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 KT 위즈 파크: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2번째 줄:
[[파일:수원 kt wiz 파크 외야게이트 전경.jpg|섬네일|외야 게이트 전경]]
[[파일:수원 kt wiz 파크 외야게이트 전경.jpg|섬네일|외야 게이트 전경]]
[[KT 위즈]]의 홈 [[야구장]]. [[수원종합운동장]]의 부속 시설이다. [[KT 위즈]]가 창단되면서 [[수원시]]에서 명명권을 [[KT]]에 넘겼다.
[[KT 위즈]]의 홈 [[야구장]]. [[수원종합운동장]]의 부속 시설이다. [[KT 위즈]]가 창단되면서 [[수원시]]에서 명명권을 [[KT]]에 넘겼다.
== 규모 ==
* 좌측 펜스 : 98M
* 좌중간 : 115M
* 중앙 펜스 : 120M
* 우중간 : 115M
* 우측 펜스 : 98M
* 펜스 높이 : 4M
* 수용인원(입석 포함) : 25,000명
* 총 좌석 수 : 22,067석


== 역사 ==
== 역사 ==

2017년 5월 9일 (화) 11:40 판

틀:넘겨주기 있음

외야 게이트 전경

KT 위즈의 홈 야구장. 수원종합운동장의 부속 시설이다. KT 위즈가 창단되면서 수원시에서 명명권을 KT에 넘겼다.

규모

  • 좌측 펜스 : 98M
  • 좌중간 : 115M
  • 중앙 펜스 : 120M
  • 우중간 : 115M
  • 우측 펜스 : 98M
  • 펜스 높이 : 4M
  • 수용인원(입석 포함) : 25,000명
  • 총 좌석 수 : 22,067석

역사

1989년 전국체전을 개최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당시의 명칭은 수원야구장이었다. 관중석 규모는 14,000여 석 가량이었다.

1989년 완공과 동시에 인천 연고의 야구팀이었던 태평양 돌핀스의 제 2 홈구장으로 사용되었다. 태평양 돌핀스는 팀을 매각하기 전인 1995년까지 수원야구장에서 매 시즌마다 최소 6경기를 홈 경기로 가졌다.

1995년 태평양 돌핀스를 인수한 현대 유니콘스 또한 수원야구장을 1999시즌까지 제 2 홈구장으로 사용했다.

2000년 인천을 연고로 하는 야구단인 SK 와이번스가 창단됨에 따라, 기존 인천 연고팀인 현대 유니콘스는 서울로 연고지를 이전하기로 결정하였다. 그리고 서울에 새 야구장을 짓는 동안 현대 유니콘스는 임시로 수원 야구장을 제 1 홈구장으로 사용하기로 하였다.

그러나 모기업의 재정 악화로 서울 입성이 어려워지고, 결국 현대 유니콘스는 팀이 해체가 되는 2007년까지 수원 야구장을 실질적으로 제 1 홈구장처럼 사용했다.

2008년 ~ 2014년동안 수원야구장은 아마추어 경기 전용 구장이 되면서 수원 야구장에서 프로야구 경기는 단 1경기도 열리지 않았다.

2014년 수원야구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는 kt 위즈가 창단됨에 따라, 수원야구장은 2014년 한 해동안 노후화 개선 및 관중석 증축을 위한 리모델링 공사를 했다. 그 결과 4층 높이의 어퍼 데크인 스카이존이라는 좌석이 신설되고 관중석 규모가 기존 14,000명에서 20,000명으로 늘어났다.

2015년부터 프로야구 경기가 다시 열리기 시작했다. 리모델링 이후 최초의 경기는 kt 위즈와 두산 베어스 간의 시범경기였다.

2016시즌 종료 후 구단 측에서 4층 스카이존을 좀 더 확대하고, 외야 우측에 테이블석 전용 어퍼덱을 증축하겠다고 발표했다. 따라서 관중석 규모는 20,000명에서 22,000명으로 증가하게 되었다.

스카이존 증축 공사는 2017 시즌 시작 전까지 마무리지었지만, 2017년 5월까지 외야 어퍼덱 증축공사는 끝나지 않았다. 2017년 5월 기준으로 외야 어퍼덱 좌석은 좌석배치도에만 있을 뿐, 이 좌석에 대한 티켓을 팔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