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대음감: 두 판 사이의 차이

19번째 줄: 19번째 줄:


=== 가상 인물 ===
=== 가상 인물 ===
*[[에도가와 코난]]
*[[에도가와 코난]]<s>근데 음치</s>


[[분류:음악]]
[[분류:음악]]

2015년 6월 7일 (일) 16:16 판

개요

어떤 소리를 듣고 그 소리의 음높이(음고音高, pitch)를 알아맞히는 능력어떤 의미로는 괴물. 상대음감과는 다르다. 선천적으로 타고날 수도 있고, 훈련으로 길러질 수도 있다. 음악을 전공한 사람들은 다들 어느 정도씩은 가지고 있는 것 같다. 베토벤이 이것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유명하다.

상대음감과의 차이

절대음감은 소리의 절대적인 음높이를 알아맞히는 능력이고, 상대음감은 다른 음과의 관계에서의 상대적 음높이를 알아맞히는 능력이다.

쉽게 말해 피아노 건반을 하나만 띡 누르고 이게 뭐게? 해서 “C4”, “5옥타브 파샵”[1] 등 답이 나오면 절대음감을 가진 것이고, 도레미파솔라시도를 들려준 다음에 건반 하나를 띡 누르고 이게 뭐게? 해서 “미플랫”, “높은 솔” 등 답이 나오면 상대음감을 가진 것이다. 혹은 두 음을 들려 주고 이 음정(音程, 음 간의 거리)이 뭐게? 해서 “단3도”, “완전5도” 등 답이 나오면 상대음감을 가진 것이다.

절대음감이 상대음감보다 우월한 개념처럼 보일 수 있는데, 꼭 그렇지는 않다. 예를 들어 아카펠라 곡을 연주한다고 할 때, 상대음감으로 음을 잡는 사람은 다른 사람이 음이 떨어질 때 자기도 아무 생각 없이 같이 음이 떨어져서 화음을 유지할 수 있지만, 절대음감으로 음을 잡는 사람은 다른 사람이 음이 떨어질 때 “잠깐, 저 음이 무슨 음높이지?” 하면서 굉장한 곤란을 겪게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절대음감을 가진 사람도 상대음감을 기를 필요가 있다.

오해

절대음감을 가지고 있으면 어쩐지 악기를 잘 다룰 것이라는 인상을 가지게 되지만, 악기의 실력과 절대음감은 아무런 관련이 없다. 이 악기라는 것에는 물론 목소리도 포함된다. 음이 틀렸다는 건 알겠는데 목이 안 따라주는 걸 어쩌라고 실력은 연습을 해야 느는 것이다(...) 다만 귀에 익은 곡을 악보 없이 연주할 수는 있을 것이다. 실력이 된다면.

이 능력을 가진 인물

실존 인물

가상 인물

  1. 고정도법(fixed Do)에 의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