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기한 한자: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 설명 = 이 문서에서는 '''특이한 한자'''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기준은 다소 주관적일 수 있습니다. = 자형 관련 = == 특이한 자형을 지...)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 설명 =
이 문서에서는 '''특이한 한자'''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기준은 다소 주관적일 수 있습니다.
이 문서에서는 '''특이한 한자'''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기준은 다소 주관적일 수 있습니다.


= 자형 관련 =
== 자형 관련 ==
== 특이한 자형을 지닌 한자 ==
=== 특이한 자형을 지닌 한자 ===
이 문단에서는 자형이 특정 물건이나, 화제가 되고 있는 유행어 등과 유사한 경우에 해당하는 한자에 대하여 서술합니다.
이 문단에서는 자형이 특정 물건이나, 화제가 되고 있는 유행어 등과 유사한 경우에 해당하는 한자에 대하여 서술합니다.


10번째 줄: 9번째 줄:
* 볼록할 철(凸) - 가운데 손가락을 올리는 욕설과 유사하게 생겨 'ㅗ'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었다.
* 볼록할 철(凸) - 가운데 손가락을 올리는 욕설과 유사하게 생겨 'ㅗ'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었다.


= 획이 적은 한자 =
== 획이 적은 한자 ==
이 문단에서는 '''1획 한자'''들만 서술합니다.
이 문단에서는 '''1획 한자'''들만 서술합니다.


== 획이 많은 한자 =
== 획이 많은 한자 ==


= 음훈 관련 =
== 음훈 관련 ==
== 음이 특이한 한자 ==
=== 음이 특이한 한자 ===
이 문단에서는 특정 음을 가진 한자가 5개 미만인 한자를 서술합니다.<ref>음은 [[한국 한자음]]을 의미하며, [[벽자]]와 [[이체자]] 등의 확장 한자들은 제외하고, 특정 한자의 급수와는 관계없이, 한국어문회 기준 특급 한자 범위 내에 같은 음을 가진 한자가 5개 미만인지를 기준으로 합니다.</ref>
이 문단에서는 특정 음을 가진 한자가 5개 미만인 한자를 서술합니다.<ref>음은 [[한국 한자음]]을 의미하며, [[벽자]]와 [[이체자]] 등의 확장 한자들은 제외하고, 특정 한자의 급수와는 관계없이, 한국어문회 기준 특급 한자 범위 내에 같은 음을 가진 한자가 5개 미만인지를 기준으로 합니다.</ref>


== 훈이 특이한 한자 ==
=== 훈이 특이한 한자 ===
이 문단에서는 훈이 한 단어가 아니라 구 형태로 제시되거나, 외래어 혹은 외국어인 경우에 해당하는 한자를 서술합니다.
이 문단에서는 훈이 한 단어가 아니라 구 형태로 제시되거나, 외래어 혹은 외국어인 경우에 해당하는 한자를 서술합니다.


== 음과 훈이 결합되어 특이하게 된 한자 ==
=== 음과 훈이 결합되어 특이하게 된 한자 ===
이 문단에서는 음과 훈이 결합되어 새로운 의미가 생기는 한자들에 대해 서술합니다.
이 문단에서는 음과 훈이 결합되어 새로운 의미가 생기는 한자들에 대해 서술합니다.


* 설 립(立)
* 설 립(立)
* 입 구(口)
* 입 구(口)
= 기타 =
== 기타 ==


[[분류:한자]]
[[분류:한자]]

2021년 7월 26일 (월) 19:35 판

이 문서에서는 특이한 한자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기준은 다소 주관적일 수 있습니다.

자형 관련

특이한 자형을 지닌 한자

이 문단에서는 자형이 특정 물건이나, 화제가 되고 있는 유행어 등과 유사한 경우에 해당하는 한자에 대하여 서술합니다.

  • 술통 유(㔽) - 샴푸의 모양과 유사하게 생겨 화제가 되었다. 예시
  • 그림 도(圖) - 플로피 디스켓의 모양과 유사하게 생겼다.
  • 볼록할 철(凸) - 가운데 손가락을 올리는 욕설과 유사하게 생겨 'ㅗ'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었다.

획이 적은 한자

이 문단에서는 1획 한자들만 서술합니다.

획이 많은 한자

음훈 관련

음이 특이한 한자

이 문단에서는 특정 음을 가진 한자가 5개 미만인 한자를 서술합니다.[1]

훈이 특이한 한자

이 문단에서는 훈이 한 단어가 아니라 구 형태로 제시되거나, 외래어 혹은 외국어인 경우에 해당하는 한자를 서술합니다.

음과 훈이 결합되어 특이하게 된 한자

이 문단에서는 음과 훈이 결합되어 새로운 의미가 생기는 한자들에 대해 서술합니다.

  • 설 립(立)
  • 입 구(口)

기타

  1. 음은 한국 한자음을 의미하며, 벽자이체자 등의 확장 한자들은 제외하고, 특정 한자의 급수와는 관계없이, 한국어문회 기준 특급 한자 범위 내에 같은 음을 가진 한자가 5개 미만인지를 기준으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