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놉티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 개요 == 노르웨이의 사회학자 토마스 매티슨이 제기한 개념이다. 시놉티콘(Synopticon)은 파놉티콘의 반대어로 다수가 소수를 감시하...)
 
잔글 (불필요한 공백 제거)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개요 ==
'''시놉티콘'''(Synopticon) 또는 '''신옵티콘'''은 [[노르웨이]]의 사회학자 토마스 매티슨이 제기한 개념이다. [[파놉티콘]]의 반대어로 다수가 소수를 감시하는 체제를 뜻한다.
[[노르웨이]]의 사회학자 토마스 매티슨이 제기한 개념이다. 시놉티콘(Synopticon)은 [[파놉티콘]]의 반대어로 다수가 소수를 감시하는 체제이다.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감시자들을 다수 시민들이 역으로 감시할 수 있게 되었고, 이는 상호감시가 가능한 시놉티콘의 등장을 가져오게 되었다.  


[[분류:철학]]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감시자들을 다수 시민들이 역으로 감시할 수 있게 되었고, 이는 상호감시가 가능한 시놉티콘의 등장을 가져오게 되었다.
 
==사례==
*인터넷에 공개되는 [[갑질]] 사례와 여기에서 파생되는 추가 폭로가 이어지는 현상 및 대중의 반응
*특정인의 SNS에 대한 신상털기 : 불특정 다수의 대중이 특정인(꼭 유명인이 아니어도 된다)의 SNS계정 등을 털거나 과거 행적을 조사하여 사상검증 같은 것을 하는 행위. 리브레 위키에 기재된 사례로는 [[메갈리아4 티셔츠 사태]] 같은 것이 있다.


{{각주}}
{{각주}}
[[분류:사회철학]]

2021년 6월 15일 (화) 22:47 기준 최신판

시놉티콘(Synopticon) 또는 신옵티콘노르웨이의 사회학자 토마스 매티슨이 제기한 개념이다. 파놉티콘의 반대어로 다수가 소수를 감시하는 체제를 뜻한다.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감시자들을 다수 시민들이 역으로 감시할 수 있게 되었고, 이는 상호감시가 가능한 시놉티콘의 등장을 가져오게 되었다.

사례[편집 | 원본 편집]

  • 인터넷에 공개되는 갑질 사례와 여기에서 파생되는 추가 폭로가 이어지는 현상 및 대중의 반응
  • 특정인의 SNS에 대한 신상털기 : 불특정 다수의 대중이 특정인(꼭 유명인이 아니어도 된다)의 SNS계정 등을 털거나 과거 행적을 조사하여 사상검증 같은 것을 하는 행위. 리브레 위키에 기재된 사례로는 메갈리아4 티셔츠 사태 같은 것이 있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