속, 소모품, 식량, 피복 등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진 것이나 마찬가지다.


이걸 대표적으로 잘하는 군대으로 미군과 중공군이 있다. 미군의 군수 능력은 2번의 세계대전으로 잘 증명되어 있고, 세계에서 둘째가라면 서러울 규모의 물류를 처리한다. 반대로 중공군은 평가가 다소 낮은 편인데, 대체로 6.25때 중공인민지원군이 대충 짐 싸들고 내려온 것을 목격한 아측 병력들의 회고록이 지대한 역할을 했다. 현대 중공군은 그 위력에 걸맞는 군수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걸 대표적으로 잘하는 군대으로 미군과 중공군이 있다. 미군의 군수 능력은 2번의 세계대전으로 잘 증명되어 있고, 세계에서 둘째가라면 서러울 규모의 물류를 처리한다. 반대로 중공군은 평가가 다소 낮은 편인데, 대체로 6.25때 중공인민지원군이 대충 짐 싸들고 내려온 것을 목격한 아측 병력들의 회고록이 지대한 역할을 했다. 현대 중공군은 2000년대 통합군수지원체계를 도입하면서 서방의 그것과 비슷한 구조를 갖추게 되었다<ref>김태호, <중국의 "군사적 부상">, 국방정책연구 제73호, 2006년 10월.</ref>.


== 군수 유형 ==
== 군수 유형 ==

2019년 3월 19일 (화) 18:36 판

패전하여 불리한 상황에 있더라도 하수는 공격을, 중수는 방어를, 고수는 병참을 생각한다.
손자
군대는 잘 먹어야 진격한다.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2011.4.21 육군1군지사 합동공중보급수송 실제훈련 (7633937530).jpg

개요

군대에서 가장 중요한 것. 병참(兵站)이라고도 한다.

군대에서 필요한 물품을 조달하는 것을 군수라 하며, 전쟁의 승패를 가르는 일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아무리 좋은 군대에 고성능의 무기들과 군장비들을 가지더라도 군수가 엉망이면 야전까지 무기, 부속, 소모품, 식량, 피복 등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진 것이나 마찬가지다.

이걸 대표적으로 잘하는 군대으로 미군과 중공군이 있다. 미군의 군수 능력은 2번의 세계대전으로 잘 증명되어 있고, 세계에서 둘째가라면 서러울 규모의 물류를 처리한다. 반대로 중공군은 평가가 다소 낮은 편인데, 대체로 6.25때 중공인민지원군이 대충 짐 싸들고 내려온 것을 목격한 아측 병력들의 회고록이 지대한 역할을 했다. 현대 중공군은 2000년대 통합군수지원체계를 도입하면서 서방의 그것과 비슷한 구조를 갖추게 되었다[1].

군수 유형

군수를 넓게 보면 인사관련 일까지 포함하나, 야전의 군수는 대체로 좁은 의미로 사용되며 아래와 같은 일을 포함한다:

  • 보급
    물품이 적재적소에 원활히 공급되도록 관리하는 것. 군수의 다른 일들은 대부분 보급을 통해 필요 물품들을 구비하므로서 가능한 일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 수송
    물품과 병력이 물리적으로 이동하는 부분을 담당하며, 각 군의 힘으로는 장애물이 꼭 나타나기 때문에 이런 부분은 각 군을 묶어서 통제하는 별도 사령부에서 조치한다. TMO의 주요 업무.
  • 정비
    물품이 정상적으로 가동되도록 관리하는 것. 정비의 1차 관리자는 사용 부대이지만, 사용 부대에서 모든 것을 고칠 순 없기에 군수지원 체계를 통해 기능의 집중을 꾀한다.

군수품 종류

한국군은 군수용품은 크게 9가지로 나뉜다. 대체로 미군 시스템을 많이 가져오는 한국군이기에 이 구분 방법도 미군의 그것과 동일하다.

  • 1종
    주˙부식류를 포함한 전투식량 등 전투상황 및 지리적인 차이에 구애됨이 없이 대략 1일 일정한 율로 소모되는 품목. 그냥 식료품이 여기에 해당한다고 보면 된다.
  • 2종
    피복류, 개인장구류, 천막류, 행정보급품, 내무생활용 보급품, 수공구 등의 품목. 군대 생활에 있어서 대부분 품목은 여기에 포함된다고 보면 된다. 심지어 생활관 내 텔레비전, 세탁기, 관물대, 책상 같은 것 하나하나도 모두 2종에 해당하고 취사용품부터 A4 용지, 군번줄까지 그 종류는 수도 없이 많으며, 군수지원부대에서 이 품목을 담당하는 창고가 제일 큰 경우도 있다.
  • 3종
    석유, 연료, 윤활유 및 절연유류, 보존유, 액체, 압축기체, 냉각제, 해빙제, 방독제, 첨가제, 석탄 등의 품목. 각종 화공약품들과 기름, 가스 종류가 모두 여기에 해당한다고 보면 된다. 심지어 제초제, 방충제, 고형연료, 화염방사기 내 액체도 여기에 포함된다. (참고로 화염방사기는 더이상 육군에서 다루지 않기 때문에 군수부대에서도 이 품목은 항목으로만 남아 있다.)
  • 4종
    공사자재, 설치된 장비를 포함한 모든 건축자재 및 축성자재. 건설이나 토목 관련 품목, 철조망, 페인트, 건전지 등의 항목은 모두 여기에 해당한다. 쉽게 말해 1~3종, 5~9종을 제외한 모든 잡템들은 다 여기 포함된다.
  • 5종
    화학탄을 포함한 모든 탄약류, 폭파자재, 신관, 기폭약 등의 탄약류. 이 종류는 보급 쪽이 아니라 병기 병과(흔히 “탄약 부처”라고 불리는 곳)가 다룬다.
  • 6종
    개인 수요품목(비군사 판매품), 즉 군 매점계통에서 판매되는 품목. 흔히 PX병이 이 품목들을 관리한다고 보면 된다.
  • 7종
    주요 완제품, 최종결합체, 즉 각종 차량, 총포, 기계 등의 품목. 여기서 완제품이라 하면 자동차, 탱크, 포 등을 말한다. 부대에 따라 7종과 9종을 묶어서 7,9종이라 취급하기도 하며, 어떤 부대는 아예 이 항목을 병기 주특기 병사들이 관리하는 경우도 있다.
  • 8종
    의무기재, 약품, 위생소모품, 의무수리 부속품 등의 품목. 이 품목은 주특기가 의무보급인 경우에만 다룰 수 있고, 해공군은 일반 의무대 소모품이나 비품은 보급, 의약품 등은 의무 병과가 맡는다.
  • 9종
    수리부속품(의무장비 수리부속품 제외), 모든 장비의 정비지원에 소요 되는 공구등의 키트, 결합체를 포함한 부속 및 구성품. 7종에서 쓰이는 부속품들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역시 7종과 묶어 7,9종이라 취급하기도 하며, 어떤 부대는 아예 이 항목을 병기 병과가 관리하는 경우도 있다.

각주

  1. 김태호, <중국의 "군사적 부상">, 국방정책연구 제73호, 2006년 10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