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카렌스: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3번째 줄:


===카렌스 1 (RS)===
===카렌스 1 (RS)===
1996년 6월에 첫 출시를 하였다. 세피아의 차대와 크레도스의 엔진을 사용하였다.
[[1996년]] 6월에 첫 출시를 하였다. 세피아의 차대와 크레도스의 엔진을 사용하였다. 출시 이후 말 그대로 대박을 터트리면서 당시 법정관리에 있던 [[기아자동차]]에게 구원을 내려준 차량이다.
 
현대자동차의 트라제와 같이 자동미션에 칼럼시프트를 적용하였으나 우핸들 모델은 일반형 레바가 달려있다.
에어백이 달린 모델의 경우 핸들 양 끝에 버튼식 클락션이 달려있어 구분하기가 쉽다. <del>구입시에 참고하자.</del> 조수석의 경우도 에어백이 없을 시 <del>공간활용을 높여주는</del> 수납장이 달려있다.
 
동시대에 나온 [[스펙트라]], [[스포티지]], [[카니발]]과 공용되는 부품이 많다.
 
[[2000년]]에 <del>멋지게 바뀐</del> 밀레니엄 모델을 내놓으면서 그릴 형상과 엠블럼, 후미등의 변화가 있었다. 1년 뒤에는 L4GC엔진을 단 2000Di가 출시되었다.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79번째 줄: 86번째 줄:
|}
|}


===카렌스 2 (RS) ===
===카렌스 2 (RS/FJ) ===
2002년 3월 출시하였다. 차량명에서 2로 분류하여 별도로 보나 외형만 바뀐 것이라 1세대의 페이스리프트로 보기도 한다.
[[2002년]] 3월 출시하였다. 전작에 비해 조금 커지고 각진 외형으로 바뀌었다. 차량명에서 2로 분류하여 별도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나 외형만 바뀐 것이라 1세대의 페이스리프트로 보기도 한다. 해외에 따라 FJ라는 단독 프로젝트명이 쓰이기도 한다.
 
2.0 휘발유 모델이 새로 생겨났고, 전작의 버튼식 클락션이 사라졌으며 전작과 같이 우핸들 모델은 일반형 레버를 달고있다.


====X-Trek====
====X-Trek====
경유승용차 배출허용치 조정으로 인해 단종된 카렌스2 디젤에 LSD를 달아 SUV 승인을 받은 뒤 출시한 모델이다.
경유승용차 배출허용치 조정으로 인해 단종된 카렌스2 디젤에 LSD를 달아 SUV 승인을 받은 뒤 출시한 모델이다. <del>물론 진짜 SUV는 아니다.</del>
카렌스2와 비교하여 전고가 조금 높고, 투톤 컬러와 클리어 리어램프를 장착하였다.  
 
카렌스2와 비교하여 전고가 조금 높고, 투톤 컬러와 클리어 리어램프를 장착하여 일반형 카렌스2와 다른 모델임을 강조하였다. <del>눈가리고 아웅이 이럴때 쓰는말이다.</del>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colspan="6" style="text-align: center;" | 카렌스 ll (RS)
! colspan="6" style="text-align: center;" | 카렌스 ll (FJ)
! style="text-align: center;" | X-Trek
! style="text-align: center;" | X-Trek
|-
|-
186번째 줄: 196번째 줄:


===뉴 카렌스 (UN)===
===뉴 카렌스 (UN)===
2006년 4월 출시하였다. 기존의 세피아 차대에서 중형차인 로체 기반으로 변경되어 넓은 공간을 가지게 되었다.
[[2006년]] 4월 출시하였다. 기존의 세피아 차대에서 중형차인 로체 기반으로 변경되어 넓은 공간을 가지게 되었다. [[2007년]] [[대우 레조]]가 단종된 이후 올란도 출시 전까지 국내에서 팔리던 사실상의 유일한 7인승 미니밴 차량이다.
 
초기형은 내수형과 수출형의 전면 범퍼 형상이 달랐으나 [[2008년]] 이후 페이스리프트를 거치면서 동일한 형상을 가지게 되었고, [[2012년]] 한번 더 페이스리프트를 거치게 된다.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265번째 줄: 277번째 줄:


===올 뉴 카렌스 (RP)===
===올 뉴 카렌스 (RP)===
2013년 3월에 출시하였다. 기아 씨드의 플랫폼을 활용해 만들어 전작의 뉴카렌스에 비해 차량의 크기가 작아졌으나 디자인적으로 극복을 하였다. 출시 이후 현재까지도 쉐보레 올란도를 이기지 못하는 차량이다.
2013년 3월에 출시하였다. 기아 씨드의 플랫폼을 활용해 만들어 전작의 뉴카렌스에 비해 전체적인 차량의 크기가 작아진 것이 특징이다. 항상 커지기만 하는 신차 특성상 주목을 받았던 부분.
 
작은 차체를 디자인으로 극복하려 했는지 앞유리가 무지막지하게 커졌고 결국 국내에서 유일한 수평와이퍼를 장착한 차량이 되었다.<del>와이퍼 값이 비싸지는 소리가 들린다.</del>
 
다운사이징의 유행으로 1.7 디젤이 들어갔으나 가스의 경우 여전히 2.0이 들어간다.
 
출시 이후 [[쉐보레 올란도]]에게 성능이나 외형면에서 크게 뒤떨어지는 것이 없고, 네임벨류를 보자면 우위에 있는 것이 당연하지만 현재까지도 꾸준하게 발리고 있다.
 
1.7 엔진을 단 카렌스는 2.0을 단 올란도에게 발린게 아닌가..
 
<del>어찌나 안팔렸는지</del> [[2014년]] [[택시]] 모델을 출시하였다. 그래도 판매량은 영..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2015년 5월 25일 (월) 20:05 판

개요

기아자동차에서 1999년 6월 출시하여 현재까지 생산되고 있는 소형MPV이다.

카렌스 1 (RS)

1996년 6월에 첫 출시를 하였다. 세피아의 차대와 크레도스의 엔진을 사용하였다. 출시 이후 말 그대로 대박을 터트리면서 당시 법정관리에 있던 기아자동차에게 구원을 내려준 차량이다.

현대자동차의 트라제와 같이 자동미션에 칼럼시프트를 적용하였으나 우핸들 모델은 일반형 레바가 달려있다. 에어백이 달린 모델의 경우 핸들 양 끝에 버튼식 클락션이 달려있어 구분하기가 쉽다. 구입시에 참고하자. 조수석의 경우도 에어백이 없을 시 공간활용을 높여주는 수납장이 달려있다.

동시대에 나온 스펙트라, 스포티지, 카니발과 공용되는 부품이 많다.

2000년멋지게 바뀐 밀레니엄 모델을 내놓으면서 그릴 형상과 엠블럼, 후미등의 변화가 있었다. 1년 뒤에는 L4GC엔진을 단 2000Di가 출시되었다.

카렌스 (RS)
출시일 1999.06
전장 4,450mm
전폭 1,730mm
전고 1,600mm
축거 2,570mm
윤거(전) 1,470mm
윤거(후) 1,470mm
승차정원 7인승
구동방식 전륜구동
전륜 서스펜션 맥퍼슨 스트릿
후륜 서스펜션 듀얼링크
전륜 브레이크 V디스크
후륜 브레이크 드럼, 디스크
엔진 TL TB L4GC
배기량 1,793cc 1,975cc
연료 LPG 가솔린 LPG
최대 출력 108ps/5,600 (전) 130ps/6,000 123ps/5,500
(후) 118ps/5,800
최대 토크 16.1kg.m/4,500 (전) 17.0kg.m/4,500 17.5kg.m/3000
(후) 16.1kg.m/4,500
변속기 수동 5단, 자동 4단

카렌스 2 (RS/FJ)

2002년 3월 출시하였다. 전작에 비해 조금 커지고 각진 외형으로 바뀌었다. 차량명에서 2로 분류하여 별도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나 외형만 바뀐 것이라 1세대의 페이스리프트로 보기도 한다. 해외에 따라 FJ라는 단독 프로젝트명이 쓰이기도 한다.

2.0 휘발유 모델이 새로 생겨났고, 전작의 버튼식 클락션이 사라졌으며 전작과 같이 우핸들 모델은 일반형 레버를 달고있다.

X-Trek

경유승용차 배출허용치 조정으로 인해 단종된 카렌스2 디젤에 LSD를 달아 SUV 승인을 받은 뒤 출시한 모델이다. 물론 진짜 SUV는 아니다.

카렌스2와 비교하여 전고가 조금 높고, 투톤 컬러와 클리어 리어램프를 장착하여 일반형 카렌스2와 다른 모델임을 강조하였다. 눈가리고 아웅이 이럴때 쓰는말이다.

카렌스 ll (FJ) X-Trek
출시일 2002.03 2003.04
전장 4,490mm 4,490mm
전폭 1,750mm 1,750mm
전고 1,610mm 1,685mm
축거 2,570mm 2,570mm
윤거(전) 1,490mm 1,490mm
윤거(후) 1,485mm 1,485mm
승차정원 7인승 7인승
구동방식 전륜구동 전륜구동
전륜 서스펜션 맥퍼슨 스트릿 맥퍼슨 스트릿
후륜 서스펜션 듀얼링크 듀얼링크
전륜 브레이크 V디스크 V디스크
후륜 브레이크 드럼, 디스크 디스크
엔진 TL TB L4GC G4GC D4EA D4EA
배기량 1,793cc 1,975cc 1,991cc 1,991cc
연료 LPG 가솔린 LPG 가솔린 디젤 디젤
최대 출력 108ps/5,600 126ps/6,000 123ps/5,500 138ps/6,000 115ps/4,000 115ps/4,000
최대 토크 16.1kg.m/4,500 16.5ps/4,900 17.5kg.m/3,000 17.8kg.m/4,500 26.0kg.m/2,000 26.0kg.m/2,000
변속기 수동 5단, 자동 4단


뉴 카렌스 (UN)

2006년 4월 출시하였다. 기존의 세피아 차대에서 중형차인 로체 기반으로 변경되어 넓은 공간을 가지게 되었다. 2007년 대우 레조가 단종된 이후 올란도 출시 전까지 국내에서 팔리던 사실상의 유일한 7인승 미니밴 차량이다.

초기형은 내수형과 수출형의 전면 범퍼 형상이 달랐으나 2008년 이후 페이스리프트를 거치면서 동일한 형상을 가지게 되었고, 2012년 한번 더 페이스리프트를 거치게 된다.

뉴 카렌스 (UN)
출시일 2006.04
전장 4,545mm
전폭 1,820mm
전고 1,650mm
축거 2,700mm
윤거(전) 1,575mm
윤거(후) 1,570mm
승차정원 7인승
구동방식 전륜구동
전륜 서스펜션 맥퍼슨 스트릿
후륜 서스펜션 듀얼링크
전륜 브레이크 V디스크
후륜 브레이크 드럼, 디스크
엔진 L4KA G4KA D4EA
배기량 1,998cc 1,991cc
연료 LPG 가솔린 디젤
최대 출력 (06) 136ps/6,000 151ps/6,000 (06) 146ps/4,000
(09) 138ps/6,000 (10) 151ps/4,000rpm
최대 토크 (06) 18.9kg.m/4,250rpm 19.8kg.m/4,250 32.0kg.m/2,000
(09) 19.0kg.m/4250
변속기 수동 5단, 자동 4단

올 뉴 카렌스 (RP)

2013년 3월에 출시하였다. 기아 씨드의 플랫폼을 활용해 만들어 전작의 뉴카렌스에 비해 전체적인 차량의 크기가 작아진 것이 특징이다. 항상 커지기만 하는 신차 특성상 주목을 받았던 부분.

작은 차체를 디자인으로 극복하려 했는지 앞유리가 무지막지하게 커졌고 결국 국내에서 유일한 수평와이퍼를 장착한 차량이 되었다.와이퍼 값이 비싸지는 소리가 들린다.

다운사이징의 유행으로 1.7 디젤이 들어갔으나 가스의 경우 여전히 2.0이 들어간다.

출시 이후 쉐보레 올란도에게 성능이나 외형면에서 크게 뒤떨어지는 것이 없고, 네임벨류를 보자면 우위에 있는 것이 당연하지만 현재까지도 꾸준하게 발리고 있다.

1.7 엔진을 단 카렌스는 2.0을 단 올란도에게 발린게 아닌가..

어찌나 안팔렸는지 2014년 택시 모델을 출시하였다. 그래도 판매량은 영..

올 뉴 카렌스 (RP)
출시일 2013.03
전장 4,525mm
전폭 1,805mm
전고 1,610mm
축거 2,750mm
윤거(전) (18) 1,563mm
(16) 1,573mm
윤거(후) (18) 1,576mm
(16) 1,586mm
승차정원 7인승 5인승, 7인승
구동방식 전륜구동
전륜 서스펜션 맥퍼슨 스트릿
후륜 서스펜션 토션빔
전륜 브레이크 디스크
후륜 브레이크 디스크
엔진 L4FD L4NA
배기량 1,999cc 1,685cc
연료 LPG 디젤
최대 출력 154ps/6,200rpm 140ps/4,000rpm
최대 토크 19.8kg.m/4,200rpm 33.0kg.m/1,750~2,500rpm
변속기 수동 6단, 자동 6단 자동 6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