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역 채색: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_([^]]*)\]\] +\1 \2))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학술}} [[분류:복소해석학]]
[[분류:복소해석학]]
 
'''정의역 채색'''(domain colouring)은 [[복소함수]]의 시각화를 위한 방법으로, 4 차원의 그래프를 2 차원의 평면에 옮기는 방법이다. [[색환 그래프]], [[채색된 해석적 랜드스케이프]](coloured analytic landscape), [[한꼴 플로팅]](conformal plot) 등과 함께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 중 하나이다.
'''정의역 채색'''(domain colouring)은 [[복소함수]]의 시각화를 위한 방법으로, 4 차원의 그래프를 2 차원의 평면에 옮기는 방법이다. [[색환 그래프]], [[채색된 해석적 랜드스케이프]](coloured analytic landscape), [[한꼴 플로팅]](conformal plot) 등과 함께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 중 하나이다.


8번째 줄: 7번째 줄:
그리고 명도를 이용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딱히 정해진 것이 없다. 양자화의 기준이 되는 함숫값(의 절댓값, 즉 <math>|f(z)|</math>)을 갖는 점을 선으로 이어 놓은 것도 있고, 그 사이의 구간을 그라데이션으로 채워 놓은 것도 있다. 또한 그 양자화의 기준값 역시 정해져 있지 않지만, 대개 <math>n</math>이나 <math>2^n</math>을 기준으로 한다. (<math>n\in\mathbb Z</math>)
그리고 명도를 이용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딱히 정해진 것이 없다. 양자화의 기준이 되는 함숫값(의 절댓값, 즉 <math>|f(z)|</math>)을 갖는 점을 선으로 이어 놓은 것도 있고, 그 사이의 구간을 그라데이션으로 채워 놓은 것도 있다. 또한 그 양자화의 기준값 역시 정해져 있지 않지만, 대개 <math>n</math>이나 <math>2^n</math>을 기준으로 한다. (<math>n\in\mathbb Z</math>)


채도 역시 정해진 것은 없지만, 대부분 [[색환]]의 것을 따른다. 즉, Arg([[편각 (수학)|편각]])이 0부터 2π까지 변할 때, 채도는 RGB 순, 더 정확하게는 Red, Yellow, Green, Cyan, Blue, Magenta 순으로 변한다. 즉 Red는 양의 실수, Cyan은 음의 실수를 뜻한다.
채도 역시 정해진 것은 없지만, 대부분 [[색환]]의 것을 따른다. 즉, Arg([[편각 (수학)|편각]])이 0부터 2π까지 변할 때, 채도는 [[RGB]] 순, 더 정확하게는 Red, Yellow, Green, Cyan, Blue, Magenta 순으로 변한다. 즉 Red는 양의 실수, Cyan은 음의 실수를 뜻한다.


== 예시 ==
== 예시 ==
아래의 domain colouring은 [https://gandhiviswanathan.wordpress.com/2014/10/07/domain-coloring-for-visualizing-complex-functions Gandhi Viswanathan's Blog]의 Mathematica code를 이용하였다. 이는 주기적인 그라데이션으로 함숫값의 절댓값을 표현하며, 그 간격은 <math>2^n</math>이다. 또한 채색된 해석적 랜드스케이프, 한꼴 플로팅과 같이 보여주기로 한다.  
아래의 domain colouring은 [https://gandhiviswanathan.wordpress.com/2014/10/07/domain-coloring-for-visualizing-complex-functions Gandhi Viswanathan's Blog]의 Mathematica code를 이용하였다. 이는 주기적인 그라데이션으로 함숫값의 절댓값을 표현하며, 그 간격은 <math>2^n</math>이다. 또한 채색된 해석적 랜드스케이프, 한꼴 플로팅과 같이 보여주기로 한다.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복소함수의 시각화
|+ 복소함수의 시각화
! 함수
! 함수
! 정의역 채색<br/><small>Domain Colouring</small>
! 정의역 채색<br /><small>Domain Colouring</small>
! 해석적 랜드스케이프<br/><small>Analytic landscape</small>
! 해석적 랜드스케이프<br /><small>Analytic landscape</small>
! 한꼴 플로팅<br/><small>Conformal plot</small>
! 한꼴 플로팅<br /><small>Conformal plot</small>
|-
|-
| 플로팅 영역
| 플로팅 영역
26번째 줄: 25번째 줄:
|-
|-
| <math>f(z) = z</math>
| <math>f(z) = z</math>
| [[파일:VisualizationOfComplexFunctionByDomainColouring_id.png|250px]]
| [[파일:VisualizationOfComplexFunctionByDomainColouring id.png|250px]]
| [[파일:VisualizationOfComplexFunctionByAnalyticLandscape_id.png|250px]]
| [[파일:VisualizationOfComplexFunctionByAnalyticLandscape id.png|250px]]
| [[파일:VisualizationOfComplexFunctionByConformalPlot_id.png|250px]]
| [[파일:VisualizationOfComplexFunctionByConformalPlot id.png|250px]]
|-
|-
| <math>f(z) = \sin z</math>
| <math>f(z) = \sin z</math>
| [[파일:VisualizationOfComplexFunctionByDomainColouring_sin.png|250px]]
| [[파일:VisualizationOfComplexFunctionByDomainColouring sin.png|250px]]
| [[파일:VisualizationOfComplexFunctionByAnalyticLandscape_sin.png|250px]]
| [[파일:VisualizationOfComplexFunctionByAnalyticLandscape sin.png|250px]]
| [[파일:VisualizationOfComplexFunctionByConformalPlot_sin.png|250px]]
| [[파일:VisualizationOfComplexFunctionByConformalPlot sin.png|250px]]
|-
|-
| <math>f(z) = \Gamma (z)</math>
| <math>f(z) = \Gamma (z)</math>
| [[파일:VisualizationOfComplexFunctionByDomainColouring_Gamma.png|250px]]
| [[파일:VisualizationOfComplexFunctionByDomainColouring Gamma.png|250px]]
| [[파일:VisualizationOfComplexFunctionByAnalyticLandscape_Gamma.png|250px]]
| [[파일:VisualizationOfComplexFunctionByAnalyticLandscape Gamma.png|250px]]
| [[파일:VisualizationOfComplexFunctionByConformalPlot_Gamma.png|250px]] <br/> [-.5, .5] × [-.5, .5] → [-10, 10] × [-10, 10]
| [[파일:VisualizationOfComplexFunctionByConformalPlot Gamma.png|250px]] <br /> [-.5, .5] × [-.5, .5] → [-10, 10] × [-10, 10]
|}
|}

2022년 8월 30일 (화) 11:13 기준 최신판

정의역 채색(domain colouring)은 복소함수의 시각화를 위한 방법으로, 4 차원의 그래프를 2 차원의 평면에 옮기는 방법이다. 색환 그래프, 채색된 해석적 랜드스케이프(coloured analytic landscape), 한꼴 플로팅(conformal plot) 등과 함께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 중 하나이다.

진술[편집 | 원본 편집]

정의역 채색은 복소함수의 그래프(실수체에서 4 차원)를 정의역, 채도(hue), 명도(lightness)로 나타낸다. 색환 그래프와 다른 점은 명도를 등고선의 용도로 활용한다는 것밖에 없다. (Contour plot)

그리고 명도를 이용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딱히 정해진 것이 없다. 양자화의 기준이 되는 함숫값(의 절댓값, 즉 [math]\displaystyle{ |f(z)| }[/math])을 갖는 점을 선으로 이어 놓은 것도 있고, 그 사이의 구간을 그라데이션으로 채워 놓은 것도 있다. 또한 그 양자화의 기준값 역시 정해져 있지 않지만, 대개 [math]\displaystyle{ n }[/math]이나 [math]\displaystyle{ 2^n }[/math]을 기준으로 한다. ([math]\displaystyle{ n\in\mathbb Z }[/math])

채도 역시 정해진 것은 없지만, 대부분 색환의 것을 따른다. 즉, Arg(편각)이 0부터 2π까지 변할 때, 채도는 RGB 순, 더 정확하게는 Red, Yellow, Green, Cyan, Blue, Magenta 순으로 변한다. 즉 Red는 양의 실수, Cyan은 음의 실수를 뜻한다.

예시[편집 | 원본 편집]

아래의 domain colouring은 Gandhi Viswanathan's Blog의 Mathematica code를 이용하였다. 이는 주기적인 그라데이션으로 함숫값의 절댓값을 표현하며, 그 간격은 [math]\displaystyle{ 2^n }[/math]이다. 또한 채색된 해석적 랜드스케이프, 한꼴 플로팅과 같이 보여주기로 한다.

복소함수의 시각화
함수 정의역 채색
Domain Colouring
해석적 랜드스케이프
Analytic landscape
한꼴 플로팅
Conformal plot
플로팅 영역 [-3, 3] × [-3, 3] [-3, 3] × [-3, 3] [-1, 1] × [-1, 1] → [-3, 3] × [-3, 3]
[math]\displaystyle{ f(z) = z }[/math] VisualizationOfComplexFunctionByDomainColouring id.png VisualizationOfComplexFunctionByAnalyticLandscape id.png VisualizationOfComplexFunctionByConformalPlot id.png
[math]\displaystyle{ f(z) = \sin z }[/math] VisualizationOfComplexFunctionByDomainColouring sin.png VisualizationOfComplexFunctionByAnalyticLandscape sin.png VisualizationOfComplexFunctionByConformalPlot sin.png
[math]\displaystyle{ f(z) = \Gamma (z) }[/math] VisualizationOfComplexFunctionByDomainColouring Gamma.png VisualizationOfComplexFunctionByAnalyticLandscape Gamma.png VisualizationOfComplexFunctionByConformalPlot Gamma.png
[-.5, .5] × [-.5, .5] → [-10, 10] × [-10,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