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리브레 한자사전/驛: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top: 틀 교체 awb)
잔글 (→‎top: 미사용 변수 삭제, removed: |기본 = {{{2|}}})
1번째 줄: 1번째 줄:
<onlyinclude>{{한자 정보|{{{1|}}}|기본 = {{{2|}}}
<onlyinclude>{{한자 정보|{{{1|}}}
|한자 = 驛
|한자 = 驛
|신자체 = 駅
|신자체 = 駅

2022년 1월 2일 (일) 18:12 판

정자[韓/臺]
신자체 [日]
간체자 [中]





CJK Unified Ideographs
U+9A5B
부 23획
뜻과 소리
중고한어jiᴇk̚
CJK Unified Ideographs
U+99C5
부 14획
뜻과 소리
훈독(訓読)うまや
음독(音読)
오음(呉音)ヤク
한음(漢音)エキ
CJK Unified Ideographs
驿
U+9A7F
부 8획
뜻과 소리
병음

철도역, 역참의 '역'이 이 한자이다. 약자는 이렇게 쓰는데 일본 신자체에서 약자를 그대로 채용하였다. (말 마) 오른쪽의 (엿볼 역)은 (자 척)으로 줄여쓰기도 하는데 자 말고도 여럿 예시가 있다. , , , , , , 의 형태로 줄여쓸 수 있다. 김정호의 지리지 대동지지(《大東地志》)에서도 그 용례를 찾아볼 수 있어 일본 뿐만 아니라 다른 한자 문화권에서도 사용했음을 보여준다.


용례

한자성어

각주

  1. 중국에서는 역(驛)보다는 참(站)이라는 표현을 더 자주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