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홈: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태풍]]
[[분류:태풍]]
{{사건사고 진행중}}
{{태풍
{{태풍
|발생 년도 = 2015
|발생 년도 = 2015
10번째 줄: 9번째 줄:
|발생 경도 = 9.9
|발생 경도 = 9.9
|발생 위도 = 159.6
|발생 위도 = 159.6
<!-- 현재 정보 -->
|기준 일시 =  2015년 07월 11일 21시
|진행 속도 = 21
|진행 방향 = 북북동
|중심 기압 = 960
|중심 풍속 = 39
<!-- 소멸 정보 -->
<!-- 소멸 정보 -->
|최저 기압 =  
|최저 기압 = 935.0
|최대 풍속 =  
|최대 풍속 = 49.0
|소멸 장소 = <del>북한 청진 남서쪽 210km 육상</del>
|소멸 장소 = 북한 평양 북쪽 20km 육상
|소멸 경도 =
|소멸 경도 =125.8
|소멸 위도 =
|소멸 위도 =39.2
|소멸 일시 = <del>2015년 07월 13일 21시</del>
|소멸 일시 = 2015년 07월 13일 06시 (KST)
}}
}}
[[2015년]] 제9호 [[태풍]] 찬홈(CHAN-HOM)은 [[6월 30일]] 오후 9시에 중심기압 1002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170km,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동남동쪽 약 1,66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 찬홈은 [[라오스]]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나무의 한 종류를 의미한다.<ref>[[위키백과:2015년 태풍#제9호 태풍 찬홈]] 발췌</ref>
[[2015년]] 제9호 [[태풍]] 찬홈(CHAN-HOM)은 [[6월 30일]] 오후 9시에 중심기압 1002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170km,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동남동쪽 약 1,66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 찬홈은 [[라오스]]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나무의 한 종류를 의미한다.<ref>[[위키백과:2015년 태풍#제9호 태풍 찬홈]] 발췌</ref>


발생후 위도 10도 부근을 맴돌며 서쪽으로 진행하다가 7월 3일부터 서북진을 시작했으며 7월 9일 ~ 7월 10일 경에 대만에 도달하였다. 이후 7월 11일부터 동진을 하여 7월 12일 ~ 7월 13일 간 서해를 거쳐 북한 상공으로 빠져나가 7월 13일 21일 소멸될 예정이다.
발생후 위도 10도 부근을 맴돌며 서쪽으로 진행하다가 7월 3일부터 서북진을 시작했으며 7월 9일 ~ 7월 10일 경에 대만에 도달하였다. 이후 7월 11일부터 동진을 하여 7월 12일 ~ 7월 13일 간 서해를 거쳐 7월 13일 06시 북한 평양시 북쪽 20km 육상에서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7월 12일 ~ 7월 14일 사이에 11호 태풍 [[낭카]]와 비슷한 시기에 도달하여 낭카는 남부 지역을, 찬홈은 중부 지역을 휩쓸 것으로 보인다.
7월 12일 ~ 7월 14일 사이에 11호 태풍 [[낭카]]가 연달아 도달하여 낭카는 남부 지역을, 찬홈은 중부 지역을 휩쓸 것으로 보인다.
{{각주}}
{{각주}}

2015년 7월 13일 (월) 14:02 판

틀:태풍 2015년 제9호 태풍 찬홈(CHAN-HOM)은 6월 30일 오후 9시에 중심기압 1002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170km,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동남동쪽 약 1,66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 찬홈은 라오스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나무의 한 종류를 의미한다.[1]

발생후 위도 10도 부근을 맴돌며 서쪽으로 진행하다가 7월 3일부터 서북진을 시작했으며 7월 9일 ~ 7월 10일 경에 대만에 도달하였다. 이후 7월 11일부터 동진을 하여 7월 12일 ~ 7월 13일 간 서해를 거쳐 7월 13일 06시 북한 평양시 북쪽 20km 육상에서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7월 12일 ~ 7월 14일 사이에 11호 태풍 낭카가 연달아 도달하여 낭카는 남부 지역을, 찬홈은 중부 지역을 휩쓸 것으로 보인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