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럼 앤 베이스: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12번째 줄: 12번째 줄:


=== 인텔리전트 DNB ===
=== 인텔리전트 DNB ===
1993년 탄생. '''Intelligent Dnb''' 또는 '''Intelligent Jungle'''은 앰비언트 음악, 칠 아웃, 재즈 및 소울 음악의 영향을 받은 [[드럼 앤 베이스#정글|정글]]의 부드러운 버전. Omni Trio, Peshay, '''Nookie''', DJ Pulse, Higher Sense, Photek, Jack, '''LTJ Bukem''' 등과 같은 아티스트가 개척했다. 관련 레이블로는 LTJ Bukem이 설립한 '''Good Looking Records''', Moving Shadow.
{{참조|인텔리전트 드럼 앤 베이스}}
 
=== 아트모스피어릭 DNB ===
이 장르는 더 차분하고 신스 사운드를 더 자주 사용한다. 이 장르를 개척한 사람들에는 Calibre, '''London Elektricity''', '''High Contrast''', Logistics, Nu : Tone, '''Netsky''', Lenzman 등이 있고 레이블로는 Hybrid Minds 및 '''Hospital Records''', Fokuz Records 및 '''Liquid V''' 등이 있다.
{{유튜브|fA69L_7nRKU|250px|250px|left}}{{유튜브|Yc5iPDvmEpE|250px|250px|left}}{{유튜브|acDmx0dj79g|250px|250px|left}}
{{-}}
 
==== 리퀴드 펑크 ====
'''리퀴드 펑크''', '''리퀴드 드럼 앤 베이스''', '''리퀴드 DnB''', '''리퀴드''' 또는 '''멜로딕 드럼 앤 베이스''' 는 [[드럼 앤 베이스]] 의 하위 장르다. 타 드럼 앤 베이스 장르와 유사한 [[베이스 라인|베이스라인]]과 [[마디 (음악)|마디]] 레이아웃을 사용하는 반면, [[마디 (음악)|마디]] 중심의 샘플 수와 악기 레이어 ([[신시사이저|신디사이저]] 및 자연적), 하모니, 멜로디 및 분위기가 더 많기 때문에 [[나이트클럽|나이트 클럽]] 및 [[레이브]] 뿐만 아니라 방구석 리스너들도 들을 수 있는 감성적인 분위기를 연출한다. [[재즈]], [[솔 음악|소울]], 때로는 [[블루스]]와 같은 음악 장르는 리퀴드 펑크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 탄생 =====
[[파일:Netsky_(DJ).jpg|오른쪽|섬네일|2008년 Netsky 공연]]
1999년 Fabio라는 프로듀서는 리퀴드 펑크(liquid funk)라고 불리는 새로운 형태의 드럼 앤 베이스를 자신의 Creative Source 레이블에 발표하면서 옹호하기 시작했다.<ref>[http://www.residentadvisor.net/forum-read.aspx?id=30527&page=1 "Magnetic Soul presents BBC Radio 1 DJ Fabio and MC Joker D @ Heat – 6 Jul 07"] Resident Advisor: Accessed August 27th, 2009</ref> 리퀴드 펑크는 [[앰비언트]], [[펑크]], [[디스코]], [[하우스 음악|하우스]], [[트랜스 음악]]의 영향을 받았고 보컬이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초창기는 성장이 더뎠다가, 이 스타일의 인기는 2003 - 2004년 사이에 대규모로 성장하고, 2005년에 드럼 앤 베이스에서 가장 인기가 많은 하위 장르가 되었고, '''Good Looking Records''', '''Hospital Records''', Liquid V, Shogun Limited와 같은 레이블, 그리고 '''Netsky''', '''High Contrast''', '''London Elektricity''', Nu:Tone, Shapeshifter, DJ Marky, Solid State 같은 프로듀서들도 큰 인기를 얻었다.<ref>[https://www.independent.co.uk/arts-entertainment/music/reviews/album-twisted-tongue-twisted-tongue-acid-jazz-1768309.html "Album: Twisted Tongue, Twisted Tongue, Acid Jazz"] The Independent: Accessed August 27th, 2009</ref>
 
리퀴드 펑크는 [[인텔리전트 드럼 앤 베이스]]나 [[아트모스피어릭 드럼 앤 베이스]]와 매우 유사하지만 미묘한 차이가 있다.<ref>[http://www.taipeitimes.com/News/feat/archives/2009/02/13/2003436001 "THE VINYL WORD"] ''Taipei Times'': Accessed August 27, 2009</ref> 리퀴드 펑크는 소카 음악, [[라틴 음악]], [[재즈]], [[디스코]], [[브레이크비트|브레이크 비트]] 및 [[펑크|펑크 음악]]의 큰 영향을 받은 반면, 인텔리전트 DnB 또는 아트모스피어릭 DnB는 더 조용한 신디사이저 사운드, 부드러운 신스 라인, 깊은 베이스, 실제 악기 샘플로 이루어져 있다.
 
===== 지속적인 성장 =====
리퀴드 음악은 2006년에서 2009년까지 Eveson, Alix Perez, Zero T, Lenzman 및 Spectrasoul과 같은 아티스트의 부상으로 계속 성장했다. 그 이전의 리퀴드처럼, 그것은 영국에서 성장했다. 이 예술가들은 [[아멘 브레이크]]와 [[롤랜드 TR-808]]의 사용을 줄이고 [[드럼 앤 베이스]]씬에 새로운 사운드를 가져 왔다.
 
2007년 10월 1일 [[하이 콘트라스트|High Contrast]]는 자신의 앨범 '''Tough Guys Don't Dance'''로 리퀴드 펑크를 다시 주류로 끌어올렸으며 라디오 1의 댄스 싱글 차트 "Kiss Kiss Bang"을 만든 "If We Ever"와 같은 트랙을 발표했다. 결국 [[크로스오버|크로스오버]]를 중심으로 2007년 드럼 앤 베이스 앨범 중 가장 많이 듣는 음악 중 하나가 되었다. 리퀴드 펑크의 성공은 결코 주류를 떠나지 않았으며, 주간 라디오, 체이스 및 상태 '''More than Alot''' 앨범 차트 및 Brookes Brothers의 싱글 "The Big Blue", "Get On"와 "Loveline"이 댄스 차트를 쳤다.
 
Liquicity는 2011년에 YouTube 채널로 등장했으며 2011년에는 특히 [[네덜란드]], [[벨기에]] 및 [[영국]]에서 새로운 리퀴드 DnB 아티스트를 위한 레코드 레이블 및 이벤트 프로모션으로 점차 성장했다.<ref name="Meadow">{{웹 인용|url=http://www.youredm.com/2014/11/11/liquicity-founders-detail-how-to-make-it-as-a-youtube-label/|제목=Liquicity: How to Make it as a YouTube Label|성=Matthew Meadow|날짜=11 November 2014|웹사이트=Your EDM|확인날짜=3 June 2017}}</ref>
 
{{번역된 문서|en|Drum_and_bass#Light_drum_and_bass||}}
{{퍼온문서|문서=리퀴드 펑크|판=28820490|일부=.}}


=== 하드스텝(1994) ===
=== 하드스텝(1994) ===

2021년 2월 20일 (토) 18:51 판

개요

드럼 앤 베이스(Drum and Bass, DnB)는 서브베이스와 리즈베이스를 주로 사용하는 속도감 있는 일렉트로니카 장르이다. 하위 장르는 드럼스텝, 하드스텝, 아트코어[1], 점프업, 뉴로펑크가 있다. 드럼 앤 베이스와 해피 하드코어의 조상은 하드코어 테크노. 초기 레이브 파티에서 자주 틀어주던 브레이크비트 하드코어와 레게, 댄스홀 등이 결합하여 정글이 탄생하고 이 정글이 다듬어진 장르가 드럼 앤 베이스다.

정글 음악에서 파생된 하위 장르

정글

(1991? ~ ?) Jungle 또는 Oldschool jungle 모든 드럼 앤 베이스 장르의 조상. 정글 음악은 자메이카, 흑인 음악과의 연관성이 높다. 알게 모르게 현대 음악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아멘 브레이크 샘플과 레게풍의 리드, 랩[2] 샘플이 즐겨 사용되었다.

라가 정글

인텔리전트 DNB

하드스텝(1994)

점프업(1995)

기타 하위장르

댄스플로어

트랜스스텝

마이크로 펑크

드릴 앤 베이스

샘베이스

라운지 코어

아트코어

리듬게임에서 드럼 앤 베이스 하면 대부분 아트코어인데 독자적인 장르로 구분짓자고 주장하는 사람들과 이건 장르가 아니다!라고 주장하는 사람들로 나뉘어 이걸 장르로 볼지 말아야 할지 애매하다. 하지만 아트코어는 매우 강조되는 선율과 가벼운 비트가 특징인 만큼 독자적인 장르로 인정될 여지가 있기는 하다.

리듬 게임에서 드럼 앤 베이스

각주

  1. 다만 이것은 장르로 보기에는 애매하고, 하나의 스타일이라고 할 수 있다. 주로 동인 음악계에서 만들어진다
  2. 레게에서의 랩은 토스팅이라고 부른다. 토스팅이 랩과 노래의 중간 성격을 띤다고 생각하면 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