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찌빠: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오류 수정 (빈칸))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놀이=
=놀이=
[[가위바위보]]에서 파생된 놀이이다. 아무 도구 없이 할 수 있지만 여러사람이서 할 수는 없고 두 사람이서만 가능하다. [[가위바위보]]와 똑같은 세 가지 모양을 사용하고 상성도 모두 똑같지만 단지 가위는 찌, 바위는 묵, 보는 빠로 이름이 바뀐다.  
[[가위바위보]]에서 파생된 놀이이다. 아무 도구 없이 할 수 있지만 여러사람이서 할 수는 없고 두 사람이서만 가능하다. [[가위바위보]]와 똑같은 세 가지 모양을 사용하고 상성도 모두 똑같지만 단지 가위는 찌, 바위는 묵, 보는 빠로 이름이 바뀐다.
 
=규칙=
=규칙=
변형이 없는 표준 묵찌빠 기준,
변형이 없는 표준 묵찌빠 기준,
{{인용문2|
{{인용문2|
# 먼저 가위바위보를 한다.
# 먼저 가위바위보를 한다.
# 자신의 모양이 상대방의 것 보다 우위를 같는 사람이 선을 갖게 되며 공격권을 가진 사람이 자신이 낸 모양의 이름으로 두 번 카운트 다운을 한 뒤 양 쪽 다 모양을 바꾸어 낸다. 이 때 선을 가졌던 사람은 모양을 낼 때 자신의 모양을 말해야 한다.  
# 자신의 모양이 상대방의 것 보다 우위를 같는 사람이 선을 갖게 되며 공격권을 가진 사람이 자신이 낸 모양의 이름으로 두 번 카운트 다운을 한 뒤 양 쪽 다 모양을 바꾸어 낸다. 이 때 선을 가졌던 사람은 모양을 낼 때 자신의 모양을 말해야 한다.
# 바꾸어 내었을 때 만약 둘의 모양이 같아졌다면 선을 갖고 있던 사람이 승리하게 된다. 만약 같지 않고 다르다면 2번으로 돌아가 한 쪽이 승리할 때까지 반복한다.}}
# 바꾸어 내었을 때 만약 둘의 모양이 같아졌다면 선을 갖고 있던 사람이 승리하게 된다. 만약 같지 않고 다르다면 2번으로 돌아가 한 쪽이 승리할 때까지 반복한다.}}
예를 들어 갑과 을이 처음에 가위바위보를 하여 갑이 묵, 을이 찌를 냈을 때, 갑이 선을 갖게 되며 갑이 "묵, 묵" 이라고 카운트 다운을 한 뒤 "빠" 라고 외치며 빠를 내었는데, 만약 을도 같이 빠를 내었다면 갑이 승리하게 되는 것이다. 반칙의 경우는 가위바위보에서의 경우와 동일하다. 묵찌빠는 가위바위보와 다르게 모양을 바꾸는 순간이 상대방에게 보이고 소리가 들리기 때문에 모양을 낼 때 간발의 차로 재빨리 바꾸어서 같은 모양을 피하고 우위를 점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만약 그러다가 늦게 낸 것을 상대방이 알아차리게되면 반칙이다. 묵찌빠에도 소리 없이 한다거나 카운트 다운이 없이 한다거나 하는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갑과 을이 처음에 가위바위보를 하여 갑이 묵, 을이 찌를 냈을 때, 갑이 선을 갖게 되며 갑이 "묵, 묵" 이라고 카운트 다운을 한 뒤 "빠" 라고 외치며 빠를 내었는데, 만약 을도 같이 빠를 내었다면 갑이 승리하게 되는 것이다. 반칙의 경우는 가위바위보에서의 경우와 동일하다. 묵찌빠는 가위바위보와 다르게 모양을 바꾸는 순간이 상대방에게 보이고 소리가 들리기 때문에 모양을 낼 때 간발의 차로 재빨리 바꾸어서 같은 모양을 피하고 우위를 점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만약 그러다가 늦게 낸 것을 상대방이 알아차리게되면 반칙이다. 묵찌빠에도 소리 없이 한다거나 카운트 다운이 없이 한다거나 하는 변형이 가능하다.
[[분류:놀이]]
[[분류:놀이]]

2021년 6월 19일 (토) 17:58 기준 최신판

놀이[편집 | 원본 편집]

가위바위보에서 파생된 놀이이다. 아무 도구 없이 할 수 있지만 여러사람이서 할 수는 없고 두 사람이서만 가능하다. 가위바위보와 똑같은 세 가지 모양을 사용하고 상성도 모두 똑같지만 단지 가위는 찌, 바위는 묵, 보는 빠로 이름이 바뀐다.

규칙[편집 | 원본 편집]

변형이 없는 표준 묵찌빠 기준,

  1. 먼저 가위바위보를 한다.
  2. 자신의 모양이 상대방의 것 보다 우위를 같는 사람이 선을 갖게 되며 공격권을 가진 사람이 자신이 낸 모양의 이름으로 두 번 카운트 다운을 한 뒤 양 쪽 다 모양을 바꾸어 낸다. 이 때 선을 가졌던 사람은 모양을 낼 때 자신의 모양을 말해야 한다.
  3. 바꾸어 내었을 때 만약 둘의 모양이 같아졌다면 선을 갖고 있던 사람이 승리하게 된다. 만약 같지 않고 다르다면 2번으로 돌아가 한 쪽이 승리할 때까지 반복한다.

예를 들어 갑과 을이 처음에 가위바위보를 하여 갑이 묵, 을이 찌를 냈을 때, 갑이 선을 갖게 되며 갑이 "묵, 묵" 이라고 카운트 다운을 한 뒤 "빠" 라고 외치며 빠를 내었는데, 만약 을도 같이 빠를 내었다면 갑이 승리하게 되는 것이다. 반칙의 경우는 가위바위보에서의 경우와 동일하다. 묵찌빠는 가위바위보와 다르게 모양을 바꾸는 순간이 상대방에게 보이고 소리가 들리기 때문에 모양을 낼 때 간발의 차로 재빨리 바꾸어서 같은 모양을 피하고 우위를 점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만약 그러다가 늦게 낸 것을 상대방이 알아차리게되면 반칙이다. 묵찌빠에도 소리 없이 한다거나 카운트 다운이 없이 한다거나 하는 변형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