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리브레 한자사전/明: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자 유래}})
잔글 (→‎한자 유래/서체: replaced: == 한자 유래 == → == 한자 유래/서체 ==, {{한자 유래}} → {{한자 유래}}{{한자 서체}})
10번째 줄: 10번째 줄:
|병음 = míng
|병음 = míng
}}</onlyinclude>
}}</onlyinclude>
== 한자 유래 ==
== 한자 유래/서체 ==
{{한자 유래}}
{{한자 유래}}{{한자 서체}}


== 한국어 ==
== 한국어 ==

2021년 8월 29일 (일) 21:17 판

정자[韓/臺]
신자체 [日]
간체자 [中]
CJK Unified Ideographs
U+660E
부 8획
뜻과 소리
쓰는 순서
CJK Unified Ideographs
U+660E
부 8획
뜻과 소리
훈독(訓読)あ-かり、 あか-るい、 あ-ける、あ-くる
음독(音読)
오음(呉音)ミョウ
한음(漢音)メイ
쓰는 순서
明-jbw.png
CJK Unified Ideographs
U+660E
부 8획
뜻과 소리
병음míng
쓰는 순서

한자 유래/서체

틀:한자 유래

한국어

  • 명일(明日) -> 내일(來日)

국립국어원에서는 명일은 내일로 바꾸어 쓰도록 권장하고 있다. 일본어 明日(あした/아시따)이 있기는 하지만 일본어의 잔재는 아니다. 중국어에서도 용례를 찾아볼 수 있으나 명일보다는 명천(明天)이라는 표현을 더 많이 사용한다.

일본어

훈독

  • 明日(あした) 내일

음독

  • 説明(せつめい) 설명
  • 明白(めいはく) 명백

중국어

  • 明日(míngrì) 명일 -> 내일
  • 明明(míngmíng) 명확히
  • 明天(míngtiān) 내일
  • 明晃晃(mínghuǎnghuǎng) 빛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