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Pika/연습: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변수\d+ +=(.*)\n\|설명\d+ +=(.*)\n\|입력값\d+ +=(.*)\n\|필수여부\d+ +=(.*)\n+ +{{틀 변수 사용법\n|변수 =\1\n|설명 =\2\n|입력값 =\3\n|필수여부 =\4\n}}\n))
48번째 줄: 48번째 줄:
=== 설명 ===
=== 설명 ===
{{틀 변수 사용법
{{틀 변수 사용법
|변수1      = 나라이름
{{틀 변수 사용법
|설명1      = 나라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변수    = 나라이름
|입력값1    = 문자열
|설명    = 나라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필수여부1  = 필수
|입력값  = 문자열
 
|필수여부 = 필수
|변수2      = 원어이름
}}
|설명2      = 나라의 원어 이름을 입력합니다. 공용어가 여러 개이면 <code><nowiki>[언어명] 원어이름</nowiki></code>로 언어별로 입력하고, <code><nowiki><br /></nowiki></code>로 구분합니다.
{{틀 변수 사용법
|입력값2    = 문자열
|변수    = 원어이름
|필수여부2  = 선택
|설명    = 나라의 원어 이름을 입력합니다. 공용어가 여러 개이면 <code><nowiki>[언어명] 원어이름</nowiki></code>로 언어별로 입력하고, <code><nowiki><br /></nowiki></code>로 구분합니다.
 
|입력값  = 문자열
|변수3      = 존속연도
|필수여부 = 선택
|설명3      = 사라진 나라에만 쓰이는 변수로, 해당 나라가 존속한 기간을 연도만 입력합니다. 예) <code>2000~2020</code>
}}
|입력값3    = 문자열
{{틀 변수 사용법
|필수여부3  = 선택
|변수    = 존속연도
 
|설명    = 사라진 나라에만 쓰이는 변수로, 해당 나라가 존속한 기간을 연도만 입력합니다. 예) <code>2000~2020</code>
|변수4      = 국기
|입력값  = 문자열
|설명4      = 국기의 파일명만 입력합니다. <code><nowiki>파일 이름.확장자</nowiki></code>
|필수여부 = 선택
|입력값4    = 문자열
}}
|필수여부4  = 선택
{{틀 변수 사용법
 
|변수    = 국기
|변수5      = 국기설명
|설명    = 국기의 파일명만 입력합니다. <code><nowiki>파일 이름.확장자</nowiki></code>
|설명5      = 국기에 대한 설명을 입력합니다. 기본값은 "국기"입니다.<br />자세한 설명을 적지 않으며, "(나라)의 국기"같은 설명도 넣지 않습니다.
|입력값  = 문자열
|입력값5    = 문자열
|필수여부 = 선택
|필수여부5  = 선택
}}
 
{{틀 변수 사용법
|변수6      = 국장
|변수    = 국기설명
|설명6      = 국장의 파일명만 입력합니다. <code><nowiki>파일 이름.확장자</nowiki></code>
|설명    = 국기에 대한 설명을 입력합니다. 기본값은 "국기"입니다.<br />자세한 설명을 적지 않으며, "(나라)의 국기"같은 설명도 넣지 않습니다.
|입력값6    = 문자열
|입력값  = 문자열
|필수여부6  = 선택
|필수여부 = 선택
 
}}
|변수7      = 국장설명
{{틀 변수 사용법
|설명7      = 국장에 대한 설명을 입력합니다. 기본값은 "국장"입니다.<br />자세한 설명을 적지 않으며, "(나라)의 국장"같은 설명도 넣지 않습니다.
|변수    = 국장
|입력값7    = 문자열
|설명    = 국장의 파일명만 입력합니다. <code><nowiki>파일 이름.확장자</nowiki></code>
|필수여부7  = 선택
|입력값  = 문자열
 
|필수여부 = 선택
|변수8      = 지도
}}
|설명8      = 지도의 파일명만 입력합니다. <code><nowiki>파일 이름.확장자</nowiki></code>
{{틀 변수 사용법
|입력값8    = 문자열
|변수    = 국장설명
|필수여부8  = 선택
|설명    = 국장에 대한 설명을 입력합니다. 기본값은 "국장"입니다.<br />자세한 설명을 적지 않으며, "(나라)의 국장"같은 설명도 넣지 않습니다.
 
|입력값  = 문자열
|변수9      = 지도설명
|필수여부 = 선택
|설명9      = 지도에 대한 설명을 입력합니다.<br />자세한 설명을 적지 않으며, "(나라)의 지도"같은 설명도 넣지 않습니다.
}}
|입력값9    = 문자열
{{틀 변수 사용법
|필수여부9  = 선택
|변수    = 지도
 
|설명    = 지도의 파일명만 입력합니다. <code><nowiki>파일 이름.확장자</nowiki></code>
|변수10     = 표어
|입력값  = 문자열
|설명10     = 나라의 표어를 입력합니다.
|필수여부 = 선택
|입력값10   = 문자열
}}
|필수여부10 = 선택
{{틀 변수 사용법
 
|변수    = 지도설명
|변수11     = 국가
|설명    = 지도에 대한 설명을 입력합니다.<br />자세한 설명을 적지 않으며, "(나라)의 지도"같은 설명도 넣지 않습니다.
|설명11     = 국가를 입력합니다.
|입력값  = 문자열
|입력값11   = 문자열
|필수여부 = 선택
|필수여부11 = 선택
}}
 
{{틀 변수 사용법
|변수12     = 수도
|변수     = 표어
|설명12     = 수도를 입력합니다.
|설명     = 나라의 표어를 입력합니다.
|입력값12   = 문자열
|입력값   = 문자열
|필수여부12 = 선택
|필수여부 = 선택
 
}}
|변수13     = 공용어
{{틀 변수 사용법
|설명13     = 나라에서 법으로 정한 공용어를 입력합니다.
|변수     = 국가
|입력값13   = 문자열
|설명     = 국가를 입력합니다.
|필수여부13 = 선택
|입력값   = 문자열
 
|필수여부 = 선택
|변수14     = 국어
}}
|설명14     = 나라에서 법으로 정한 '''공용어가 없을 때''', 해당 나라의 사람들이 주로 사용하는 언어를 입력합니다.
{{틀 변수 사용법
|입력값14   = 문자열
|변수     = 수도
|필수여부14 = 선택
|설명     = 수도를 입력합니다.
 
|입력값   = 문자열
|변수15     = 국교
|필수여부 = 선택
|설명15     = 국교를 입력합니다.
}}
|입력값15   = 문자열
{{틀 변수 사용법
|필수여부15 = 선택
|변수     = 공용어
 
|설명     = 나라에서 법으로 정한 공용어를 입력합니다.
|변수16     = 정치체제
|입력값   = 문자열
|설명16     = 정치체제를 아래의 순서로 입력합니다.
|필수여부 = 선택
|입력값16   = 문자열
}}
|필수여부16 = 선택
{{틀 변수 사용법
 
|변수     = 국어
|변수17     = 군주
|설명     = 나라에서 법으로 정한 '''공용어가 없을 때''', 해당 나라의 사람들이 주로 사용하는 언어를 입력합니다.
|설명17     = 나라의 군주를 입력합니다.
|입력값   = 문자열
|입력값17   = 문자열
|필수여부 = 선택
|필수여부17 = 선택
}}
 
{{틀 변수 사용법
|변수18     = 수반 직책
|변수     = 국교
|설명18     = 행정수반의 직책을 입력합니다. 예) 대통령, 총리, 주석 등
|설명     = 국교를 입력합니다.
|입력값18   = 문자열
|입력값   = 문자열
|필수여부18 = 선택
|필수여부 = 선택
 
}}
|변수19     = 수반
{{틀 변수 사용법
|설명19     = 현재 행정수반인 사람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변수     = 정치체제
|입력값19   = 문자열
|설명     = 정치체제를 아래의 순서로 입력합니다.
|필수여부19 = 선택
|입력값   = 문자열
 
|필수여부 = 선택
|변수20     = 부수반 직책
}}
|설명20     = 행정수반의 바로 아래 단계의 직책을 입력합니다. 예) 국무총리, 부통령, 총리, 부주석 등
{{틀 변수 사용법
|입력값20   = 문자열
|변수     = 군주
|필수여부20 = 선택
|설명     = 나라의 군주를 입력합니다.
 
|입력값   = 문자열
|변수21    = 부수반
|필수여부 = 선택
|설명21     = 현재 행정수반의 바로 아래 단계의 직책인 사람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
|입력값21   = 문자열
{{틀 변수 사용법
|필수여부21 = 선택
|변수     = 수반 직책
 
|설명     = 행정수반의 직책을 입력합니다. 예) 대통령, 총리, 주석 등
|변수22    = 입법부
|입력값   = 문자열
|설명22     = 입법부의 명칭을 입력합니다.<br />양원제의 경우, 상원과 하원의 이름을 따로 입력합니다. ([[#영국 (현존하는 나라)|영국 예시]] 참고)
|필수여부 = 선택
|입력값22   = 문자열
}}
|필수여부22 = 선택
{{틀 변수 사용법
 
|변수     = 수반
|변수23    = 인구
|설명     = 현재 행정수반인 사람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설명23     = 인구 수를 입력합니다. 1,000 단위 마다 쉼표로 구분하며, "명"은 입력하지 않습니다.
|입력값   = 문자열
|입력값23   = 문자열
|필수여부 = 선택
|필수여부23 = 선택
}}
 
{{틀 변수 사용법
|변수24     = 인구밀도
|변수     = 부수반 직책
|설명24     = 인구밀도를 입력하되, 단위는 명/km<sup>2</sup>이며, 소수 첫째 자리까지만 입력합니다.<br />1,000 단위 마다 쉼표로 구분하며, 단위는 입력하지 않습니다.
|설명     = 행정수반의 바로 아래 단계의 직책을 입력합니다. 예) 국무총리, 부통령, 총리, 부주석 등
|입력값24   = 문자열
|입력값   = 문자열
|필수여부24 = 선택
|필수여부 = 선택
 
}}
|변수25     = 인구 연도
{{틀 변수 사용법
|설명25     = 인구와 인구밀도를 조사, 추정한 기준연도를 입력합니다.<br />조사한 경우에는 <code>2000년 조사</code>, 추정한 경우에는 <code>2000년 추정</code>처럼 입력합니다.
|변수    = 부수반
|입력값25   = 문자열
|설명     = 현재 행정수반의 바로 아래 단계의 직책인 사람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필수여부25 = 선택
|입력값   = 문자열
 
|필수여부 = 선택
|변수26     = 면적
}}
|설명26     = 국토의 면적을 입력하되, 단위는 km<sup>2</sup>이며, 소수는 반올림합니다.<br />1,000 단위 마다 쉼표로 구분하며, 단위는 입력하지 않습니다.
{{틀 변수 사용법
|입력값26   = 문자열
|변수    = 입법부
|필수여부26 = 선택
|설명     = 입법부의 명칭을 입력합니다.<br />양원제의 경우, 상원과 하원의 이름을 따로 입력합니다. ([[#영국 (현존하는 나라)|영국 예시]] 참고)
 
|입력값   = 문자열
|변수27     = 면적 연도
|필수여부 = 선택
|설명27     = 사라진 나라에만 쓰이는 변수로, 면적을 조사, 추정한 연도를 입력합니다.
}}
|입력값27   = 문자열
{{틀 변수 사용법
|필수여부27 = 선택
|변수    = 인구
 
|설명     = 인구 수를 입력합니다. 1,000 단위 마다 쉼표로 구분하며, "명"은 입력하지 않습니다.
|변수28     = GDP PPP
|입력값   = 문자열
|설명28     = 구매력 평가 기준(PPP)을 반영한 국내총생산(GDP)을 달러를 기준으로 입력합니다.<br />숫자가 크기 때문에 조, 억, 만을 이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필수여부 = 선택
|입력값28   = 문자열
}}
|필수여부28 = 선택
{{틀 변수 사용법
 
|변수     = 인구밀도
|변수29     = GDP PPP 1인
|설명     = 인구밀도를 입력하되, 단위는 명/km<sup>2</sup>이며, 소수 첫째 자리까지만 입력합니다.<br />1,000 단위 마다 쉼표로 구분하며, 단위는 입력하지 않습니다.
|설명29     = 1인당 구매력 평가 기준(PPP)을 반영한 국내총생산(GDP)을 달러를 기준으로 입력합니다.<br />숫자가 크기 때문에 조, 억, 만을 이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입력값   = 문자열
|입력값29   = 문자열
|필수여부 = 선택
|필수여부29 = 선택
}}
 
{{틀 변수 사용법
|변수30     = GDP
|변수     = 인구 연도
|설명30     = 명목 국내총생산(GDP)을 달러를 기준으로 입력합니다.<br />숫자가 크기 때문에 조, 억, 만을 이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설명     = 인구와 인구밀도를 조사, 추정한 기준연도를 입력합니다.<br />조사한 경우에는 <code>2000년 조사</code>, 추정한 경우에는 <code>2000년 추정</code>처럼 입력합니다.
|입력값30   = 문자열
|입력값   = 문자열
|필수여부30 = 선택
|필수여부 = 선택
 
}}
|변수31     = GDP 1인
{{틀 변수 사용법
|설명31     = 1인당 명목 국내총생산(GDP)을 달러를 기준으로 입력합니다.<br />숫자가 크기 때문에 조, 억, 만을 이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변수     = 면적
|입력값31   = 문자열
|설명     = 국토의 면적을 입력하되, 단위는 km<sup>2</sup>이며, 소수는 반올림합니다.<br />1,000 단위 마다 쉼표로 구분하며, 단위는 입력하지 않습니다.
|필수여부31 = 선택
|입력값   = 문자열
 
|필수여부 = 선택
|변수32     = GDP 연도
}}
|설명32     = 국내총생산(GDP)을 조사, 추정한 연도를 입력합니다. 입력방식은 "인구 연도"와 같습니다.
{{틀 변수 사용법
|입력값32   = 문자열
|변수     = 면적 연도
|필수여부32 = 선택
|설명     = 사라진 나라에만 쓰이는 변수로, 면적을 조사, 추정한 연도를 입력합니다.
 
|입력값   = 문자열
|변수33     = 화폐
|필수여부 = 선택
|설명33     = 나라에서 사용하는 화폐를 입력합니다.
}}
|입력값33   = 문자열
{{틀 변수 사용법
|필수여부33 = 선택
|변수     = GDP PPP
 
|설명     = 구매력 평가 기준(PPP)을 반영한 국내총생산(GDP)을 달러를 기준으로 입력합니다.<br />숫자가 크기 때문에 조, 억, 만을 이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변수34     = 시간대
|입력값   = 문자열
|설명34     = 나라의 시간대를 <code><nowiki>시간대명 ([[UTC]]±n)</nowiki></code>로 입력합니다. 예) <code><nowiki>[[대한민국 표준시|KST]] ([[UTC]]+9)</nowiki></code><br />서머타임이 있다면 별도로 적습니다.
|필수여부 = 선택
|입력값34   = 문자열
}}
|필수여부34 = 선택
{{틀 변수 사용법
 
|변수     = GDP PPP 1인
|변수35     = ISO
|설명     = 1인당 구매력 평가 기준(PPP)을 반영한 국내총생산(GDP)을 달러를 기준으로 입력합니다.<br />숫자가 크기 때문에 조, 억, 만을 이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설명35     = 나라의 [[ISO 3166-1]] 코드를 숫자, 알파-2, 알파-3 순서로 입력합니다.
|입력값   = 문자열
|입력값35   = 문자열
|필수여부 = 선택
|필수여부35 = 선택
}}
 
{{틀 변수 사용법
|변수36     = 국가도메인
|변수     = GDP
|설명36     = 나라의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을 링크로 입력합니다. 예) <code><nowiki>[[.kr]]</nowiki></code>
|설명     = 명목 국내총생산(GDP)을 달러를 기준으로 입력합니다.<br />숫자가 크기 때문에 조, 억, 만을 이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입력값36   = 문자열
|입력값   = 문자열
|필수여부36 = 선택
|필수여부 = 선택
 
}}
|변수37     = 국제전화
{{틀 변수 사용법
|설명37     = 나라의 [[국제전화 나라 번호]]를 숫자만 입력합니다.
|변수     = GDP 1인
|입력값37   = 문자열
|설명     = 1인당 명목 국내총생산(GDP)을 달러를 기준으로 입력합니다.<br />숫자가 크기 때문에 조, 억, 만을 이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필수여부37 = 선택
|입력값   = 문자열
 
|필수여부 = 선택
|변수38     = 이전나라
}}
|설명38     = 문서의 나라로 대체된 나라를 입력합니다. 이때 {{틀|나라}}가 아닌 {{틀|깃발그림}}을 사용하며 여러 개이면 <code><nowiki><br /></nowiki></code>로 구분합니다.<br />'''사라진 나라에서만 사용합니다.'''
{{틀 변수 사용법
|입력값38   = 문자열
|변수     = GDP 연도
|필수여부38 = 선택
|설명     = 국내총생산(GDP)을 조사, 추정한 연도를 입력합니다. 입력방식은 "인구 연도"와 같습니다.
 
|입력값   = 문자열
|변수39     = 이후나라
|필수여부 = 선택
|설명39     = 문서의 나라를 대체한 나라를 입력합니다. 이때 {{틀|나라}}가 아닌 {{틀|깃발그림}}을 사용하며 여러 개이면 <code><nowiki><br /></nowiki></code>로 구분합니다.
}}
|입력값39   = 문자열
{{틀 변수 사용법
|필수여부39 = 선택
|변수     = 화폐
 
|설명     = 나라에서 사용하는 화폐를 입력합니다.
|변수40     = 비고
|입력값   = 문자열
|설명40     = 비고를 입력합니다.
|필수여부 = 선택
|입력값40   = 문자열
}}
|필수여부40 = 선택
{{틀 변수 사용법
|변수     = 시간대
|설명     = 나라의 시간대를 <code><nowiki>시간대명 ([[UTC]]±n)</nowiki></code>로 입력합니다. 예) <code><nowiki>[[대한민국 표준시|KST]] ([[UTC]]+9)</nowiki></code><br />서머타임이 있다면 별도로 적습니다.
|입력값   = 문자열
|필수여부 = 선택
}}
{{틀 변수 사용법
|변수     = ISO
|설명     = 나라의 [[ISO 3166-1]] 코드를 숫자, 알파-2, 알파-3 순서로 입력합니다.
|입력값   = 문자열
|필수여부 = 선택
}}
{{틀 변수 사용법
|변수     = 국가도메인
|설명     = 나라의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을 링크로 입력합니다. 예) <code><nowiki>[[.kr]]</nowiki></code>
|입력값   = 문자열
|필수여부 = 선택
}}
{{틀 변수 사용법
|변수     = 국제전화
|설명     = 나라의 [[국제전화 나라 번호]]를 숫자만 입력합니다.
|입력값   = 문자열
|필수여부 = 선택
}}
{{틀 변수 사용법
|변수     = 이전나라
|설명     = 문서의 나라로 대체된 나라를 입력합니다. 이때 {{틀|나라}}가 아닌 {{틀|깃발그림}}을 사용하며 여러 개이면 <code><nowiki><br /></nowiki></code>로 구분합니다.<br />'''사라진 나라에서만 사용합니다.'''
|입력값   = 문자열
|필수여부 = 선택
}}
{{틀 변수 사용법
|변수     = 이후나라
|설명     = 문서의 나라를 대체한 나라를 입력합니다. 이때 {{틀|나라}}가 아닌 {{틀|깃발그림}}을 사용하며 여러 개이면 <code><nowiki><br /></nowiki></code>로 구분합니다.
|입력값   = 문자열
|필수여부 = 선택
}}
{{틀 변수 사용법
|변수     = 비고
|설명     = 비고를 입력합니다.
|입력값   = 문자열
|필수여부 = 선택
}}
}}
}}



2022년 3월 21일 (월) 10:28 판


{{나라 정보
|나라이름    = 
|원어이름    = 
|존속연도    = 
|국기        = 
|국기설명    = 
|국장        = 
|국장설명    = 
|지도        = 
|지도설명    = 
|표어        = 
|국가        = 
|수도        = 
|공용어      = 
|국어        = 
|국교        = 
|정치체제    = 
|군주        = 
|수반 직책   = 
|수반        = 
|부수반 직책 = 
|부수반      = 
|입법부      = 
|인구        = 
|인구밀도    = 
|인구 연도   = 
|면적        = 
|면적 연도   = 
|GDP PPP     = 
|GDP PPP 1인 = 
|GDP         = 
|GDP 1인     = 
|GDP 연도    = 
|화폐        = 
|시간대      = 
|ISO         = 
|국가도메인  = 
|국제전화    = 
|이전나라    = 
|이후나라    = 
|비고        = 
}}

설명

{{틀 변수 사용법

나라이름 나라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문자열 필수 원어이름 나라의 원어 이름을 입력합니다. 공용어가 여러 개이면 [언어명] 원어이름로 언어별로 입력하고, <br />로 구분합니다. 문자열 선택 존속연도 사라진 나라에만 쓰이는 변수로, 해당 나라가 존속한 기간을 연도만 입력합니다. 예) 2000~2020 문자열 선택 국기 국기의 파일명만 입력합니다. 파일 이름.확장자 문자열 선택 국기설명 국기에 대한 설명을 입력합니다. 기본값은 "국기"입니다.
자세한 설명을 적지 않으며, "(나라)의 국기"같은 설명도 넣지 않습니다. 문자열 선택 국장 국장의 파일명만 입력합니다. 파일 이름.확장자 문자열 선택 국장설명 국장에 대한 설명을 입력합니다. 기본값은 "국장"입니다.
자세한 설명을 적지 않으며, "(나라)의 국장"같은 설명도 넣지 않습니다. 문자열 선택 지도 지도의 파일명만 입력합니다. 파일 이름.확장자 문자열 선택 지도설명 지도에 대한 설명을 입력합니다.
자세한 설명을 적지 않으며, "(나라)의 지도"같은 설명도 넣지 않습니다. 문자열 선택 표어 나라의 표어를 입력합니다. 문자열 선택 국가 국가를 입력합니다. 문자열 선택 수도 수도를 입력합니다. 문자열 선택 공용어 나라에서 법으로 정한 공용어를 입력합니다. 문자열 선택 국어 나라에서 법으로 정한 공용어가 없을 때, 해당 나라의 사람들이 주로 사용하는 언어를 입력합니다. 문자열 선택 국교 국교를 입력합니다. 문자열 선택 정치체제 정치체제를 아래의 순서로 입력합니다. 문자열 선택 군주 나라의 군주를 입력합니다. 문자열 선택 수반 직책 행정수반의 직책을 입력합니다. 예) 대통령, 총리, 주석 등 문자열 선택 수반 현재 행정수반인 사람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문자열 선택 부수반 직책 행정수반의 바로 아래 단계의 직책을 입력합니다. 예) 국무총리, 부통령, 총리, 부주석 등 문자열 선택 부수반 현재 행정수반의 바로 아래 단계의 직책인 사람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문자열 선택 입법부 입법부의 명칭을 입력합니다.
양원제의 경우, 상원과 하원의 이름을 따로 입력합니다. (영국 예시 참고) 문자열 선택 인구 인구 수를 입력합니다. 1,000 단위 마다 쉼표로 구분하며, "명"은 입력하지 않습니다. 문자열 선택 인구밀도 인구밀도를 입력하되, 단위는 명/km2이며, 소수 첫째 자리까지만 입력합니다.
1,000 단위 마다 쉼표로 구분하며, 단위는 입력하지 않습니다. 문자열 선택 인구 연도 인구와 인구밀도를 조사, 추정한 기준연도를 입력합니다.
조사한 경우에는 2000년 조사, 추정한 경우에는 2000년 추정처럼 입력합니다. 문자열 선택 면적 국토의 면적을 입력하되, 단위는 km2이며, 소수는 반올림합니다.
1,000 단위 마다 쉼표로 구분하며, 단위는 입력하지 않습니다. 문자열 선택 면적 연도 사라진 나라에만 쓰이는 변수로, 면적을 조사, 추정한 연도를 입력합니다. 문자열 선택 GDP PPP 구매력 평가 기준(PPP)을 반영한 국내총생산(GDP)을 달러를 기준으로 입력합니다.
숫자가 크기 때문에 조, 억, 만을 이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문자열 선택 GDP PPP 1인 1인당 구매력 평가 기준(PPP)을 반영한 국내총생산(GDP)을 달러를 기준으로 입력합니다.
숫자가 크기 때문에 조, 억, 만을 이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문자열 선택 GDP 명목 국내총생산(GDP)을 달러를 기준으로 입력합니다.
숫자가 크기 때문에 조, 억, 만을 이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문자열 선택 GDP 1인 1인당 명목 국내총생산(GDP)을 달러를 기준으로 입력합니다.
숫자가 크기 때문에 조, 억, 만을 이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문자열 선택 GDP 연도 국내총생산(GDP)을 조사, 추정한 연도를 입력합니다. 입력방식은 "인구 연도"와 같습니다. 문자열 선택 화폐 나라에서 사용하는 화폐를 입력합니다. 문자열 선택 시간대 나라의 시간대를 시간대명 ([[UTC]]±n)로 입력합니다. 예) [[대한민국 표준시|KST]] ([[UTC]]+9)
서머타임이 있다면 별도로 적습니다. 문자열 선택 ISO 나라의 ISO 3166-1 코드를 숫자, 알파-2, 알파-3 순서로 입력합니다. 문자열 선택 국가도메인 나라의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을 링크로 입력합니다. 예) [[.kr]] 문자열 선택 국제전화 나라의 국제전화 나라 번호를 숫자만 입력합니다. 문자열 선택 이전나라 문서의 나라로 대체된 나라를 입력합니다. 이때 {{나라}}가 아닌 {{깃발그림}}을 사용하며 여러 개이면 <br />로 구분합니다.
사라진 나라에서만 사용합니다. 문자열 선택 이후나라 문서의 나라를 대체한 나라를 입력합니다. 이때 {{나라}}가 아닌 {{깃발그림}}을 사용하며 여러 개이면 <br />로 구분합니다. 문자열 선택 비고 비고를 입력합니다. 문자열 선택 }}

예시

대한민국 (현존하는 나라)

{{{이름}}}
大韓民國
{{나라 정보
|나라이름    = 대한민국
|원어이름    = 大韓民國
|존속연도    = 
|국기        = Flag of South Korea.svg
|국기설명    = 
|국장        = Emblem of South Korea.svg
|국장설명    = 
|지도        = 
|지도설명    = 
|표어        = 
|국가        = [[애국가]]
|수도        = [[서울]]
|공용어      = [[한국어]], [[한국 수어]]
|국어        = 
|국교        = 
|정치체제    = [[단일국가]], [[단원제]], [[공화제]], [[대통령중심제]]
|군주        = 
|수반 직책   = [[대한민국의 대통령|대통령]]
|수반        = [[문재인]]
|부수반 직책 = [[국무총리]]
|부수반      = [[김부겸]]
|입법부      = [[대한민국 국회]]
|인구        = 51,709,098
|인구밀도    = 507.0
|인구 연도   = 2019년 추정
|면적        = 100,410
|면적 연도   = 
|GDP PPP     = 2조 2241억 $
|GDP PPP 1인 = 43,212 $
|GDP         = 1조 6669억 $
|GDP 1인     = 34,866 $
|GDP 연도    = 2019년 추정
|화폐        = [[대한민국 원|원]] (₩)
|시간대      = [[한국 표준시|KST]] ([[UTC]]+9)
|ISO         = 410, KR, KOR
|국가도메인  = [[.kr]], [[.한국]]
|국제전화    = 82
|이전나라    = 
|이후나라    = 
|비고        = 
}}

영국 (현존하는 나라)

{{{이름}}}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
{{나라 정보
|나라이름    = 그레이트브리튼북아일랜드연합왕국
|원어이름    =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
|존속연도    = 
|국기        = Flag of the United Kingdom.svg
|국기설명    = 
|국장        = Royal Coat of Arms of the United Kingdom.svg
|국장설명    = 국장 (왕실 문장)
|지도        = 
|지도설명    = 
|표어        = 
|국가        = [[하느님, 여왕 폐하를 지켜 주소서]]
|수도        = [[런던]]
|공용어      = [[영어]]
|국어        = 
|국교        = 
|정치체제    = [[단일국가]], [[양원제]], [[입헌군주제]], [[의원내각제]]
|군주        = [[엘리자베스 2세]]
|수반 직책   = [[영국의 총리|총리]]
|수반        = [[보리스 존슨]]
|부수반 직책 = 
|부수반      = 
|입법부      = [[영국 의회]]<br />상원: [[귀족원]]<br />하원: [[시민원]]
|인구        = 67,081,000
|인구밀도    = 270.7
|인구 연도   = 2020년 추정
|면적        = 242,495
|면적 연도   = 
|GDP PPP     = 3조 2760억 $
|GDP PPP 1인 = 48,693 $
|GDP         = 3조 1080억 $
|GDP 1인     = 46,200 $
|GDP 연도    = 2021년 추정
|화폐        = [[파운드 스털링]] (£)
|시간대      = [[그리니치 평균시|GMT]] ([[UTC]]+0)<br />[[영국 일광 절약 시간대|BST]] (서머타임, [[UTC]]+1)
|ISO         = 826, GB, GBR
|국가도메인  = [[.uk]]
|국제전화    = 44
|이전나라    = 
|이후나라    = 
|비고        = 
}}

독일제국 (사라진 나라)

{{{이름}}}
Deutsches Reich
{{사용자:Pika/대체용 틀
|나라이름    = 독일국
|원어이름    = Deutsches Reich
|존속연도    = 1871~1918
|국기        = Flag of the German Empire.svg
|국기설명    = 
|국장        = Wappen Deutsches Reich - Reichsadler 1889.svg
|국장설명    = 
|지도        = 
|지도설명    = 
|표어        = Gott mit uns<br />(하느님의 가호와 함께)
|국가        = [[그대에게 승리의 왕관을]]
|수도        = [[베를린]]
|공용어      = [[독일어]]
|국어        = 
|국교        = 
|정치체제    = [[입헌군주제]]
|군주        = 
|수반 직책   = 
|수반        = 
|부수반 직책 = 
|부수반      = 
|입법부      = [[라이히스탁]]
|인구        = 64,925,993
|인구밀도    = 
|인구 연도   = 1910년 기준
|면적        = 540,857.54
|면적 연도   = 1910년 기준
|GDP PPP     = 
|GDP PPP 1인 = 
|GDP         = 
|GDP 1인     = 
|GDP 연도    = 
|화폐        = [[페라인슈탈러]]<br />[[남독일 굴덴]]<br />[[베레멘 탈러]]<br />[[함부르크 마르크]]<br />[[프랑스 프랑]] (이상 ~1873)<br />[[금 마르크]] (1873~1914)<br/>[[파피어마르크]] (1914~)
|시간대      = 
|ISO         = 
|국가도메인  = 
|국제전화    = 
|이전나라    = {{깃발그림|Flag of the German Empire.svg}} [[북독일연방]]<br />{{깃발그림|Flag of Bavaria (striped).svg}} [[바이에른왕국]]<br />{{깃발그림|Flagge Königreich Württemberg.svg}} [[뷔르템베르크왕국]]<br />{{깃발그림|Flagge Großherzogtum Baden (1871-1891).svg}} [[바덴대공국]]<br />{{깃발그림|Flagge_Großherzogtum_Hessen_ohne_Wappen.svg}} [[헤센대공국]]
|이후나라    = [[바이마르공화국]] {{깃발그림|Flag of Germany (3-2 aspect ratio).svg}}<br />[[메멜지역]] {{깃발그림|Flag of the Klaipėda Region.svg}}<br />[[자르지역]] {{깃발그림|Flag of Saar 1920-1935.svg}}<br />[[단치히자유시]] {{깃발그림|Flag of the Free City of Danzig.svg}}
|비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