겹말: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예시)
편집 요약 없음
19번째 줄: 19번째 줄:
* 피랍되다: '''피'''랍(被拉) + '''되다'''. ‘피랍하다’가 옳다. ‘-하다’를 붙이는 게 어색할 수 있는데, ‘수상하다(상을 받다)’ ‘양수하다(넘겨받다)’ 따위를 생각해 보면 꼭 그렇지도 않음을 알 수 있다. 더 적절한 예시 있으면 [[수정바람]]. 정 어색하면 괜히 ‘피랍’ 같은 말 쓰지 말고 그냥 ‘납치되다’라고 쓰면 된다.
* 피랍되다: '''피'''랍(被拉) + '''되다'''. ‘피랍하다’가 옳다. ‘-하다’를 붙이는 게 어색할 수 있는데, ‘수상하다(상을 받다)’ ‘양수하다(넘겨받다)’ 따위를 생각해 보면 꼭 그렇지도 않음을 알 수 있다. 더 적절한 예시 있으면 [[수정바람]]. 정 어색하면 괜히 ‘피랍’ 같은 말 쓰지 말고 그냥 ‘납치되다’라고 쓰면 된다.
** 피살되다, 피습을 당하다, 피해를 입다 따위도 마찬가지이다.
** 피살되다, 피습을 당하다, 피해를 입다 따위도 마찬가지이다.
* RPG '''게임''' : RPG는 롤플레잉 '''게임'''의 준말이다. RPG 게임을 풀어쓰면 '롤플레잉 게임게임'이 된다.


[[추가바람]]
[[추가바람]]
36번째 줄: 37번째 줄:


{{주석}}
{{주석}}
[[분류:맞춤법]]

2015년 9월 16일 (수) 00:17 판

정의

같은 뜻의 말이 겹쳐서 된 말이다.[1] 보통 잘못된 말로 여긴다.

겹말의 대표격은 ‘역전 앞’이다. 역(驛前) + 이니 겹말이고, ‘역 앞’ 또는 ‘역전’이라고만 써야 한다는 것이다. 요즘 사람들 중에서는 ‘역전 앞’이라는 말을 들어 본 일도 없는 사람도 훨씬 많을 텐데, 여지껏 까이고 있다.

영어의 redundancy와 비슷하다.

예시

(가나다순)

  • 고목나무: 고(古木) + 나무. 다만 표준국어대사전에 표제어로 올라 있다.
  • 과반수를 넘다: 반수(過半數)를 넘다. 그냥 ‘과반이 되다’ ‘과반의’ 따위를 쓰면 된다.정부여당의 입김이 작용하는 인사가 과반수를 넘게 된다.
    • ‘과반수 이상’도 잘못이다.
  • 단발머리: 단(短髮) + 머리.[2] 다만 표준국어대사전에 표제어로 올라 있다.
  • 따뜻한 온정: 따뜻한 + 정(溫情). “지역사회에 따뜻한 온정이 이어지고 있다.“
  • 동해 바다: 동(東海) + 바다.
    • 서해 바다, 남해 바다 따위도 같다.
  • 처갓집: 처(妻家) + . 다만 표준국어대사전에 표제어로 올라 있다.
    • 외갓집, 상갓집 따위도 같다.
  • 피랍되다: 랍(被拉) + 되다. ‘피랍하다’가 옳다. ‘-하다’를 붙이는 게 어색할 수 있는데, ‘수상하다(상을 받다)’ ‘양수하다(넘겨받다)’ 따위를 생각해 보면 꼭 그렇지도 않음을 알 수 있다. 더 적절한 예시 있으면 수정바람. 정 어색하면 괜히 ‘피랍’ 같은 말 쓰지 말고 그냥 ‘납치되다’라고 쓰면 된다.
    • 피살되다, 피습을 당하다, 피해를 입다 따위도 마찬가지이다.
  • RPG 게임 : RPG는 롤플레잉 게임의 준말이다. RPG 게임을 풀어쓰면 '롤플레잉 게임게임'이 된다.

추가바람

겹말이 아닌 예

비슷한 개념

  • Tautology
  • RAS syndrome

외부 링크

각주

  1. 표준국어대사전.
  2. ‘머리’에 ‘머리카락’이라는 뜻이 있다. 예를 들어 ‘머리를 자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