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리브레 한자사전/河: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중국어: replaced: lang-중국어 → 중국어=)
편집 요약 없음
22번째 줄: 22번째 줄:
|급수=5급
|급수=5급
}}</onlyinclude>
}}</onlyinclude>
고대에는 남쪽의 양쯔강은 江(강), 북쪽의 황하는 河(하)라고 했다. 지금의 강은 水(물 수)라고 했고 작은 물줄기는 川(내 천)으로 불렀다. 그래서 황하 강이 아니라 '황하'가 올바른 표현이다.


{{한자 서체}}
{{한자 서체}}
중국에서는 주로 중국 북부의 황하를 뜻한다. 역사적으로 남쪽의 강은 江(강), 북쪽의 강은 河(하)라고 하였다. 그래서 황하 강이 아니라 '황하'가 올바른 표현이다. 한반도나 일본에서는 구분없이 모두 江(강)이라고 불러왔다.


== 용례 ==
== 용례 ==
32번째 줄: 32번째 줄:
* 도하(渡河)
* 도하(渡河)
* 하구(河口)
* 하구(河口)
* 하백(河伯) 물을 다스리는 신.
* 하백(河伯) 부여, 고구려 신화에 등장하는 물을 다스리는 신.
* 하류(河流) 강의 하류
* 하류(河流) 강의 하류



2022년 3월 28일 (월) 12:04 판

정자[韓/臺]
신자체 [日]
간체자 [中]




CJK Unified Ideographs
U+6CB3
부 8획
뜻과 소리
중고한어ɦɑ
어문회 급수5급
쓰는 순서
CJK Unified Ideographs
U+6CB3
부 8획
뜻과 소리
훈독(訓読)かわ
음독(音読)
오음(呉音)
한음(漢音)
쓰는 순서
CJK Unified Ideographs
U+6CB3
부 8획
뜻과 소리
병음
쓰는 순서

고대에는 남쪽의 양쯔강은 江(강), 북쪽의 황하는 河(하)라고 했다. 지금의 강은 水(물 수)라고 했고 작은 물줄기는 川(내 천)으로 불렀다. 그래서 황하 강이 아니라 '황하'가 올바른 표현이다.


용례

  • 하천(河川)
  • 은하(銀河) 수 천억개의 항성이 모인 공통 질량 중심을 가진 별의 집단
  • 도하(渡河)
  • 하구(河口)
  • 하백(河伯) 부여, 고구려 신화에 등장하는 물을 다스리는 신.
  • 하류(河流) 강의 하류

중국어

  • 天河 tiānhé: 은하수
    중국의 슈퍼 컴퓨터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