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선거구 획정: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2014년 10월 30일 헌법재판소가 선거구 획정 기준을 인구편차 상하⅓, 인구비례 2:1로 변경하라고 결정하면서 논란이 가속되었다. == 국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2014년 10월 30일 [[헌법재판소]]가 선거구 획정 기준을 인구편차 상하⅓, 인구비례 2:1로 변경하라고 결정하면서 논란이 가속되었다.
2014년 10월 30일 [[헌법재판소]]가 [[선거구]] 획정 기준을 인구편차 상하⅓, 인구비례 2:1로 변경하라고 결정하면서 논란이 가속되었다.
== 국회 논의 절차 ==
== 국회 논의 절차 ==
== 지역별 획정 ==
== 지역별 획정 ==
20번째 줄: 20번째 줄:
=== 제주특별자치도 ===
=== 제주특별자치도 ===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게리맨더링]]
== 바깥 고리 ==
== 바깥 고리 ==
*[http://rcps.egov.go.kr:8081/jsp/stat/ppl_stat_jf.jsp 행정자치부 주민등록인구통계]
*[http://rcps.egov.go.kr:8081/jsp/stat/ppl_stat_jf.jsp 행정자치부 주민등록인구통계]


[[분류:대한민국의 정치]]
[[분류:대한민국의 정치]]

2015년 6월 7일 (일) 13:16 판

2014년 10월 30일 헌법재판소선거구 획정 기준을 인구편차 상하⅓, 인구비례 2:1로 변경하라고 결정하면서 논란이 가속되었다.

국회 논의 절차

지역별 획정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인천광역시

광주광역시

울산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당연히 1석을 받는다.

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

같이 보기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