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리브레 한자사전/愛: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onlyinclude>{{한자 정보|{{{1|}}}|기본 = {{{2|}}}
<onlyinclude>{{한자 정보|{{{1|}}}|기본 = {{{2|}}}
|한자 =  
|한자 =
|신자체 =
|신자체 =  
|간체자 =
|간체자 =
|정체자 =
|정체자 =
|획수 =
|본자 = 㤅
|획수 = 13
|신자체 획수 =
|신자체 획수 =
|간체자 획수 =
|간체자 획수 = 10
|뜻 =
|뜻 = 사랑
|소리 =
|소리 =
|부수 =
|부수 =
|신자체 부수 =
|신자체 부수 =
|간체자 부수 =
|간체자 부수 =
|음독 =
|음독 =  
|오음 =
|오음 = アイ、オ
|한음 =
|한음 = アイ
|당음 =
|당음 =
|관용음 =
|관용음 =
|훈독 =
|훈독 = いつく-しむ、かな-しい
|병음 =
|병음 = ài
|중고한어 =  
|중고한어 = ʔʌiH(어이)
}}</onlyinclude>
}}</onlyinclude>
<!-- 설명 적는 위치  트리플 클릭하고 입력-->
<!-- 설명 적는 위치  트리플 클릭하고 입력-->
{{한자 서체}}
{{한자 서체}}
<!-- 한자 유래와 서체에 대한 설명은 이곳에 -->
사랑 애자는 원래 㤅의 형태와 비슷했다.


== 용례 ==
== 용례 ==

2021년 9월 22일 (수) 09:24 판

정자[韓/臺]
신자체 [日]
간체자 [中]




CJK Unified Ideographs
U+611B
부 13획
뜻과 소리
중고한어ʔʌiH(어이)
본자
쓰는 순서
CJK Unified Ideographs
U+611B
부 13획
뜻과 소리
훈독(訓読)いつく-しむ、かな-しい
음독(音読)
오음(呉音)アイ、オ
한음(漢音)アイ
쓰는 순서
CJK Unified Ideographs
U+7231
부 10획
뜻과 소리
병음ài
쓰는 순서
爱-order.gif爱-bw.png

사랑 애자는 원래 㤅의 형태와 비슷했다.

용례

사자성어

여담

  • 무심지애(無心之愛), 沒有心,我該如何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