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대한민국의 고속도로: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4번째 줄:
:: 그렇게 따진다면 완전하게 네모반듯한 격자 기준에 맞춘다면 현행 동서축 노선들 대부분은 대각선으로 격자를 파괴하는 선형들이 대다수입니다. 모호하다는 기준 자체가 저는 모호하다고 보는 것이고, 국가에서 정한 기준체계에 맞춘 노선번호 및 명칭 부여 규칙이 존재하는 이상은 딱히 문제삼을 필요성이 떨어진다고 보는 것입니다.--[[사용자:Vfx|VFX]] ([[사용자토론:Vfx|토론]]) 2017년 7월 11일 (화) 23:14 (KST)
:: 그렇게 따진다면 완전하게 네모반듯한 격자 기준에 맞춘다면 현행 동서축 노선들 대부분은 대각선으로 격자를 파괴하는 선형들이 대다수입니다. 모호하다는 기준 자체가 저는 모호하다고 보는 것이고, 국가에서 정한 기준체계에 맞춘 노선번호 및 명칭 부여 규칙이 존재하는 이상은 딱히 문제삼을 필요성이 떨어진다고 보는 것입니다.--[[사용자:Vfx|VFX]] ([[사용자토론:Vfx|토론]]) 2017년 7월 11일 (화) 23:14 (KST)
:: 덧붙여 고속도로 지도를 다시 검토해봤는데, 상주영천선의 선형은 남북축으로 보기에는 기울기가 완만해서 오히려 동서축에 더 적합한 선형으로 보입니다. 해당노선의 본선구간인 당진영덕선 구간중 서쪽 기점인 당진~대전 구간의 선형을 보더라도 이 노선이 남북축이어야 한다는 개념은 적합하지 않은것으로 보입니다.--[[사용자:Vfx|VFX]] ([[사용자토론:Vfx|토론]]) 2017년 7월 11일 (화) 23:20 (KST)
:: 덧붙여 고속도로 지도를 다시 검토해봤는데, 상주영천선의 선형은 남북축으로 보기에는 기울기가 완만해서 오히려 동서축에 더 적합한 선형으로 보입니다. 해당노선의 본선구간인 당진영덕선 구간중 서쪽 기점인 당진~대전 구간의 선형을 보더라도 이 노선이 남북축이어야 한다는 개념은 적합하지 않은것으로 보입니다.--[[사용자:Vfx|VFX]] ([[사용자토론:Vfx|토론]]) 2017년 7월 11일 (화) 23:20 (KST)
여태까지 제 말을 완전히 오해하고 계시는데, 제 서술은 '''남북축 번호가 붙어있음에도''' ''동서축과 같은 규칙을 적용''하고 있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었습니다. --[[사용자:Chugun|Chugun]] ([[사용자토론:Chugun|토론]]) 2017년 7월 11일 (화) 23:33 (KST)

2017년 7월 11일 (화) 23:33 판

상주영천선 서술 관련

Chugun님께서 상주영천선이 기존 번호규칙과 명명규칙에 맞지 않아서 모호한 점이 있다는 관점으로 서술하였습니다. 그런데 이미 해당 노선의 번호는 공인된 국가기관이 법령에 따라 기준에 맞춰서 부여한 것이고, 상주영천선 자체가 김천영천선으로 계획되었던 노선을 단축시켜 건설한 성격도 고려하면 원래 동서축 보조간선 성격으로 계획된 노선이 구간이 단축되면서 상주에서 분기하여 영천에서 다른 노선들과 접속하는 형태로 노선의 성격이 변동된 것입니다. 물론 길이가 여타 지선들에 비해서 길기 때문에 지선으로 보기는 애매한 점이 있습니다만 301번이라는 번호가 부여된 이상 본선은 당진영덕선이고 남북방향 지선의 성격으로 301번, 그리고 민자사업도로이기 때문에 기존 국비 노선들처럼 일률적으로 당진영덕고속도로지선 명칭이 아닌 민간사업자의 노선명칭을 유지시켜준 것으로 여겨집니다. 모호하다고 생각하시는 부분은 개인적인 주관이 개입된 부분으로 여겨져서 본문에 해당 내용을 서술하는것은 타문서에 chungun님께서 서술방향으로 강조하는 주관적 서술을 지양하는 쪽과는 맞지 않아 보입니다.--VFX (토론) 2017년 7월 11일 (화) 22:57 (KST)

모양을 봤을 때 대각선이기 때문에 남북, 동서 중 어느것에 들어가지 않아 모호하다고 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Centrair(센트레아) APP·DEP 2017년 7월 11일 (화) 23:03 (KST)
그렇게 따진다면 완전하게 네모반듯한 격자 기준에 맞춘다면 현행 동서축 노선들 대부분은 대각선으로 격자를 파괴하는 선형들이 대다수입니다. 모호하다는 기준 자체가 저는 모호하다고 보는 것이고, 국가에서 정한 기준체계에 맞춘 노선번호 및 명칭 부여 규칙이 존재하는 이상은 딱히 문제삼을 필요성이 떨어진다고 보는 것입니다.--VFX (토론) 2017년 7월 11일 (화) 23:14 (KST)
덧붙여 고속도로 지도를 다시 검토해봤는데, 상주영천선의 선형은 남북축으로 보기에는 기울기가 완만해서 오히려 동서축에 더 적합한 선형으로 보입니다. 해당노선의 본선구간인 당진영덕선 구간중 서쪽 기점인 당진~대전 구간의 선형을 보더라도 이 노선이 남북축이어야 한다는 개념은 적합하지 않은것으로 보입니다.--VFX (토론) 2017년 7월 11일 (화) 23:20 (KST)

여태까지 제 말을 완전히 오해하고 계시는데, 제 서술은 남북축 번호가 붙어있음에도 동서축과 같은 규칙을 적용하고 있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었습니다. --Chugun (토론) 2017년 7월 11일 (화) 23:33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