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pcha: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유니코드 블록 정보 |이름 = Lepcha |뜻 = 렙차 문자 |평면 = BMP |범위 = <code>U+1C00 ~ U+1C4F</code> |코드개수 = 80 |글자수 = 74 |미사용 = 6 |종류 = 남아시아 문자 |방향 = 오른쪽 |이전블록 = Batak |다음블록 = Ol Chiki |관련블록 = |버전 = 5.1 |비고 = }} '''Lepcha'''는 유니코드의 62번째 블록이다. 인도 북동부 시킴주서벵골주에서 쓰이는 렙차어를 표기하는 문...)
 
편집 요약 없음
 
26번째 줄: 26번째 줄:
! !!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A !! B !! C !! D !! E !! F
! !!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A !! B !! C !! D !! E !! F
|-
|-
| 1C0x || ᰀ || ᰁ || ᰂ || ᰃ || ᰄ || ᰅ || ᰆ || ᰇ || ᰈ || ᰉ || ᰊ || ᰋ || ᰌ || ᰍ || ᰎ || ᰏ
! 1C0x
| ᰀ || ᰁ || ᰂ || ᰃ || ᰄ || ᰅ || ᰆ || ᰇ || ᰈ || ᰉ || ᰊ || ᰋ || ᰌ || ᰍ || ᰎ || ᰏ
|-
|-
| 1C1x || ᰐ || ᰑ || ᰒ || ᰓ || ᰔ || ᰕ || ᰖ || ᰗ || ᰘ || ᰙ || ᰚ || ᰛ || ᰜ || ᰝ || ᰞ || ᰟ
! 1C1x
| ᰐ || ᰑ || ᰒ || ᰓ || ᰔ || ᰕ || ᰖ || ᰗ || ᰘ || ᰙ || ᰚ || ᰛ || ᰜ || ᰝ || ᰞ || ᰟ
|-
|-
| 1C2x || ᰠ || ᰡ || ᰢ || ᰣ || ᰤ || ᰥ || ᰦ || ᰧ || ᰨ || ᰩ || ᰪ || ᰫ || ᰬ || ᰭ || ᰮ || ᰯ
! 1C2x
| ᰠ || ᰡ || ᰢ || ᰣ || ᰤ || ᰥ || ᰦ || ᰧ || ᰨ || ᰩ || ᰪ || ᰫ || ᰬ || ᰭ || ᰮ || ᰯ
|-
|-
| 1C3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C3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C4x || ᱀ || ᱁ || ᱂ || ᱃ || ᱄ || ᱅ || ᱆ || ᱇ || ᱈ || ᱉ || ᱊ || ᱋ || ᱌ || ᱍ || ᱎ || ᱏ
! 1C4x
| ᱀ || ᱁ || ᱂ || ᱃ || ᱄ || ᱅ || ᱆ || ᱇ || ᱈ || ᱉ || ᱊ || ᱋ || ᱌ || ᱍ || ᱎ || ᱏ
|}
|}


44번째 줄: 49번째 줄:
{{각주}}
{{각주}}
{{유니코드 블록}}
{{유니코드 블록}}
[[분류:유니코드 블록|01C00]]
[[분류:유니코드 블록]]
[[분류:기본 다국어 평면|1C00]]

2023년 10월 17일 (화) 01:25 기준 최신판

Lepcha
이름의 뜻 렙차 문자
유니코드 평면 BMP
코드 범위 U+1C00 ~ U+1C4F
코드 개수 80
글자 수 74
미사용 글자 6
종류 남아시아 문자
쓰기 방향 오른쪽
이전 블록 Batak
다음 블록 Ol Chiki
추가된 버전 5.1

Lepcha유니코드의 62번째 블록이다. 인도 북동부 시킴주서벵골주에서 쓰이는 렙차어를 표기하는 문자들을 담고 있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 5.1: 블록 신설, 74자 추가

테이블[편집 | 원본 편집]

  • 아래 표의 문자들은 화면에서 제대로 보이지 않을 수 있다. U+1C38~A 및 U+1C4A~C 부분은 글자가 배당되지 않았다.
0 1 2 3 4 5 6 7 8 9 A B C D E F
1C0x
1C1x
1C2x
1C3x ᰿
1C4x

참고[편집 | 원본 편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