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미로드: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무선]]
[[분류:무선]]
==RF==
===개요===
[[파일:Sender Moosbrunn - RF Dummy Load with sodium hydroxide solution.JPG|섬네일|오스트리아 방송국의 무스브룬 송신소 단파 송신기의 더미 로드]]
[[파일:Sender Moosbrunn - RF Dummy Load with sodium hydroxide solution.JPG|섬네일|오스트리아 방송국의 무스브룬 송신소 단파 송신기의 더미 로드]]
출력단에 아무것도 연결이 되어있지 않으면 발생된 출력이 다시 송신기로 돌아가 과열로인해 장비에 손상을 일으킬수 있기 때문에 더미로드를 이용해 RF출력을 열로 바꿔야 한다.<br>
==개요==
===구성===
출력단에 아무것도 연결이 되어있지 않으면 발생된 출력이 다시 송신기로 돌아가 과열로인해 장비에 손상을 일으킬수 있기 때문에 더미로드를 이용해 RF출력을 열로 바꿔야 한다.
일반적으로[[방열판]]과 [[저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견딜수 있는 출력이 낮은 장치는 [[공냉]]식이며 고출력을 견딜수 있는 장치는 [[수랭]]식이다. 위의 사진도 [[냉매]]로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고 있으며 최대 입력 출력은100kW라고 한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8C%8C%EC%9D%BC:Sender_Moosbrunn_-_RF_Dummy_Load_with_sodium_hydroxide_solution.JPG</ref>
==구성==
===제조사===
일반적으로 [[방열판]]과 [[저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견딜 수 있는 출력이 낮은 장치는 [[공냉]]식이며 고출력을 견딜수 있는 장치는 [[수랭]]식이다. 위의 사진도 [[냉매]]로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고 있으며 최대 입출력은 100kW라고 한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8C%8C%EC%9D%BC:Sender_Moosbrunn_-_RF_Dummy_Load_with_sodium_hydroxide_solution.JPG</ref>
[[Bird Technologies]]<br>
==제조사==
[[Diamond Antenna]]<br>
* [[Bird Technologies]]
[[HarshMet]]<br>
* [[Diamond Antenna]]
[[HDG TELECOM]]
*[[HarshMet]]
===갤러리===
* [[HDG TELECOM]]
==갤러리==
<gallery>
<gallery>
Dummy load.jpg|설명1
Dummy load.jpg|
Dummy Load.jpg|
Dummy Load.jpg|
Ferritisolator2.jpg|더미로드가 달린 서큘레이터
Ferritisolator2.jpg|더미로드가 달린 서큘레이터
</gallery>
</gallery>

2019년 11월 4일 (월) 19:05 판

오스트리아 방송국의 무스브룬 송신소 단파 송신기의 더미 로드

개요

출력단에 아무것도 연결이 되어있지 않으면 발생된 출력이 다시 송신기로 돌아가 과열로인해 장비에 손상을 일으킬수 있기 때문에 더미로드를 이용해 RF출력을 열로 바꿔야 한다.

구성

일반적으로 방열판저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견딜 수 있는 출력이 낮은 장치는 공냉식이며 고출력을 견딜수 있는 장치는 수랭식이다. 위의 사진도 냉매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고 있으며 최대 입출력은 100kW라고 한다.[1]

제조사

갤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