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왕: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 class="wikitable"
! colspan="5" style= | '''[[백제의 역대 국왕]]'''
|-
| rowspan="2" style= | 31대 [[의자왕]] 부여의자
| rowspan="2" | ←
| rowspan="2" style= | '''32대 풍왕 부여풍'''
| rowspan="2" | →
| rowspan="2" style= | 웅진도독 대방군왕 [[부여융]]
|-
|}
풍왕은 백제의 32대 왕이다. 백제는 31대 의자왕때 멸망하였으나 백제부흥운동이 시작되고 의자왕의 왕자인 부여풍을 왕으로 추대하였는데, 부여풍이 바로 풍왕이다.  
풍왕은 백제의 32대 왕이다. 백제는 31대 의자왕때 멸망하였으나 백제부흥운동이 시작되고 의자왕의 왕자인 부여풍을 왕으로 추대하였는데, 부여풍이 바로 풍왕이다.  



2016년 7월 25일 (월) 20:20 판

백제의 역대 국왕
31대 의자왕 부여의자 32대 풍왕 부여풍 웅진도독 대방군왕 부여융

풍왕은 백제의 32대 왕이다. 백제는 31대 의자왕때 멸망하였으나 백제부흥운동이 시작되고 의자왕의 왕자인 부여풍을 왕으로 추대하였는데, 부여풍이 바로 풍왕이다.

백제 32대 왕으로 추대되고 처자와 숙부인 부여충승과 일본의 지원병 약 5,000명과 다시 돌아와 주류성을 근거로 당나라에 많은 피해를 주고 많은 성을 탈환하였으나 내분으로 복신이 도침을 살해하고 자신까지 살해하려 들자 선수를 쳐 복신을 처형하였다. 이후 고구려로 도망갔으나 고구려가 멸망하고 당나라로 압송되어 유배되었다.

풍왕이 어떻게 죽었는가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