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체음향: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 개요 = 섬네일|오른쪽 입체음향( Surround Sound )은 음원이 존재하는 공간에 위치하지 않은 청취자에게 음...)
태그: 분류가 필요합니다!
 
20번째 줄: 20번째 줄:
* 다카하시 유키오. 음악에서의 서라운드 역사
* 다카하시 유키오. 음악에서의 서라운드 역사
* Fushiki Masaaki. 영화음향의 역사
* Fushiki Masaaki. 영화음향의 역사
{{각주}}

2015년 10월 28일 (수) 01:25 판

개요

Yamaha Surround sound diagram.jpg

입체음향( Surround Sound )은 음원이 존재하는 공간에 위치하지 않은 청취자에게 음향의 방향성을 제공하는 모든 기술적, 실제적 방법 등을 일컫는다.

역사

입체음향의 발전은 영화의 발전과 그 궤를 같이한다. 영화가 출연한 이후, 무성영화 시대를 거쳐 1채널(모노) 음향을 시청자에게 제공해 왔다. 이 시절 영화음향은 다수의 마이크로 녹음한 트랙을 1개의 트랙으로 다운믹스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었는데, 이때의 영화음향은 음원의 방향성은 고려하지 않은 형태를 취했다.

그러나 1940년 11월 13일에 공개된 디즈니의 영화 판타지아는 이때까지의 형식을 깨고 프론트 3채널 구성의 스테레오 음향[1]을 채용함으로서 입체음향의 시작을 열었다. 이후 다수의 영화가 스테레오 음향을 채용함으로서 입체음향을 채용하는 것은 일반적인 추세가 됨과 동시에 1957년에 출현한 2채널 스테레오 LP 레코드 로 인해 이는 음악산업까지 확장되었다. 1953년에 공개된 워너브라더즈의 영화 살의 밀랍인형관은 프론트 3채널 외에 서라운드 채널을 추가한 4채널 구성[2]을 채용하여 본격적인 입체음향의 형식을 구축하였다.

1960년대부터 새로운 입체음향의 구현 방식으로서 4채널 스테레오(쿼드러포닉)가 출현하였고,

형식

채널 구성에 따른 형식

구현 방법에 따른 형식

기타

참고문헌

  • 다카하시 유키오. 음악에서의 서라운드 역사
  • Fushiki Masaaki. 영화음향의 역사

각주

  1. LRC 구성, 좌측 스피커, 우측 스피커, 센터 스피커로 구성됨.
  2. LRCS 구성, 좌측 스피커, 우측 스피커, 센터 스피커, 서라운드 스피커로 구성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