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부고속철도: 두 판 사이의 차이

(경부고속선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사용자 9명의 중간 판 3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big>京釜高速鐵道</big>
#넘겨주기 [[경부고속선]]
== 개요 ==
우리나라 최초의 [[고속철도]] 운행 계통이다. 해당 노선이 주로 사용하는 선로는 [[경부고속선]]을 포함하여 [[경부선]] 및 [[경전선]], [[동해선]], [[경의선]], [[인천국제공항철도]] 등 기존 노선을 경유하는 다양한 형태로 영업운행 중이다.
 
== 연혁 ==
* [[1992년]] [[6월 30일]] : [[경부고속선]] 기공식
* [[2004년]] [[4월 1일]] : 경부고속선 1단계 구간 [[서울역]] ~ [[동대구역]] 구간 개통
* [[2010년]] [[11월 1일]] : 경부고속선 2단계 구간 [[동대구역]] ~ [[부산역]] 구간 개통 및 [[오송역|ㅇㅅ역]], [[김천구미역]] 영업 개시
* [[2010년]] [[12월 15일]] : [[경전선]] 구간을 경유하는 [[마산역|마산행]] 개통
* [[2012년]] [[12월 5일]] : [[경전선]] 경유 편성 일부 [[진주역|진주행]] 연장
* [[2015년]] [[4월 2일]] : [[동해선]] 일부구간 개량 완료 및 [[포항역|포항행]] 개통
* [[2015년]] [[8월 1일]] : [[대전광역시|대전]], [[대구광역시|대구]] 도심구간 개통
 
== 우여곡절 ==
=== 건설 과정 ===
경부고속철도에 관한 논의는 [[1970년대]]부터 시작되었다. 다만 당시에는 현재와 같은 고속철도로서 속도가 중요한 사항이 아니라 [[경부고속도로]]의 포화상태를 해소하기 위한 대안으로 개념만 구상하였기에 실제로 사업이 현실화되지는 못했다. 이후 [[노태우]] 정권기인 [[1989년]], [[인천국제공항]] 건설과 함께 2대 국책사업으로 선정, 비로소 현실적으로 고속철도라는 실체에 접근하였다. 열차 기종 및 고속선 건설을 놓고 당시 기술이 부족했으므로 자연스럽게 당시 세계적으로 고속철도를 이끌던 [[프랑스]] [[알스톰]]사의 [[TGV]], [[독일]] [[ICE]], [[일본]] [[신칸센]]이 한국 고속철도 사업권을 놓고 3파전을 벌였다. 일본 신칸센은 기술이전에 대한 의지 부족으로 일찌감치 탈락했고, 남은 독일과 프랑스가 치열한 경합을 벌인 결과, 더 나은 금융조건 및 기술이전, 오랜 고속철도 운용능력이 검증된 프랑스 알스톰사가 최종적으로 선정되었다.
 
[[1996년]] [[6월 30일]], 대망의 고속철도 기공식이 열렸으나 고속철도 경험이 없었던 관계로 토지매입 보상비, 설계 변경 등 잡음을 발생시키면서 애초 목표했던 [[1998년]] 개통은 어려웠다. 게다가 부실공사 의혹 제기에 따른 감리사 변경 및 설계 변경과 같은 악재가 겹치면서 [[설상가상]]으로 예정된 사업비를 초과해버렸고, 결국 [[2002년]] 월드컵 이전까지 개통하는 것으로 계획이 변경된다. 하지만 [[1997년]]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자금사정이 악화되어 계획 변경이 불가피했고, 최종적으로 [[2003년]], [[서울역]]에서 [[동대구역]]까지 1단계 구간을 완공하고, [[2010년]]까지 나머지 구간을 완공하는 것으로 사업이 분리되어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1999년]] [[12월 16일]], 시험선 일부 구간이 완공되어 [[KTX-I]] 차량이 시험주행을 개시하였다. 이후 [[2003년]] [[5월]], [[금천구청역|시흥]] - [[광명역|광명]] - [[천안아산역|천안]] 구간이 완공되었고, 동년 [[11월]]에 [[옥천군|옥천]] - 신동 구간이 완공되어 [[경부고속선]] 1단계 구간에 대한 사업이 완료되었다. 또한 [[2003년]]부터 [[2004년]] 사이에 [[서울역]], [[대전역]], [[동대구역]], [[부산역]] 등 주요 [[KTX]] 정차역들에 대한 대대적인 <s>유리궁전화</s>[[리모델링]] 또는 [[증축]]이 이뤄졌다.
 
[[2010년]] [[11월 1일]], [[동대구역]] - [[부산역]] 간 경부고속선 2단계 구간이 완료되면서 비로소 당초 계획했던 고속선 구간이 완공되었다. 2단계 구간 개통에 맞춰 장래 [[호남고속선]] 분기를 수행할 [[오송역|ㅇㅅ역]] 및 [[김천구미역]] 등 새로운 역사가 영업을 개시했다.
 
[[2015년]] [[8월 1일]], [[대전광역시|대전]] 및 [[대구광역시|대구]] 도심구간에 대한 고속선로 개량<ref>하지만 말이 고속선로이지 실상 대전역 남측과 동대구역 북측으로는 곡선구간이 많아서 시속 300km 대의 고속주행은 애초에 불가능하다. 하지만 명목상 고속선을 이용하는지라 해당구간을 이용하는 열차는 운임이 소폭 인상(...) 되었다.</ref>이 완료되어 [[금천구청역]] 이남으로는 완전한 고속선을 이용하는 고속철도 시대가 열렸다. 더불어 대전과 대구에서 기존 [[경부선]]을 경유하던 운행계통이 대부분 폐지되면서 선로용량 증대에도 큰 효과를 가져왔다.
 
=== 광명국제공항(...) ===
당초 계획상 [[광명역]]은 '''남서울역'''이라는 잠정적인 명칭을 부여받고, [[서울특별시]]와 인접한 [[경기도]]권 이용객들이 이용하는 명실상부한 경부고속철도의 시/종착역을 맡을 예정이었다. 따라서 그 역할에 걸맞게 엄청난 규모에 수천억짜리 유리궁전을 당당하게 건설하였으나 막상 서울시민들은 가까운 [[서울역]]이나 [[용산역]]을 버리고 멀리 광명까지 찾아가는 수고로움을 받아들일 수 없었고, 정치권의 이해관계가 얽히면서 결국 경부고속철도 계통은 서울역에서, [[호남고속철도]] 계통은 용산역에서 시/종착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당연히 엄청난 수요를 예상하고 크고 아름답게 지어놨던 광명역은 그야말로 꿔다놓은 보릿자루마냥 그 규모에 비해 초라한 이용객을 보여주게 되었다.
 
현재는 그런데로 주변에 역세권 개발을 통해 주거단지나 상업시설이 서서히 들어서고, [[인천광역시]] 등 인접지역의 이용객이 다소 늘어난 상태지만, [[수원역]] 경유 운행계통이나 장래 개통될 [[수서역]]발 [[수도권고속철도]] 등의 영향으로 수요는 여전히 불안정한 상황이다.
 
=== 서울 도심구간 선로용량 문제 ===
상술한 광명역 문제의 부작용으로 [[서울역]]에서 출발하는 [[KTX]] 차량은 [[금천구청역]]까지 [[경부선]] 본선을 이용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해당 구간은 복복선임에도 불구하고 경부고속철도, 호남고속철도, 광역전철, 일반열차, 화물열차 등 수없이 많은 열차들의 통행을 감당하다 못해 폭발 직전인 상황이다. 선로용량이 과포화 상태다보니 [[코레일]] 측에서는 장거리 운행시 수익성이 높은 KTX 위주로 편성할 수 밖에 없으며, 반대급부로 [[ITX-새마을]]이나 [[무궁화호]]같은 일반 열차의 편성은 대폭 칼질당할 수 밖에 없다. 더욱이 해당 구간을 확장하거나 지하화를 생각하더라도 이미 높아질대로 높아진 서울시내 땅값은 토지매입과 보상비만 하더라도 가히 천문학적 수준이 될 것이며, 지하구간을 신설하려 해도 역시 공사기간과 대심도가 불가피하여 건설비 역시 만만치 않은 상태이다.
 
== 운행 계통 ==
=== [[경부고속선]] ===
{{철도역 범례}}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역명 !! 등급 !!역간거리<br>km !! 영업거리<br>km !! 접속노선 !! 소재지 !! 비고
|-
| colspan="7"|↑ [[행신역|행신]], [[인천국제공항역|인천국제공항]] 방면
|-
| [[서울역|서울]]||{{색|RED|◎}}||0||0||[[경부선]]<br/>[[경의선]]||[[서울특별시]] [[용산구]]||[[광명역|광명]]까지 [[경부선]] 이용, 시/종착역
|-
|colspan = 7  style="text-align:left;" |↙ [[경부선]] [[수원역|수원]]{{,}}[[영등포역|영등포]] 경유 분기
|-
| [[광명역|광명]]||{{색|RED|○}}||22||22||||[[경기도]] [[광명시]]||[[금천구청역]] 남측에서 [[경부고속선]] 분기, 선택정차
|-
| [[천안아산역|천안아산]]||{{색|RED|○}}||74||96||[[장항선]]||[[충청남도]] [[천안시]]|| 선택정차
|-
| [[오송역|오송]]||{{색|RED|○}}||28.6||124.6||[[충북선]]<br/>[[호남고속선]]||[[충청북도]] [[청주시]]|| [[호남고속선]] 분기, 선택정차
|-
|colspan = 7  style="text-align:left;" |↘ [[경부선]] [[수원역|수원]]{{,}}[[영등포역|영등포]] 경유 합류
|-
| [[대전역|대전]]||{{색|RED|◎}}||35.2||159.8||||[[대전광역시]] [[동구 (대전광역시)|동구]]||북쪽 [[대전조차장역]]에서 [[호남선]] 분기
|-
| [[김천(구미)역|김천(구미)]]||{{색|RED|○}}||79.1||238.9||||[[경상북도]] [[김천시]]||선택정차
|-
| [[동대구역|동대구]]||{{색|RED|◎}}||54.2||293.1||[[경부선]]<ref>동대구역 이남에서 기존 경부선을 경유하여 [[밀양역|밀양]] - [[구포역 (한국철도공사)|구포]] - [[부산역|부산]]으로 운행하는 계통이 분기한다</ref><br/>[[동해선]]<ref>동대구역 이남에서 [[건천연결선]]을 거쳐 [[동해선]] 일부 구간을 경유하는 [[포항역|포항행]] 계통이 분기한다.</ref><br/>[[경전선]]<ref>동대구역 이남에서 기존 [[경부선]]을 경유하여 [[삼랑진역|삼랑진]] 부근에서 복선전철로 개량된 [[경전선]] 구간을 경유하는 [[마산역|마산행]], [[진주역|진주행]] 계통이 분기한다.</ref>||[[대구광역시]] [[동구 (대구광역시)|동구]]||
|-
|colspan = 7  style="text-align:left;" |↙ [[경부선]] 경유 부산행{{,}}[[경전선]] 경유 진주행
|-
| [[신경주역|신경주]]||{{색|RED|○}}||49.0||342.1||||[[경상북도]] [[경주시]]||선택정차
|-
|colspan = 7  style="text-align:left;" |↙ [[동해선]] 경유 포항행
|-
| [[울산역|울산]]||{{색|RED|○}}||30.0||372.1||||[[울산광역시]] [[울주군]]||선택정차
|-
| [[부산역|부산]]||{{색|RED|◎}}||51.7||423.8||[[경부선]]||[[부산광역시]] [[동구 (부산광역시)|동구]]||시/종착역
|}
 
=== [[경의선]] 경유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역명 !! 등급 !!역간거리<br>km !! 영업거리<br>km !! 접속노선 !! 소재지 !! 비고
|-
| [[행신역|행신]]||{{색|RED|○}}||14.7<ref>서울역 기준</ref>||14.7||[[경의선]]||[[경기도]] [[고양시]]||[[서울역]]까지 [[경의선]] 이용, 시/종착역
|-
| colspan="7"|↓ [[서울역|서울]] 방면
|}
 
=== [[인천국제공항철도]] 경유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역명 !! 등급 !!역간거리<br>km !! 영업거리<br>km !! 접속노선 !! 소재지 !! 비고
|-
| [[인천국제공항역|인천국제공항]]||{{색|RED|○}}||0||61.2<ref>서울역 기준</ref>||||[[인천광역시]] [[중구 (인천광역시)|중구]]||시/종착역
|-
| [[검암역|검암]]||{{색|RED|○}}||29.8||35.7<ref>서울역 기준</ref>||||[[인천광역시]] [[서구 (인천광역시)|서구]]||
|-
| colspan="7"|↓ [[서울역|서울]] 방면
|}
 
=== 영등포{{,}}수원 경유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역명 !! 등급 !!역간거리<br>km !! 영업거리<br>km !! 접속노선 !! 소재지 !! 비고
|-
| [[서울역|서울]]||{{색|RED|◎}}||0||0||[[경부선]], [[경의선]]||[[서울특별시]] [[용산구]]||시/종착역
|-
| [[영등포역|영등포]]||{{색|RED|○}}||9.1||9.1||||[[서울특별시]] [[영등포구]]||[[경부선]] 경유
|-
| [[수원역|수원]]||{{색|RED|○}}||32.4||41.5||||[[경기도]] [[수원시]]||[[경부선]] 경유
|-
| [[대전역|대전]]||{{색|RED|◎}}||124.8||166.3||||[[대전광역시]] [[동구 (대전광역시)|동구]]||
|-
| colspan="7"|↓ [[동대구역|동대구]] 방면
|}
 
=== 밀양{{,}}구포 경유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역명 !! 등급 !!역간거리<br>km !! 영업거리<br>km !! 접속노선 !! 소재지 !! 비고
|-
| colspan="7"|↑ [[대전역|대전]] 방면
|-
| [[동대구역|동대구]]||{{색|RED|◎}}||54.2||293.1||||[[대구광역시]] [[동구 (대구광역시)|대구]]||
|-
| [[경산역|경산]]||{{색|RED|○}}||12.3||305.4||||[[경상북도]] [[경산시]]||[[경부선]] 경유
|-
| [[밀양역|밀양]]||{{색|RED|○}}||55.3||348.4||||[[경상남도]] [[밀양시]]||[[경부선]] 경유
|-
| [[구포역 (한국철도공사)|구포]]||{{색|RED|○}}||43.6||392.0||||[[부산광역시]] [[북구 (부산광역시)|북구]]||[[경부선]] 경유
|-
| [[부산역|부산]]||{{색|RED|◎}}||16.5||408.5||||[[부산광역시]] [[동구 (부산광역시)|동구]]||시/종착역
|}
 
=== 마산{{,}}진주행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역명 !! 등급 !!역간거리<br>km !! 영업거리<br>km !! 접속노선 !! 소재지 !! 비고
|-
| colspan="7"|↑ [[동대구역|동대구]] 방면
|-
| [[밀양역|밀양]]||{{색|RED|○}}||0||348.4||||[[경상남도]] [[밀양시]]||밀양역 이남 [[삼랑진역]] 부근에서 [[경전선]] 분기
|-
| [[진영역|진영]]||{{색|RED|○}}||25||409.4||||[[경상남도]] [[김해시]]||[[경전선]] 경유
|-
| [[창원중앙역|창원중앙]]||{{색|RED|○}}||14.1||423.5||||[[경상남도]] [[창원시]]||[[경전선]] 경유
|-
| [[창원역|창원]]||{{색|RED|○}}||10.3||433.8||||[[경상남도]] [[창원시]]||[[경전선]] 경유
|-
| [[마산역|마산]]||{{색|RED|○}}||3.6||437.4||||[[경상남도]] [[창원시]]||[[경전선]] 경유 / 일부 시종착
|-
| [[진주역|진주]]||{{색|RED|○}}||49.3||486.7||||[[경상남도]] [[진주시]]||시종착
|}
 
=== 포항행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역명 !! 등급 !!역간거리<br>km !! 영업거리<br>km !! 접속노선 !! 소재지 !! 비고
|-
| colspan="7"|↑ [[대전역|대전]] 방면
|-
| [[동대구역|동대구]]||{{색|RED|◎}}||0||293.1||||[[대구광역시]] [[동구 (대구광역시)|대구]]||
|-
| [[포항역|포항]]||{{색|RED|○}}||76.2||369.3||||[[경상북도]] [[포항시]]||[[동해선]] 경유, 시/종착역
|}
 
== 운행 차량 ==
* [[KTX-I]]
* [[KTX-산천]]
 
== 여담 ==
* [[핌피]]의 폐해가 나타나는 대표적인 예로서 정치권과 지역이기주의의 합심으로 [[영등포역]]에 정차하는 계통이 탄생하였다. 무엇보다도 [[호남고속선]] 분기를 <s>[[테러]]를 불사하겠다는 유치위원장님의 협박에 못이겨</s>뜬금없이 [[오송역|ㅇㅅ역]]이 가져가면서 경부고속선 2단계 개통과 맞물려 [[크고 아름다운]] ㅇㅅ역을 신축하게 되었다.
 
* 역명 선정에 있어서 역세권을 놓고 다투는 두 지역의 갈등을 해소하고자 [[천안아산역]], [[김천(구미)역]]과 같은 기형적인 형태의 역명이 탄생하게 되었다.
 
{{각주}}
[[분류:고속철도]]

2021년 4월 2일 (금) 15:45 기준 최신판

넘겨줄 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