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살아남기/무인도: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분류:리브레 시리즈 * = 개요 = 당신은 모종의 이유로 타고오던 배나 비행기가 난파되었다. 어찌해야하는가? = 타고 오...)
 
(자동 찾아 바꾸기: 「여러개」(을)를 「여러 개」(으)로)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2번째 줄: 12번째 줄:
한반도 부속도서에서 타고 있던것이 난파된게 아니라면 구명보트로 원래 도착지나 출발지로 간다는 것 자체가 금물이다. 가까이에 보이는 무인도로 일단 가야한다.
한반도 부속도서에서 타고 있던것이 난파된게 아니라면 구명보트로 원래 도착지나 출발지로 간다는 것 자체가 금물이다. 가까이에 보이는 무인도로 일단 가야한다.
= 무인도에 도착하고 나서 해야할 것 =
= 무인도에 도착하고 나서 해야할 것 =
1. 비가 그칠 때 까지 해안가 모래를 덮고 잔다.
1. 비가 그칠 때까지 해안가 모래를 덮고 잔다.
 
2. 난파된 배에서 쓸만한 물건을 가져온다.
2. 난파된 배에서 쓸만한 물건을 가져온다.
3. 모닥불을 만들고 불을 피운다.
3. 모닥불을 만들고 불을 피운다.
4. 마실 수 있는 물을 구한다.
4. 마실 수 있는 물을 구한다.
* 물을 구할 수 있는 방법은 여러가지다.
* 물을 구할 수 있는 방법은 여러가지다.
** 초록색 나뭇잎이 달려있는 나뭇가지를 투명한 비닐봉지로 감싼다.
** 초록색 나뭇잎이 달려있는 나뭇가지를 투명한 비닐봉지로 감싼다.
** 바닷물을 끓인다.
** 바닷물을 끓인다.
** 물거름망을 만들고 위에 민물을 넣고 아래에서 채취한다.<ref>물거름망은 페트병, 숯, 모래, 자갈로 만들 수 있으며, 페트병 입구에 조그마한 구멍을 뚫고 페트병 바닥을 잘라내며 숯, 모래, 자갈 순서로 일정량 넣는다. 여러번 걸러서 쓰면 더욱 깨끗해 질 수 있기에 여러개 만들어 놓은다.</ref>
** 물거름망을 만들고 위에 민물을 넣고 아래에서 채취한다.<ref>물거름망은 페트병, 숯, 모래, 자갈로 만들 수 있으며, 페트병 입구에 조그마한 구멍을 뚫고 페트병 바닥을 잘라내며 숯, 모래, 자갈 순서로 일정량 넣는다. 여러번 걸러서 쓰면 더욱 깨끗해 질 수 있기에 여러 개 만들어 놓은다.</ref>
* 어떤 일이 있어도 절때로 2급수 미만이나 바닷물을 마시지 말 것.
* 어떤 일이 있어도 절때로 2급수 미만이나 바닷물을 마시지 말 것.
5. 움집을 만들어 놓는다.
5. 움집을 만들어 놓는다.
= 무인도 탈출하기 =
= 무인도 탈출하기 =
당신이 무인도에 조난당했다면 영원히 살 것은 아닐 것이다. 그러기 때문에 구조요청을 보내야 한다.
당신이 무인도에 조난당했다면 영원히 살 것은 아닐 것이다. 그러기 때문에 구조요청을 보내야 한다.
== 무인도를 탈출하기 위해서 반드시 하지 '''말아야''' 할 것
== 무인도를 탈출하기 위해서 반드시 하지 '''말아야''' 할 것 ==
* 뗏목 만들어 탈출하기
* 뗏목 만들어 탈출하기
*: 당신이 만든 뗏목은 어찌해도 당신이 무인도로 올 때 타고 오던 것보다 좋지 않다.
*: 당신이 만든 뗏목은 어찌해도 당신이 무인도로 올 때 타고 오던 것보다 좋지 않다.
32번째 줄: 36번째 줄:
*: 교통수단 소리 때문에 들리지 않는다
*: 교통수단 소리 때문에 들리지 않는다
== 무인도를 탈출하기 위해서 반드시 '''해야''' 할 것 ==
== 무인도를 탈출하기 위해서 반드시 '''해야''' 할 것 ==
* 돌이나 수건 등으로 V자를 만든다. 아주 {{+2|크게}}
* 돌이나 수건 등으로 V자를 만든다. 아주 <big><big>크게</big></big>
* 교통수단이 보일 때 팔을 V자 모양으로 만들기
* 교통수단이 보일 때 팔을 V자 모양으로 만들기



2020년 5월 9일 (토) 08:00 기준 최신판

개요[편집 | 원본 편집]

당신은 모종의 이유로 타고오던 배나 비행기가 난파되었다. 어찌해야하는가?

타고 오던 곳 탈출하기[편집 | 원본 편집]

당신은 살아남기 위해서 당신이 타고 있는 곳을 탈출해야 한다.

  • 크기가 어선 크기 정도가 아니라면 먼저 배에 있는 구명보트를 던진다. 그 다음 구명조끼를 맞춰 입은 다음에 바다로 뛰어 든 뒤에 구명보트에 들어온다. 그 다음에 구명보트 안의 노로 보이는 무인도로 간다.
  • 비행기
    먼저 구명조끼를 걸친다.[1] 그 다음, 출입구로 간다. 출입구에 가보면 구명보트가 부풀려 있을 것이다. 그걸 탄다. 그리고 구명조끼를 맞춘 다음에 무인도로 간다.

무인도 도착[편집 | 원본 편집]

한반도 부속도서에서 타고 있던것이 난파된게 아니라면 구명보트로 원래 도착지나 출발지로 간다는 것 자체가 금물이다. 가까이에 보이는 무인도로 일단 가야한다.

무인도에 도착하고 나서 해야할 것[편집 | 원본 편집]

1. 비가 그칠 때까지 해안가 모래를 덮고 잔다.

2. 난파된 배에서 쓸만한 물건을 가져온다.

3. 모닥불을 만들고 불을 피운다.

4. 마실 수 있는 물을 구한다.

  • 물을 구할 수 있는 방법은 여러가지다.
    • 초록색 나뭇잎이 달려있는 나뭇가지를 투명한 비닐봉지로 감싼다.
    • 바닷물을 끓인다.
    • 물거름망을 만들고 위에 민물을 넣고 아래에서 채취한다.[2]
  • 어떤 일이 있어도 절때로 2급수 미만이나 바닷물을 마시지 말 것.

5. 움집을 만들어 놓는다.

무인도 탈출하기[편집 | 원본 편집]

당신이 무인도에 조난당했다면 영원히 살 것은 아닐 것이다. 그러기 때문에 구조요청을 보내야 한다.

무인도를 탈출하기 위해서 반드시 하지 말아야 할 것[편집 | 원본 편집]

  • 뗏목 만들어 탈출하기
    당신이 만든 뗏목은 어찌해도 당신이 무인도로 올 때 타고 오던 것보다 좋지 않다.
  • 교통수단이 보일 때 한 손만 흔들기
    교통수단에 타고 있는 사람은 당신이 괜찮은 줄 안다.
  • 교통수단이 보일 때 구조해 달라고 소리지르기
    교통수단 소리 때문에 들리지 않는다

무인도를 탈출하기 위해서 반드시 해야 할 것[편집 | 원본 편집]

  • 돌이나 수건 등으로 V자를 만든다. 아주 크게
  • 교통수단이 보일 때 팔을 V자 모양으로 만들기


여기까지 왔다면 당신은 다시 집으로 올 수 있을 것이다.진짜로 타고 오던 것이 난파되었을 때는 여기 연결 안되잖아!

각주

  1. 만약 맞추기라도 하다가 비행기에 물이 들어오기 시작한다면...
  2. 물거름망은 페트병, 숯, 모래, 자갈로 만들 수 있으며, 페트병 입구에 조그마한 구멍을 뚫고 페트병 바닥을 잘라내며 숯, 모래, 자갈 순서로 일정량 넣는다. 여러번 걸러서 쓰면 더욱 깨끗해 질 수 있기에 여러 개 만들어 놓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