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TI: 두 판 사이의 차이

19번째 줄: 19번째 줄:
==유의사항==
==유의사항==
# 자가 응답방식의 한계
# 자가 응답방식의 한계
:MBTI뿐 아니라 상당수의 심리검사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적인 한계라고도 할 수 있겠지만, 일단 이 방식 자체가 자기 자신에 대한 "유형 선호"에 해당하는 답을 찾아야 하는 것이 질문 의도임에도 자신이 원하는 이상적인 모습이나 성격에 맞는 답을 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또한 사회적인 가면(페르소나)이 내재화된 사람의 경우 그 가면을 쓰는 곳과 아닌 곳에서의 결과가 제멋대로 나올 수도 있다.
::MBTI뿐 아니라 상당수의 심리검사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적인 한계라고도 할 수 있겠지만, 일단 이 방식 자체가 자기 자신에 대한 "유형 선호"에 해당하는 답을 찾아야 하는 것이 질문 의도임에도 자신이 원하는 이상적인 모습이나 성격에 맞는 답을 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또한 사회적인 가면(페르소나)이 내재화된 사람의 경우 그 가면을 쓰는 곳과 아닌 곳에서의 결과가 제멋대로 나올 수도 있다. 흔히 하는 농담으로 종교인들은 자기 자신의 모습에 응답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생각하는 그분의 모습"이 나올 가능성이 높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이러한 것을 의미하는 농담이다. 따라서 MBTI검사를 할 때 각각의 질문에 오랜 시간 동안 심사숙고해서 답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모습을 즉각적으로 생각해서 응답하는 것이 그나마 정확도를 올릴 수 있는 방법이 된다.

2022년 3월 11일 (금) 09:43 판

마이어스-브릭스 유형 지표(영어: Myers-Briggs Type Indicator, MBTI)는 캐서린 쿡 브릭스(Katharine C. Briggs)와 그의 딸 이사벨 브릭스 마이어스(Isabel B. Myers)가 개발한 성격 유형 검사이다. MBTI검사라는 이름으로 많이 알려져 있다. 1944년 Briggs Myers Type Indicator Handbook이라는 책으로 출판되었다. 인간의 성격을 네 가지 척도의 조합으로 보아 16가지(24)로 분류하였다.

구성

주의초점(E-I)
외향형(Extraversion)과 내향형(Introversion)으로 나뉜다.
인식기능(S-N)
감각형(Sensing)과 직관형(iNtuition)으로 나뉜다.
판단기능(T-F)
사고형(Thinking)과 감정형(Filling)으로 나뉜다.
생활양식(J-P)
판단형(Judging)과 인식형(Perceiving)으로 나뉜다.

관련 사이트

유의사항

  1. 자가 응답방식의 한계
MBTI뿐 아니라 상당수의 심리검사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적인 한계라고도 할 수 있겠지만, 일단 이 방식 자체가 자기 자신에 대한 "유형 선호"에 해당하는 답을 찾아야 하는 것이 질문 의도임에도 자신이 원하는 이상적인 모습이나 성격에 맞는 답을 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또한 사회적인 가면(페르소나)이 내재화된 사람의 경우 그 가면을 쓰는 곳과 아닌 곳에서의 결과가 제멋대로 나올 수도 있다. 흔히 하는 농담으로 종교인들은 자기 자신의 모습에 응답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생각하는 그분의 모습"이 나올 가능성이 높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이러한 것을 의미하는 농담이다. 따라서 MBTI검사를 할 때 각각의 질문에 오랜 시간 동안 심사숙고해서 답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모습을 즉각적으로 생각해서 응답하는 것이 그나마 정확도를 올릴 수 있는 방법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