핑: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핑'''(Ping)은 특정 [[IP 주소]]나 [[웹 사이트]]에 일정 수준의 [[웹 트래픽|트래픽]]을 보내서 웹 사이트의 [[속도]]를 측정하는 행위이다. 핑을 하면 웹사이트의 속도를 간단하게 알 수 있으며 서버 오류 여부도 쉽게 알 수 있다.
'''핑'''(Ping)은 특정 [[IP 주소]]나 [[웹 사이트]]에 일정 수준의 [[웹 트래픽|트래픽]]을 보내서 웹 사이트의 [[속도]]를 측정하는 행위이다. 핑을 하면 웹사이트의 속도를 간단하게 알 수 있으며 서버 오류 여부도 쉽게 알 수 있다. [[구글]]이나 [[DNS]] 사이트 등에 핑을 걸어 인터넷 속도도 측정할 수 있으며, 핑이 낮을 수록 빠른 것이고 100이 넘어가면 매우 느린 것이다.


== 어떻게 하는가 ==
== 어떻게 하는가 ==

2020년 11월 7일 (토) 07:33 판

(Ping)은 특정 IP 주소웹 사이트에 일정 수준의 트래픽을 보내서 웹 사이트의 속도를 측정하는 행위이다. 핑을 하면 웹사이트의 속도를 간단하게 알 수 있으며 서버 오류 여부도 쉽게 알 수 있다. 구글이나 DNS 사이트 등에 핑을 걸어 인터넷 속도도 측정할 수 있으며, 핑이 낮을 수록 빠른 것이고 100이 넘어가면 매우 느린 것이다.

어떻게 하는가

핑은 명령 프롬프트(cmd.exe)에 간단한 문구를 입력해서 할 수 있다. "ping (IP 주소)" 식으로 입력하면 즉시 핑이 동작하며 시간을 없애고 계속 핑을 주고 싶을 때는 "ping -t (IP 주소)" 식으로 입력하면 된다.

트래픽 과부하

지금은 클라우드플레어 등의 등장으로 사이트 보안이 향상되어 잘 볼 수 없는 풍경이 되었지만 예전에는 이 핑을 이용하여 사이트를 과부하시키는 공격 수법도 있었다. 명령 프롬프트의 핑 기능을 이용하면 보낼 트래픽을 65,500바이트까지 증가시킬 수 있는데 이 트래픽을 20,000 정도로 설정해놓고 몇 시간 정도 핑을 주면 실제로도 가능한 일이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