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심의위원회: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단체 정보
{{단체 정보
| 이름          = 방송통신심의위원회 <br/> Korea Communications Standards Commission
|단체이름 = 방송통신심의위원회
| 그림          =
|원어이름 =  
| 크기          =  
|로고    =  
| 설명          =  
|그림     =  
| 지도 그림     =
|그림설명 =  
| 지도 그림 설명 =
|표어     =  
| 약칭          =  
|종류    =  
| 표어           =  
|목적     = 방송 및 통신매체에 대한 심의
| 결성          = 2008년 2월
|창립자  =  
| 해산          =
|창립일  = 2008년 2월
| 유형          =
|해산일  =  
| 이념          =
|본부    =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동로 233
| 형태          =  
|인물    = 류희림(위원장)
| 목적           = 방송 및 통신매체에 대한 심의
|모단체  =  
| 본부          =  
|산하단체 =  
| 위치          =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동로 233
|웹사이트 = https://kocsc.or.kr
| 활동지역      = [[대한민국]]
|비고    =  
| 회원          =
| 언어          = [[한국어]]
| 수장명칭      =
| 초대수장      = 박명진
| 설립자        =
| 현재수장      = 정연주
| 수장명칭1      =
| 초대수장1      =
| 현재수장1      =
| 주요기관      =
| 모기관        =
| 제휴기관      =
| 활동 인원      = 9명(심의위원<ref>위원장, 부위원장, 상임위원, 위원을 합친 숫자.</ref>)
| 예산          =  
| 웹사이트       = http://kocsc.or.kr
| 기타사항      =  
}}
}}


43번째 줄: 27번째 줄:


== 업무 ==
== 업무 ==
* 방송심의소위원회(위원회장 이광복)
* 방송심의소위원회(위원회장 류희림)
*: 지상파, 종합유선 등 방송법을 준수해야 하는 컨텐츠들을 관리하며, 부적절한 경우 시정조치, 권고, 경고 등을 발송한다.
*: 지상파, 종합유선 등 방송법을 준수해야 하는 컨텐츠들을 관리하며, 부적절한 경우 시정조치, 권고, 경고 등을 발송한다.
* 통신심의소위원회(위원회장 황성욱)
* 통신심의소위원회(위원회장 황성욱)
*: 인터넷 등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을 준수해야 하는 컨텐츠들을 관리하며, [[워닝]]이 바로 이곳의 소관이다.
*: 인터넷 등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을 준수해야 하는 컨텐츠들을 관리하며, [[워닝]]이 바로 이곳의 소관이다.
* 광고심의소위원회(위원회장 정연주)
* 광고심의소위원회(위원회장 공석)
*: 2019년 9월 방송심의소위원회에서 분리 신설되었으며, 상품판매방송과 방송광고, 방송프로그램 내 간접광고와 가상광고에 대한 심의를 이관받았다.
*: 2019년 9월 방송심의소위원회에서 분리 신설되었으며, 상품판매방송과 방송광고, 방송프로그램 내 간접광고와 가상광고에 대한 심의를 이관받았다.
* 디지털성범죄심의소위원회(위원회장 김유진)
* 디지털성범죄심의소위원회(위원회장 윤성옥)
*: 2019년 9월 신설되었으며 디지털성범죄정보에 대한 심의를 전담하는 소위원회다.
*: 2019년 9월 신설되었으며 디지털성범죄정보에 대한 심의를 전담하는 소위원회다.


==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위원 목록(2021.08.19 기준) ==
==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위원 목록(2023.11.16 기준) ==
* 위원장 정연주<ref>광고심의소위원회 위원장을 겸한다.</ref>
* 위원장 류희림
* 부위원장 이광복<ref>방송심의소위원회 위원장을 겸한다.</ref>
* 부위원장 공석
* 상임위원 황성욱<ref>통신심의소위원회 위원장을 겸한다.</ref>
* 상임위원 황성욱
* 위원 옥시찬
* 위원 옥시찬
* 위원 이상휘
* 위원 허연회
* 위원 김우석
* 위원 김우석
* 위원 윤성옥
* 위원 윤성옥
* 위원 김유진<ref>디지털성범죄심의소위원회 위원장을 겸한다.</ref>
* 위원 김유진
* 위원 정민영
* 위원 공석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2023년 11월 16일 (목) 15:39 기준 최신판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단체 정보
목적 방송 및 통신매체에 대한 심의
창립 2008년 2월
본부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동로 233
핵심인물 류희림(위원장)
웹사이트 https://kocsc.or.kr

방송통신심의위원회(放送通信審議委員會)는 대한민국의 방송·통신을 심의하는 기구로, 방송의 공공성 및 정보통신의 건전한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방송통신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의해 설립된 독립기구다.

구성[편집 | 원본 편집]

대통령이 위촉한 9인의 심의위원으로 구성된 위원회 본체와 4개 소위원회 및 5개 특별위원회[1]를 두고 있으며, 실질적인 사무는 사무처 산하의 3국 3실에서 담당한다.

9인의 심의위원은 행정부 및 입법부에서 지명하는데, 위원장, 부위원장 및 상임위원 1명은 심의위원회에서 호선하며, 나머지 위원 6명 중 3명은 국회의장이 국회 각 교섭단체 대표의원과 협의하여 추천한 자를 위촉하며, 남은 3명은 국회 소관 상임위원회에서 추천한 자를 위촉한다.

업무[편집 | 원본 편집]

  • 방송심의소위원회(위원회장 류희림)
    지상파, 종합유선 등 방송법을 준수해야 하는 컨텐츠들을 관리하며, 부적절한 경우 시정조치, 권고, 경고 등을 발송한다.
  • 통신심의소위원회(위원회장 황성욱)
    인터넷 등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을 준수해야 하는 컨텐츠들을 관리하며, 워닝이 바로 이곳의 소관이다.
  • 광고심의소위원회(위원회장 공석)
    2019년 9월 방송심의소위원회에서 분리 신설되었으며, 상품판매방송과 방송광고, 방송프로그램 내 간접광고와 가상광고에 대한 심의를 이관받았다.
  • 디지털성범죄심의소위원회(위원회장 윤성옥)
    2019년 9월 신설되었으며 디지털성범죄정보에 대한 심의를 전담하는 소위원회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위원 목록(2023.11.16 기준)[편집 | 원본 편집]

  • 위원장 류희림
  • 부위원장 공석
  • 상임위원 황성욱
  • 위원 옥시찬
  • 위원 허연회
  • 위원 김우석
  • 위원 윤성옥
  • 위원 김유진
  • 위원 공석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방송자문특별위원회, 광고자문특별위원회, 방송언어특별위원회, 통신자문특별위원회, 권익보호특별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