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쇼핑의 즐거움이 있는 중화권 여행: 두 판 사이의 차이

22번째 줄: 22번째 줄:
! 비고
! 비고
|-
|-
| [[대한항공]] || O || X || X || X || 중화항공, 자회사인 진에어에 [[코드쉐어]]
| [[대한항공]] || O<ref>1터미널</ref> || X || X || X || 중화항공, 자회사인 진에어에 [[코드쉐어]]
|-
|-
| [[아시아나항공]] || O || X || X || X || 에바항공, 자회사인 에어부산에 코드쉐어
| [[아시아나항공]] || O<ref>2터미널</ref> || X || X || X || 에바항공, 자회사인 에어부산에 코드쉐어
|-
|-
| [[중화항공]] || O<ref>인천국제공항, 김해국제공항행</ref> || O ||  X || O || 대한항공, 자회사인 만다린항공에 코드쉐어
| [[중화항공]] || O<ref>1터미널, 인천행, 김해행</ref> || O ||  X || O || 대한항공, 자회사인 만다린항공에 코드쉐어
|-
|-
| [[에바항공]] || O || O || O || O || 아시아나항공, 자회사인 유니항공에 코드쉐어
| [[에바항공]] || O<ref>2터미널</ref> || O || O || O || 아시아나항공, 자회사인 유니항공에 코드쉐어
|-
|-
| [[캐세이퍼시픽]] || O || X || X || X || [[홍콩 국제공항]]행 일 1왕복 경유
| [[캐세이퍼시픽]] || O<ref>1터미널</ref> || X || X || X || [[홍콩 국제공항]]행 일 1왕복 경유
|-
|-
| [[타이항공]] || O || X || X || X || [[수완나품 국제공항]]행 일 1왕복 경유
| [[타이항공]] || O<ref>1터미널</ref> || X || X || X || [[수완나품 국제공항]]행 일 1왕복 경유
|-
|-
| [[제주항공]] || O<ref>인천국제공항, 김해국제공항, 무안국제공항발</ref> || X || X || O ||
| [[제주항공]] || O<ref>1터미널, 인천발, 김해발, 무안발</ref> || X || X || O ||
|-
|-
| [[티웨이항공]] || O || O || O || O ||
| [[티웨이항공]] || O<ref>1터미널, 대구발</ref> || O || O || O ||
|-
|-
| [[이스타항공]] || O || O || X || X ||
| [[이스타항공]] || O<ref>1터미널</ref> || O || X || X ||
|-
|-
| [[타이거항공 타이완]] || O<ref>김해국제공항, 대구국제공항, 제주국제공항 행</ref> || X || X || X ||
| [[타이거항공 타이완]] || O<ref>1터미널, 김해행, 대구행, 제주행</ref> || X || X || X ||
|-
|-
| [[스쿠트항공]] || O || X || X || X || [[창이 국제공항]]행 경유
| [[스쿠트항공]] || O<ref>1터미널</ref> || X || X || X || [[창이 국제공항]]행 경유
|-  
|-  
| [[진에어]] || O<ref>인천국제공항, 청주국제공항발</ref> || O<ref>[[인천국제공항]] 및 [[김해국제공항]] 발</ref> || X || X ||
| [[진에어]] || O<ref>1터미널, 인천발, 청주발</ref> || O<ref>인천발, 김해발</ref> || X || X ||
|-
|-
| [[에어부산]] || O || X || X || O || 김해국제공항 출발 노선만 보유
| [[에어부산]] || O<ref>2터미널</ref> || X || X || O || 김해발 노선만 보유
|-
|-
| [[만다린항공]] || O || X || O || O ||
| [[만다린항공]] || O<ref>2터미널</ref> || X || O || O ||
|-
|-
| [[유니항공]] || O || X || X || X ||
| [[유니항공]] || O<ref>2터미널</ref> || X || X || X ||
|}
|}



2018년 10월 2일 (화) 22:39 판

이 문서를 읽고 나니 오늘이라도 여행을 하고 싶습니다!

개요

중국 본토를 제외한 중화권 지역의 여행에 대해 설명하는 문서입니다.

장점은 무엇인가요?

  • 비자가 필요 없다는 것이 큰 장점이죠. 중국의 경우 일부 예외를 제외하면 비자 없이 입국이 불가능 해서 사전에 준비하는 기간이 소요되지만 중화권 지역은 무비자 협정을 맺어서 여행을 목적으로 입국할 경우 무비자로 3개월간 머무르는 것이 가능합니다. 또한 중국 본토에 딸린 홍콩과 마카오를 거쳐 본토로 입국하는 경우 단기간의 무비자 혜택을 볼 수도 있습니다.
  • 중국에 비하면 치안이 안정적이고 시민의식이 발달된 편입니다. 또한 분위기도 중국보다 자유롭습니다.
  • 중국에 가지 않고도 중국의 문화를 느낄 수 있습니다.

대만

항공편

항공사 타오위안 쑹산(김포발) 타이중 가오슝 비고
대한항공 O[1] X X X 중화항공, 자회사인 진에어에 코드쉐어
아시아나항공 O[2] X X X 에바항공, 자회사인 에어부산에 코드쉐어
중화항공 O[3] O X O 대한항공, 자회사인 만다린항공에 코드쉐어
에바항공 O[4] O O O 아시아나항공, 자회사인 유니항공에 코드쉐어
캐세이퍼시픽 O[5] X X X 홍콩 국제공항행 일 1왕복 경유
타이항공 O[6] X X X 수완나품 국제공항행 일 1왕복 경유
제주항공 O[7] X X O
티웨이항공 O[8] O O O
이스타항공 O[9] O X X
타이거항공 타이완 O[10] X X X
스쿠트항공 O[11] X X X 창이 국제공항행 경유
진에어 O[12] O[13] X X
에어부산 O[14] X X O 김해발 노선만 보유
만다린항공 O[15] X O O
유니항공 O[16] X X X

명소

홍콩

영국의 영향을 받아 영국의 문화와 중국의 문화가 공존하는 곳이며 '쇼핑의 천국' 이라고 불리우는 곳입니다. 구룡반도, 홍콩섬, 란터우섬 등 3개의 지역으로 나뉘어 있으며 란터우섬은 홍콩의 첫 관문이기도 합니다.

  • 장점
  • 단점

면적이 좁은 만큼 왠만한 곳을 돌아보면 볼거리가 없을 정도로 볼거리가 부족합니다. 쇼핑할게 아니면 대부분 마카오 여행을 겸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면적이 좁은 만큼 넓은 공간의 건물을 찾기가 어려우며 땅의 면적보다 인구밀도가 높기 때문에 어딜 가던 사람으로 꽉 차서 좁고 사람이 많은 곳을 답답해 하는 경우라면 돌아다니기가 불편할 수도 있습니다.

항공편

서울

근거리임에도 불구 대만과 달리 김포 출발편은 없습니다.

  • 케세이 퍼시픽
  • 홍콩 익스프레스
  • 대한항공
  • 아시아나항공
  • 제주항공
  • 진에어

명소

마카오

교통

마카오도 공항이 있긴 합니다만 대부분은 홍콩을 통해서 입국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홍콩에서 페리를 타고 마카오로 이동합니다.

명소

각주

  1. 1터미널
  2. 2터미널
  3. 1터미널, 인천행, 김해행
  4. 2터미널
  5. 1터미널
  6. 1터미널
  7. 1터미널, 인천발, 김해발, 무안발
  8. 1터미널, 대구발
  9. 1터미널
  10. 1터미널, 김해행, 대구행, 제주행
  11. 1터미널
  12. 1터미널, 인천발, 청주발
  13. 인천발, 김해발
  14. 2터미널
  15. 2터미널
  16. 2터미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