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CrMT/연습장: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TeX질한 문서에서 가져옴)
1번째 줄: 1번째 줄:
= [[한꼴사상]] =




= 인터위키 테스트 =
[[oeis:A000108]]


==== 단락 1.1.1 ====
= 사영기하학 =
'''사영기하학'''(射影幾何學, projective geometry)은 사영변환에 대해 보존되는 성질을 연구하는 매우 추상적인 기하학이다.  


=== 단락 1.2 ===
= 결합기하학 =
'''결합기하학'''(incidence geometry)은 [[결합기하학#결합구조|결합구조]]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해석기하학]]과 달리 점, 선, 그리고 그 결합만을 생각한다.


== 단락 2 ==
== 결합구조 ==
Let $\mathscr P$, $\mathscr L$($\mathscr P \cap \mathscr L = \emptyset$) and $\mathscr I\subseteq \mathscr P \times \mathscr L$ be sets, we call
$$\sigma = (\mathscr P, \mathscr L, \mathscr I)$$
a \textit{\textbf{incidence structure}}, or a \textbf{\textit{geometric structure}}. If $\mathscr P$ and $\mathscr L$ are finite sets, we call $\sigma$ a \textbf{\textit{finite incidence structure}}.


= 인터위키 테스트 =
For given $p, q\in\mathscr P$, if $\exists L \in \mathscr L \text{ s.t. } (p,L),(q,L)\in \mathscr I$, we say \textbf{\textit{p and q are jointed}}, and we say \textbf{\textit{L is decided by p and q}} if there is only one line $L$(we call it the \textbf{\textit{join}} $pq:=L$.) Similarly, given $L, M\in \mathscr L$, if $\exists p \in \mathscr P \text{ s.t. } (p,L),(p,M)\in \mathscr I$, we say \textbf{\textit{L and M meet}}, and we say \textbf{\textit{p is decided by L and M}} if there is only one point $p$(we call it the \textbf{\textit{intersection}} $p:=L\cap M$.)
[[oeis:A000108]]


= 사영기하학 =
'''사영기하학'''(射影幾何學, projective geometry)은 사영변환에 대해 보존되는 성질을 연구하는 매우 추상적인 기하학이다.


= 뉴턴의 운동 법칙 =
= 뉴턴의 운동 법칙 =
28번째 줄: 31번째 줄:


== 제3 법칙: 작용-반작용의 법칙 ==
== 제3 법칙: 작용-반작용의 법칙 ==
= [[틀:행성 정보]]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 80%"
! colspan="2" style="font-size: 150%; " | {{{이름}}} ({{{기호}}})
|-
! style="text-align: center;" | 명명의 어원
| style="font-size: 120%;" | {{{어원}}}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사진}}}|250px|{{{설명}}}]]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궤도 그림}}}|250px]]
|-
| colspan="2" style="font-size: 130%; 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 #06024D; color: #fff;" | 천체 물리량
|-
! style="text-align: center;" | 적도 반경
| style="font-size: 120%;" | {{{적도 반경}}}
|-
! style="text-align: center;" | 편평도
| style="font-size: 120%;" | {{{편평도}}}
|-
! style="text-align: center;" | 적도 둘레
| style="font-size: 120%;" | {{{적도 둘레}}}
|-
! style="text-align: center;" | 겉넓이
| style="font-size: 120%;" | {{{겉넓이}}}
|-
! style="text-align: center;" | 부피
| style="font-size: 120%;" | {{{부피}}}
|-
! style="text-align: center;" | 질량
| style="font-size: 120%;" | {{{질량}}}
|-
! style="text-align: center;" | 평균 밀도
| style="font-size: 120%;" | {{{평균 밀도}}}
|-
! style="text-align: center;" | 적도 중력가속도
| style="font-size: 120%;" | {{{적도 중력가속도}}}
|-
! style="text-align: center;" | 제1 탈출 속도
| style="font-size: 120%;" | {{{제1 탈출 속도}}}
|-
! style="text-align: center;" | 제2 탈출 속도
| style="font-size: 120%;" | {{{제2 탈출 속도}}}
|-
! style="text-align: center;" | 자전 주기
| style="font-size: 120%;" | {{{자전 주기}}}
|-
! style="text-align: center;" | 자전 속도
| style="font-size: 120%;" | {{{자전 속도}}}
|-
! style="text-align: center;" | 근일점
| style="font-size: 120%;" | {{{근일점}}}
|-
! style="text-align: center;" | 원일점
| style="font-size: 120%;" | {{{원일점}}}
|-
! style="text-align: center;" | 북극점 적경
| style="font-size: 120%;" | {{{북극점 적경}}}
|-
! style="text-align: center;" | 적위
| style="font-size: 120%;" | {{{적위}}}
|-
! style="text-align: center;" | 입사 태양광 세기
| style="font-size: 120%;" | {{{입사 태양광 세기}}}
|-
! style="text-align: center;" | (태양광) 반사도
| style="font-size: 120%;" | {{{반사도}}}
|-
! style="text-align: center;" | 평균 표면 온도
| style="font-size: 120%;" | {{{평균 표면 온도}}}
|-
! style="text-align: center;" | 최저 표면 온도
| style="font-size: 120%;" | {{{최저 표면 온도}}}
|-
! style="text-align: center;" | 최고 표면 온도
| style="font-size: 120%;" | {{{최고 표면 온도}}}
|-
| colspan="2" style="font-size: 130%; 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 #06024D; color: #fff;" | 궤도 물리량
|-
! style="text-align: center;" | 궤도 장반경
| style="font-size: 120%;" | {{{궤도 장반경}}}
|-
! style="text-align: center;" | 궤도 이심률
| style="font-size: 120%;" | {{{궤도 이심률}}}
|-
! style="text-align: center;" | 황도 기준 궤도 경사
| style="font-size: 120%;" | {{{황도 궤도 경사}}}
|-
! style="text-align: center;" | 태양 적도 기준<br/>궤도 경사
| style="font-size: 120%;" | {{{적도 궤도 경사}}}
|-
! style="text-align: center;" | 라플라스 불변 평면 기준<br/>궤도 경사
| style="font-size: 120%;" | {{{불변 평면 궤도 경사}}}
|-
! style="text-align: center;" | 평균 공전 속도
| style="font-size: 120%;" | {{{평균 공전 속도}}}
|-
! style="text-align: center;" | 원일점(최저) 공전 속도
| style="font-size: 120%;" | {{{원일점 공전 속도}}}
|-
! style="text-align: center;" | 근일점(최고) 공전 속도
| style="font-size: 120%;" | {{{근일점 공전 속도}}}
|-
! style="text-align: center;" | 공전 주기
| style="font-size: 120%;" | {{{공전 주기}}}
|-
! style="text-align: center;" | 회합 주기
| style="font-size: 120%;" | {{{회합 주기}}}
|-
! style="text-align: center;" | 위성
| style="font-size: 120%;" | {{{위성}}}
|-
! style="text-align: center;" | 준위성
| style="font-size: 120%;" | {{{준위성}}}
|-
| colspan="2" style="font-size: 130%; 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 #06024D; color: #fff;" | 대기 물리량
|-
! style="text-align: center;" | 기압
| style="font-size: 120%;" | {{{기압}}}
|-
! style="text-align: center;" | 기온
| style="font-size: 120%;" | {{{기온}}}
|-
! style="text-align: center;" | 대기 조성
| style="font-size: 120%;" | {{{대기 조성}}}
|}

2015년 7월 12일 (일) 22:20 판


인터위키 테스트

oeis:A000108

사영기하학

사영기하학(射影幾何學, projective geometry)은 사영변환에 대해 보존되는 성질을 연구하는 매우 추상적인 기하학이다.

결합기하학

결합기하학(incidence geometry)은 결합구조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해석기하학과 달리 점, 선, 그리고 그 결합만을 생각한다.

결합구조

Let $\mathscr P$, $\mathscr L$($\mathscr P \cap \mathscr L = \emptyset$) and $\mathscr I\subseteq \mathscr P \times \mathscr L$ be sets, we call $$\sigma = (\mathscr P, \mathscr L, \mathscr I)$$ a \textit{\textbf{incidence structure}}, or a \textbf{\textit{geometric structure}}. If $\mathscr P$ and $\mathscr L$ are finite sets, we call $\sigma$ a \textbf{\textit{finite incidence structure}}.

For given $p, q\in\mathscr P$, if $\exists L \in \mathscr L \text{ s.t. } (p,L),(q,L)\in \mathscr I$, we say \textbf{\textit{p and q are jointed}}, and we say \textbf{\textit{L is decided by p and q}} if there is only one line $L$(we call it the \textbf{\textit{join}} $pq:=L$.) Similarly, given $L, M\in \mathscr L$, if $\exists p \in \mathscr P \text{ s.t. } (p,L),(p,M)\in \mathscr I$, we say \textbf{\textit{L and M meet}}, and we say \textbf{\textit{p is decided by L and M}} if there is only one point $p$(we call it the \textbf{\textit{intersection}} $p:=L\cap M$.)


뉴턴의 운동 법칙

뉴턴의 운동 법칙(Newton's laws of motion)은 아이작 뉴턴에 의해 정립된 세 가지 물리 법칙이다.

역사

제1 법칙: 관성의 법칙

외력이 없을 때 어떤 물체의 질량중심은 일정한 속도 (또는 운동량)을 가지고 운동한다.

관성의 법칙을 만족하는 기준틀(좌표계)를 관성기준틀(관성좌표계, 관성계)라 부르고, 즉 이는 등속도 운동을 하는 기준틀을 말한다.

제2 법칙: 가속도의 법칙

제3 법칙: 작용-반작용의 법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