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근데 다른 2인칭 대명사들에 대한 설명이 굳이 문서화를 해서 만들 필요성이 있을까요...)
3번째 줄: 3번째 줄:
'''지금 이 문서를 보고 있는 화면 밖의 사람'''
'''지금 이 문서를 보고 있는 화면 밖의 사람'''


== 요약 ==
영어로는 you라고 하며 당신, 너, 그대 정도의 의미가 된다. 중국어로는 니(你), 일본어로는 아나타(あなた)나 키미(きみ、君)가 자주 쓰이며 많이 친근할 때 쓰이거나 상급자가 하급자에게 쓰는 오마에(おまえ、お前)가 있는데 이건 '이자식들' 이라거나 '네놈들' 정도라서 비슷한 2인칭이지만 받아들이는 뉘앙스가 전혀 다르다.
한국어에서 쓰이는 2인칭 대명사 중 하나


== 상세 ==
== 상세 ==
11번째 줄: 10번째 줄:
주로 친구나 나보다 아랫사람 상대로 쓰인다.
주로 친구나 나보다 아랫사람 상대로 쓰인다.
주격조사 '가'나 보격조사 '가'가 붙으면 '네'가 된다.<ref>[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7336200 네이버 국어사전]</ref>
주격조사 '가'나 보격조사 '가'가 붙으면 '네'가 된다.<ref>[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7336200 네이버 국어사전]</ref>
따라서 잘 모르거나 연이 없는 사람에게는 '저기요' 혹은 '선생님' 또는 '이름+씨' 아니면 '이름+님' 등을 쓰게 된다. 이름을 모르거나 이름을 호명하기 어려운 연령, 계급차가 있는 경우에는 성+직급 등으로 부르는 등 다른 2인칭 대명사로 부른다.


뜻을 보면 알 수 있겠지만 아무 사람이나 잡고 너, 너 거리면 절대 곱게 보지 않는다. 사용에 주의하도록 하자.
뜻을 보면 알 수 있겠지만 아무 사람이나 잡고 너, 너 거리면 절대 곱게 보지 않는다. 사용에 주의하도록 하자.


== 다른 2인칭 대명사들 ==
== 다른 2인칭 대명사들 ==
[[그대]]
* [[그대]]
 
* [[군#君|군]], 또는 양
[[군#君|군]], 또는 양
* [[자네]]
 
* [[당신]]
[[자네]]
 
[[당신]]


{{ㅊ|{{사용자|당신}}}}
{{ㅊ|{{사용자|당신}}}}
27번째 줄: 25번째 줄:
더 있으면 [[추가바람]]
더 있으면 [[추가바람]]


{{각주}}
[[분류:한국어]]
[[분류:한국어]]
[[분류:한 글자 문서]]
[[분류:한 글자 문서]]

2021년 8월 29일 (일) 18:37 판

당신. 아니 어떻게 알고 있는 거야

지금 이 문서를 보고 있는 화면 밖의 사람

영어로는 you라고 하며 당신, 너, 그대 정도의 의미가 된다. 중국어로는 니(你), 일본어로는 아나타(あなた)나 키미(きみ、君)가 자주 쓰이며 많이 친근할 때 쓰이거나 상급자가 하급자에게 쓰는 오마에(おまえ、お前)가 있는데 이건 '이자식들' 이라거나 '네놈들' 정도라서 비슷한 2인칭이지만 받아들이는 뉘앙스가 전혀 다르다.

상세

한국어에서 쓰이는 2인칭 대명사 중 하나다.

주로 친구나 나보다 아랫사람 상대로 쓰인다. 주격조사 '가'나 보격조사 '가'가 붙으면 '네'가 된다.[1]

따라서 잘 모르거나 연이 없는 사람에게는 '저기요' 혹은 '선생님' 또는 '이름+씨' 아니면 '이름+님' 등을 쓰게 된다. 이름을 모르거나 이름을 호명하기 어려운 연령, 계급차가 있는 경우에는 성+직급 등으로 부르는 등 다른 2인칭 대명사로 부른다.

뜻을 보면 알 수 있겠지만 아무 사람이나 잡고 너, 너 거리면 절대 곱게 보지 않는다. 사용에 주의하도록 하자.

다른 2인칭 대명사들

당신

더 있으면 추가바람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