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136 구룡 다연장 로켓: 두 판 사이의 차이

(막다른 문서 해소!)
1번째 줄: 1번째 줄:
구룡 다연장로켓은 K-136이란 제식명을 가진 국군의 로켓포다. 동구권의 BM-21과 유사하게 생겼으며 사실 BM-21과 관계가 깊다.
{{토막글}}
'''구룡 다연장로켓'''은 K-136이란 제식명을 가진 [[대한민국 국군]]의 로켓포다. 동유럽권의 [[BM-21]]과 유사하게 생겼으며 사실 BM-21과 관계가 깊다.


== 개발==
== 개발==
북한이 휴전선과 황해도 해안에 배치한 수백문의 방사포(다연장로켓)들이 골칫거리였던 국군은 북의 방사포에 대응할 전력으로 똑같이 다연장로켓을 배치해 응수하기로 한다.
[[북한]]이 [[휴전선]]과 황해도 해안에 배치한 수백 문의 방사포(다연장로켓)들이 골칫거리였던 대한민국 국군은 북의 방사포에 대응할 전력으로 똑같이 다연장로켓을 배치해 응수하기로 한다. 당시 북한의 주 방사포 전력은 BM-21이었는데, 더도 말고 저 정도 수준이면 된다며 국군은 BM-21의 사진을 [[국방과학연구소]](ADD)에 보내 이거랑 걍 똑같이 만들라고 한다. 다른 정보는 하나도 없이...
당시 북한의 주 방사포 전력은 BM-21이였는데, 더도말고 저정도 수준이면 된다며 국군은 BM-21의 사진을 ADD에 보내 이거랑 걍 똑같이 만들라고 한다. 다른 정보는 하나도 없이...
 
그래도 굴지의 ADD는 BM-21의 외형을 그대로 배껴 자체적으로 다연장로켓을 개발했고 국군은 이 구룡에 만족해 잘 쓰고 있다.
그래도 굴지의 ADD는 BM-21의 외형을 그대로 베껴 자체적으로 다연장로켓을 개발했고 국군은 이 구룡에 만족해 잘 쓰고 있다.
 
{{각주}}
[[분류:발사 무기]]

2017년 1월 17일 (화) 19:15 판

틀:토막글 구룡 다연장로켓은 K-136이란 제식명을 가진 대한민국 국군의 로켓포다. 동유럽권의 BM-21과 유사하게 생겼으며 사실 BM-21과 관계가 깊다.

개발

북한휴전선과 황해도 해안에 배치한 수백 문의 방사포(다연장로켓)들이 골칫거리였던 대한민국 국군은 북의 방사포에 대응할 전력으로 똑같이 다연장로켓을 배치해 응수하기로 한다. 당시 북한의 주 방사포 전력은 BM-21이었는데, 더도 말고 딱 저 정도 수준이면 된다며 국군은 BM-21의 사진을 국방과학연구소(ADD)에 보내 이거랑 걍 똑같이 만들라고 한다. 다른 정보는 하나도 없이...

그래도 굴지의 ADD는 BM-21의 외형을 그대로 베껴 자체적으로 다연장로켓을 개발했고 국군은 이 구룡에 만족해 잘 쓰고 있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