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금복: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韓金福. 이명은 한정해(韓鼎海), 한민(韓民). 대한민국독립운동가. 2021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1898년 3월 3...)
 
잔글 (연도별 출생 제거 봇)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韓金福. 이명은 한정해(韓鼎海), 한민(韓民).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2021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韓金福. 이명은 한정해(韓鼎海), 한민(韓民).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2021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 생애 ==
1898년 3월 3일 함경북도 성진군 학서면 업억리에서 출생했다. 그의 행적은 일제 정보 기록인 '공산주의 선인의 불령음모 사건 예심 종결에 관한 건'(1923.10.5)<ref>[http://db.history.go.kr/item/level.do?setId=2&totalCount=2&itemId=haf&synonym=off&chinessChar=on&page=1&pre_page=1&brokerPagingInfo=&position=1&levelId=haf_082_0960&searchKeywordType=BI&searchKeywordMethod=EQ&searchKeyword=%ED%95%9C%EA%B8%88%EB%B3%B5&searchKeywordConjunction=AND 한국사데이터베이스]</ref>, '공산주의 선인의 불령음모 사건 판결 확정에 관한 건'(1924.2.8)<ref>[http://db.history.go.kr/item/level.do?setId=2&totalCount=2&itemId=haf&synonym=off&chinessChar=on&page=1&pre_page=1&brokerPagingInfo=&position=0&levelId=haf_053_0370&searchKeywordType=BI&searchKeywordMethod=EQ&searchKeyword=%ED%95%9C%EA%B8%88%EB%B3%B5&searchKeywordConjunction=AND 한국사데이터베이스]</ref> 이에 따르면, 그는 1923년 7월 동지 국자가(局子街)에서 동양학원의 강사 [[방한민]]이 주도하여 결성한 ‘조선혁명단’ 단원이 되었다고 한다.
1898년 3월 3일 함경북도 성진군 학서면 업억리<ref>현재 [[김책시]] 업억동으로 바뀌었다.</ref>에서 출생했다. 그의 행적은 일제 정보 기록인 '공산주의 선인의 불령음모 사건 예심 종결에 관한 건'(1923.10.5)<ref>[http://db.history.go.kr/item/level.do?setId=2&totalCount=2&itemId=haf&synonym=off&chinessChar=on&page=1&pre_page=1&brokerPagingInfo=&position=1&levelId=haf_082_0960&searchKeywordType=BI&searchKeywordMethod=EQ&searchKeyword=%ED%95%9C%EA%B8%88%EB%B3%B5&searchKeywordConjunction=AND 한국사데이터베이스]</ref>, '공산주의 선인의 불령음모 사건 판결 확정에 관한 건'(1924.2.8)<ref>[http://db.history.go.kr/item/level.do?setId=2&totalCount=2&itemId=haf&synonym=off&chinessChar=on&page=1&pre_page=1&brokerPagingInfo=&position=0&levelId=haf_053_0370&searchKeywordType=BI&searchKeywordMethod=EQ&searchKeyword=%ED%95%9C%EA%B8%88%EB%B3%B5&searchKeywordConjunction=AND 한국사데이터베이스]</ref> 이에 따르면, 그는 1923년 7월 동지 국자가(局子街)에서 동양학원의 강사 [[방한민]]이 주도하여 결성한 ‘조선혁명단’ 단원이 되었다고 한다.


그는 1928년 8월 국자가 두도구(頭道溝)에서 개최될 예정이던 천도경편철도(天圖輕便鐵道) 개통식에 즈음하여 일본 영사관 및 공관에 폭탄 투척, 주요 관원 암살 및 신사상 선전삐라 살포 등을 계획했다. 그러나 이 계획이 탄로나면서 체포되었고, 1924년 2월 8일 법원에서 징역 4개월을 선고받았다. 이후의 행적은 기록이 미비해 알 수 없다.
그는 1928년 8월 국자가 두도구(頭道溝)에서 개최될 예정이던 천도경편철도(天圖輕便鐵道) 개통식에 즈음하여 일본 영사관 및 공관에 폭탄 투척, 주요 관원 암살 및 신사상 선전삐라 살포 등을 계획했다. 그러나 이 계획이 탄로나면서 체포되었고, 1924년 2월 8일 법원에서 징역 4개월을 선고받았다. 이후의 행적은 기록이 미비해 알 수 없다.
14번째 줄: 14번째 줄:
[[분류: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분류: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분류:건국훈장 애족장 수훈자]]
[[분류:건국훈장 애족장 수훈자]]
[[분류:성진시 출신]]
[[분류:김책시 출신]]
[[분류:1898년 출생]]

2023년 8월 24일 (목) 23:42 기준 최신판

韓金福. 이명은 한정해(韓鼎海), 한민(韓民). 대한민국독립운동가. 2021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생애[편집 | 원본 편집]

1898년 3월 3일 함경북도 성진군 학서면 업억리[1]에서 출생했다. 그의 행적은 일제 정보 기록인 '공산주의 선인의 불령음모 사건 예심 종결에 관한 건'(1923.10.5)[2], '공산주의 선인의 불령음모 사건 판결 확정에 관한 건'(1924.2.8)[3] 이에 따르면, 그는 1923년 7월 동지 국자가(局子街)에서 동양학원의 강사 방한민이 주도하여 결성한 ‘조선혁명단’ 단원이 되었다고 한다.

그는 1928년 8월 국자가 두도구(頭道溝)에서 개최될 예정이던 천도경편철도(天圖輕便鐵道) 개통식에 즈음하여 일본 영사관 및 공관에 폭탄 투척, 주요 관원 암살 및 신사상 선전삐라 살포 등을 계획했다. 그러나 이 계획이 탄로나면서 체포되었고, 1924년 2월 8일 법원에서 징역 4개월을 선고받았다. 이후의 행적은 기록이 미비해 알 수 없다.

대한민국 정부는 2021년 한금복에게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했다.

외부 링크[편집 | 원본 편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