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한자 정보: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29번째 줄: 29번째 줄:
   -->| 내용{{#if:{{{2|{{{기본|}}}}}}|2|1}} = <!--
   -->| 내용{{#if:{{{2|{{{기본|}}}}}}|2|1}} = <!--
   시작--><table class="" style="border-radius: 0.35rem; width: 26em; width:100%; margin: 0;">
   시작--><table class="" style="border-radius: 0.35rem; width: 26em; width:100%; margin: 0;">
<tr class=""><td colspan="2" class="hanja" style="text-align: center;"><span lang="ko">{{{한자|-}}}</span>{{#if:{{{정체자|{{{대만식|}}}}}}|<span lang="zh-tw" class="tw">{{#invoke:text|fontsize|--|대만}}<span>{{{정체자|{{{대만식|}}}}}}</span></span>}}</td></tr><!--
<tr class=""><td colspan="2" class="hanja" style="text-align: center;"><span lang="ko">{{{한자|-}}}</span>{{#if:{{{정체자|{{{대만식|}}}}}}|<span lang="zh-tw" class="">{{#invoke:text|fontsize|--|대만}}<span>{{{정체자|{{{대만식|}}}}}}</span></span>}}</td></tr><!--
  뜻 --><tr class=""><th class="" style="text-align: left;">뜻(訓)</th><!----><td>{{{뜻}}}</td></tr><!--
  뜻 --><tr class=""><th class="" style="text-align: left;">뜻(訓)</th><!----><td>{{{뜻}}}</td></tr><!--
  소리 --><tr class=""><th class="" style="text-align: left;">소리(音)</th><!----><td>{{{소리}}}</td></tr><!--
  소리 --><tr class=""><th class="" style="text-align: left;">소리(音)</th><!----><td>{{{소리}}}</td></tr><!--
41번째 줄: 41번째 줄:
   -->| 내용{{#ifeq:{{{2|{{{기본|}}}}}}|신자체|1|{{#ifeq:{{{2|{{{기본|}}}}}}|간체자|3|2}}}} = <!--
   -->| 내용{{#ifeq:{{{2|{{{기본|}}}}}}|신자체|1|{{#ifeq:{{{2|{{{기본|}}}}}}|간체자|3|2}}}} = <!--
   시작--><table class="" style="border-radius: 0.35rem; width: 26em; width:100%;margin: 0;"><!--
   시작--><table class="" style="border-radius: 0.35rem; width: 26em; width:100%;margin: 0;"><!--
  신자체 --><tr><td colspan="2" class="hanja" style="text-align: center;"><span lang="ja" class="jp">{{#if:{{{신자체|}}}|{{{신자체|}}}|{{{한자|-}}}}}</span></td></tr><!--
  신자체 --><tr><td colspan="2" class="hanja" style="text-align: center;"><span lang="ja">{{#if:{{{신자체|}}}|{{{신자체|}}}|{{{한자|-}}}}}</span></td></tr><!--
  뜻 --><tr><th style="text-align: left;">뜻(訓)</th><!----><td >{{{뜻}}}</td></tr><!--
  뜻 --><tr><th style="text-align: left;">뜻(訓)</th><!----><td >{{{뜻}}}</td></tr><!--
  훈독 --><tr><th style="text-align: left;">훈독(訓読)</th><!----><td >{{{훈독}}}</td></tr><!--
  훈독 --><tr><th style="text-align: left;">훈독(訓読)</th><!----><td >{{{훈독}}}</td></tr><!--
57번째 줄: 57번째 줄:
   -->| 내용{{#ifeq:{{{2|{{{기본|}}}}}}|간체자|1|3}} = <!--
   -->| 내용{{#ifeq:{{{2|{{{기본|}}}}}}|간체자|1|3}} = <!--
   시작 --><table class="" style="border-radius: 0.35rem; width: 26em; width:100%;margin: 0;"><!--
   시작 --><table class="" style="border-radius: 0.35rem; width: 26em; width:100%;margin: 0;"><!--
  간체자 --><tr class=""><td colspan="2" class="hanja" style="text-align: center;"><span lang="zh" class="zh">{{#if:{{{간체자|}}}|{{{간체자|}}}|{{{한자|-}}}}}</span></td></tr><!--
  간체자 --><tr class=""><td colspan="2" class="hanja" style="text-align: center;"><span lang="zh-cn">{{#if:{{{간체자|}}}|{{{간체자|}}}|{{{한자|-}}}}}</span></td></tr><!--
  뜻 --><tr class=""><th class="" style="text-align: left;">뜻(訓)</th><!----><td class="" >{{{뜻}}}</td></tr><!--
  뜻 --><tr class=""><th class="" style="text-align: left;">뜻(訓)</th><!----><td class="" >{{{뜻}}}</td></tr><!--
  병음 --><tr class=""><th class="" style="text-align: left;">[[중국어]] [[병음]]</th><!----><td class="" >{{{병음|}}}</td></tr><!--
  병음 --><tr class=""><th class="" style="text-align: left;">[[중국어]] [[병음]]</th><!----><td class="" >{{{병음|}}}</td></tr><!--

2021년 8월 27일 (금) 00:30 판

설명문서 [편집] [역사] [새로고침]
{{{뜻}}}〔{{{소리}}}〕

모듈:한자 정보를 이용합니다.

한자의 정보를 카드 모양으로 출력하는 틀입니다. 본래 시리즈:리브레 한자사전한자 문서들을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이 틀을 이용해 다른 문서에 끼워넣기 위해선 문서에 본 틀을 직접 넣지않고 본 틀이 삽입된 시리즈:리브레 한자사전의 하위 문서를 다른 문서에 끼워넣는 방식으로 해야합니다. 예를 들면 템플릿을 이용해 시리즈:리브레 한자사전/漢을 작성한 후 {{:漢}}를 끼워 넣으면 됩니다.

한자 문서는 템플릿에서 생성하거나 리브레 위키:템플릿/한자, 리브레 시리즈 시리즈:리브레 한자사전에서 한자문서를 만드셔도 좋습니다.

Noto Sans CJK(한중일 통합폰트) 폰트가 설치된 경우나 모바일 크롬 환경에서 간체자, 번체자, 신자체의 폰트가 통일됩니다. 윈도우 파이어폭스, 모바일 파이어폭스, 우분투는 해당 폰트가 기본으로 들어 있습니다. 윈도우의 경우 폰트를 설치해야 합니다. 조금씩 다른 폰트가 신경쓰이지 않는다면 폰트를 굳이 설치할 필요는 없습니다.

틀 사용법

  • 입력
    • 문자열: 변수에 문자, 숫자, 단어, 문장 등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 숫자: 변수에 숫자만 입력할 수 있습니다.
  • 조건
    • 필수: 필수로 입력해야 하는 변수입니다.
    • 선택: 경우에 따라 입력하지 않아도 되는 변수입니다.
변수 설명 입력 조건
한자 정보를 표시할 한자를 입력하세요. 문자(한자) 자동
신자체 신자체가 있다면 입력하세요. 한국 정자와 유니코드가 같고 모양만 다르다면 입력하면 안됩니다. 문자(한자) 있는 경우 필수
간체자 간체자가 있다면 입력하세요. 한국 정자와 유니코드가 같고 모양만 다르다면 입력하면 안됩니다. 문자(한자) 있는 경우 필수
정체자 대만에서 사용하는 정체자를 입력하세요. 한국 정자와 다른 모양일 때만 입력하세요. 문자(한자) 선택
뜻 소리 한자의 뜻과 독음을 입력합니다. 문자열, 예시: '한나라 [한]', '한나라/한수 [한]' 필수
훈몽자회 훈몽자회의 설명을 입력합니다. (한자)/(뜻) (소리) 선택
동국정운 동국정운식 한자음을 입력합니다. 문자열 선택
중고한어 한자의 중고한어 독음을 입력합니다. IPA 기호 선택
부수 한자의 부수를 입력합니다. 일부 부수는 입력하면 오류가 납니다.
시리즈:리브레 한자사전/사용할 수 없는 문자를 참고하세요.
필수
신자체 부수 신자체의 부수를 입력합니다. 일부 부수는 입력하면 오류가 납니다.
시리즈:리브레 한자사전/사용할 수 없는 문자를 참고하세요.
필수(있는 경우)
간체자 부수 간체자의 부수를 입력합니다. 일부 부수는 입력하면 오류가 납니다.
시리즈:리브레 한자사전/사용할 수 없는 문자를 참고하세요.
필수(있는 경우)
획수 한자의 획수를 입력합니다. 숫자 (단위 생략) 필수
신자체 획수 신자체의 획수를 입력합니다. 숫자 (단위 생략) 있는 경우 필수
간체자 획수 간체자의 획수를 입력합니다. 숫자 (단위 생략) 있는 경우 필수
음독 한자의 일본식 음독을 입력합니다. 음독이 하나 밖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해주세요. 가타카나 선택
오음 한자의 오음(吳音) 음독을 입력합니다. 가타카나 있는 경우 필수
한음 한자의 한음(漢音) 음독을 입력합니다. 가타카나 있는 경우 필수
당음 한자의 당음(唐音) 음독을 입력합니다. 가타카나 있는 경우 필수
관용음 한자의 관용음(慣用音) 음독을 입력합니다. 가타카나 있는 경우 필수
훈독 한자의 훈독(訓読)을 입력합니다. 히라가나 있는 경우 필수
병음 한자의 병음(拼音)을 입력합니다. 로마자(한어병음) 있는 경우 필수
틀 데이터

한자 정보 카드를 삽입할 수 있습니다.

틀 변수

이 틀은 변수마다 줄바꿈을 하여 쓰는 것이 권장됩니다.

변수설명형식상태
한자한자

한자를 입력합니다.

예시
문자열필수
정체자정체자

대만에서 사용하는 정체자를 입력하세요. 한국식 한자와 다른 모양일 때만 입력하세요.

문자열선택 사항
속자속자

속자를 입력합니다.

알 수 없음제안
약자약자

약자를 입력합니다.

알 수 없음제안
고자고자

고자를 입력합니다.

알 수 없음제안
본자본자

본자를 입력합니다.

알 수 없음제안
이체자이체자

약자, 속자, 고자, 본자 이외의거나 종류를 알 수 없는 이체자를 입력해주세요.

예시
畾𡈶𤴐
알 수 없음제안
뜻 소리뜻 소리

뜻 소리(훈음)을 입력합니다.

예시
일어날 [흥]
알 수 없음필수
훈몽자회훈몽자회

훈몽자회에서의 훈음을 입력합니다.

문자열제안
동국정운동국정운

동국정운식 한자음을 입력합니다.

문자열제안
중고한어중고한어

한자의 중고한어 발음을 입력합니다.

문자열제안
획수획수

한자의 획수를 입력합니다.

숫자제안
부수부수

한자의 부수를 입력합니다.

문자열제안
신자체신자체

일본어의 신자체, 일본자를 입력합니다.

예시
문자열제안
음독음독

한자의 일본식 음독을 입력합니다. 음독이 하나 밖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해주세요.

문자열제안
오음오음

한자의 오음(吳音) 음독을 입력합니다.

문자열제안
한음한음

한자의 한음(漢音) 음독을 입력합니다.

문자열제안
당음당음

한자의 당음(唐音) 음독을 입력합니다.

문자열제안
관용음관용음

한자의 관용음(慣用音) 음독을 입력합니다.

문자열제안
훈독훈독

한자의 훈독(訓読)을 입력합니다.

문자열제안
신자체 획수신자체 획수

신자체의 획수를 입력합니다.

숫자제안
신자체 부수신자체 부수

신자체의 부수를 입력합니다.

문자열제안
간체자간체자

중국어의 간체자, 간화자, 간체를 입력합니다.

예시
문자열제안
간체자 획수간체자 획수

간체자 획수

숫자제안
간체자 부수간체자 부수

간체자의 부수를 입력합니다.

문자열제안
병음병음

한자의 병음(拼音)을 입력합니다.

문자열제안

다른 문서에 한자 정보 틀을 끼워넣을 때

한자 문서가 있어야 작동됩니다.

한자 카드와 훈음

{{:平}}
{{{뜻}}}〔{{{소리}}}〕

한자, 훈음만 표시

{{:平|훈음}}
{{{뜻}}}〔{{{소리}}}〕

한자만 표시

{{:平|한자만}}
{{{뜻}}}〔{{{소리}}}〕

한자 정보 틀을 생성할 때

시리즈:리브레 한자사전의 검색창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대만식 정체자/이체자/속자 표기 가능

{{{뜻}}}〔{{{소리}}}〕
{{한자 정보
|한자 = 樂
|정체자 = 平
|뜻 소리 = 즐길 [락], 음악 [악]
|부수 = 木
|획수 = 15
|신자체 = 楽
|신자체 획수 = 13
|훈독 = たの-しい
|음독 = ガク
|간체자 = 乐
|간체자 획수 = 5
|병음 = lè, yuè, lào}}

즐거울 락 樂 한자는 한국식 번체자, 간체자, 신자체, 대만/홍콩식 번체자 자형이 모두 다릅니다. 대만 표준 자형은『|정체자 = 平』처럼 쓰면 됩니다. 홍콩식 자형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모드 = 신자체

{{한자 정보|신자체
|한자 = 樂
|뜻 소리 = 즐길 [락], 음악 [악]
|부수 = 木
|획수 = 15
|신자체 = 楽
|신자체 획수 = 13
|훈독 = たの-しい
|음독 = ガク
|간체자 = 乐
|간체자 획수 = 5
|병음 = lè, yuè, lào}}

모드 = 간체자

{{한자 정보|간체자
|한자 = 樂
|뜻 소리 = 즐길 [락], 음악 [악]
|부수 = 木
|획수 = 15
|신자체 = 楽
|신자체 획수 = 13
|훈독 = たの-しい
|음독 = ガク
|간체자 = 乐
|간체자 획수 = 5
|병음 = lè, yuè, lào}}
{{{뜻}}}〔{{{소리}}}〕

한자 풀이

한자어를 한자 카드로 표시할 때 쓰는 틀입니다. 현재는 이 틀에 관한 코드를 제거했고 좀 더 단순한 디자인을 만들 예정입니다.


연습장이나 사용자 문서에서 틀의 사용이나 수정을 연습할 수 있습니다.
분류는 /설명문서에 넣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