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초희: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인물 정보 |인물이름 = 허초희 |원어이름 = 許楚姬 |배경색 = |글자색 = |그림 = 파일:Heo Nanseonheon.jpg |그림설명 = 표준영정 |본명...)
태그: 분류가 필요합니다!
 
잔글 (연도별 사망 제거 봇)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2번째 줄: 12번째 줄:
|사망일  = 1589년 3월 19일
|사망일  = 1589년 3월 19일
|사망지  = 조선 [[한성부]]
|사망지  = 조선 [[한성부]]
|국적    = {{나라|조선}}
|국적    =  
|학력    =  
|학력    =  
|직업    = 문인, 시인, 화가
|직업    = 문인, 시인, 화가
36번째 줄: 36번째 줄:
蘭雪軒名楚姬 字景樊 草堂曄之女 西堂金誠立之妻|《학산초담》}}
蘭雪軒名楚姬 字景樊 草堂曄之女 西堂金誠立之妻|《학산초담》}}


[[신사임당]], [[임윤지당]] 등처럼 허초희 못지아니하게 업적을 세우거나 뛰어난 재주를 가졌음에도 이름을 알 수 없는 여성이 많은 것을 미루어 보면 참 다행스러운 일이다. 허초희 외에 성명이 고스란히 전해지는 인물은 [[숙종 (조선)|숙종]]의 후궁 [[희빈 장씨]] 장옥정(張玉貞), [[장조 (조선)|장조]]의 후궁 [[경빈 박씨 (장조)|경빈 박씨]] 박빙애(朴氷愛), 《[[음식디미방]]》을 저술한 [[정부인 안동 장씨]] 장계향(張桂香) 등이 있다.
[[신사임당]], [[임윤지당]] 등처럼 허초희 못지아니하게 업적을 세우거나 뛰어난 재주를 가졌음에도 이름을 알 수 없는 여성이 많은 것을 미루어 보면 참 다행스러운 일이다. 허초희 외에 성명이 고스란히 전해지는 인물은 [[조선 숙종|숙종]]의 후궁 [[희빈 장씨]] 장옥정(張玉貞), [[장조 (조선)|장조]]의 후궁 [[경빈 박씨 (장조)|경빈 박씨]] 박빙애(朴氷愛), 《[[음식디미방]]》을 저술한 [[정부인 안동 장씨]] 장계향(張桂香) 등이 있다.
[[분류:강릉시 출신]]
[[분류:조선인]]

2023년 8월 26일 (토) 11:12 기준 최신판

허초희
許楚姬
Heo Nanseonheon.jpg
표준영정
인물 정보
다른이름 호: 난설헌(蘭雪軒), 난설재(蘭雪齋)
자: 경번(景樊)
허옥혜(許玉惠)
출생 1563년
조선 강원도 강릉대도호부
사망 1589년 3월 19일
조선 한성부
직업 문인, 시인, 화가
배우자 김성립
가족 허엽(부), 강릉 김씨 부인(모)

허초희(許楚姬, 1563년 - 1589년)는 조선 중기의 문인, 시인, 화가이다. 흔히 성씨에 호를 붙인 허난설헌(許蘭雪軒)으로 알려져 있다. 조선 중기를 대표하는 문인으로 시 300여 수와 여러 산문, 수필 등을 남겼다.

본명[편집 | 원본 편집]

본명은 문서 제목에서 볼 수 있듯이 초희(楚姬)이다. 조선 시대에는 성리학과 남존여비 사상으로 인하여 본관과 성씨만 기록된 여성이 대개이나 허초희는 남동생 허균이 저술한 평론집 《학산초담》에 이름이 기록되어 오늘날에 성명이 고스란히 전해질 수 있었다.

난설헌(蘭雪軒)의 이름은 초희(楚姬)이고 자는 경번(景樊)이니, 초당(草堂) 엽(曄)의 딸이며 서당(西堂) 김성립(金誠立)의 아내이다.


蘭雪軒名楚姬 字景樊 草堂曄之女 西堂金誠立之妻
— 《학산초담》

신사임당, 임윤지당 등처럼 허초희 못지아니하게 업적을 세우거나 뛰어난 재주를 가졌음에도 이름을 알 수 없는 여성이 많은 것을 미루어 보면 참 다행스러운 일이다. 허초희 외에 성명이 고스란히 전해지는 인물은 숙종의 후궁 희빈 장씨 장옥정(張玉貞), 장조의 후궁 경빈 박씨 박빙애(朴氷愛), 《음식디미방》을 저술한 정부인 안동 장씨 장계향(張桂香)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