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4432: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 개요 == 도선여객 소속의 서울특별시 지선버스이다. <<운행 구간>> <<개포중학교-도곡역-한티역-뱅뱅사거리-양재역-양재꽃시장-...)
 
편집 요약 없음
태그: 조건 제한 도달
 
(사용자 7명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개요 ==
== 개요 ==
[[도선여객]] 소속의 서울특별시 지선버스이다.
[[도선여객]] 소속의 서울특별시 지선버스이다.
<<운행 구간>>
<<운행 구간>>
<<개포중학교-[[도곡역]]-[[한티역]]-뱅뱅사거리-양재역-양재꽃시장-코트라-[[청계산입구역]]-옛골(회차)
 
<<
개포중학교-[[도곡역]]-[[한티역]]-뱅뱅사거리-[[양재역]]-양재꽃시장-코트라-[[청계산입구역]]-옛골(회차)
<<7분 간격, 첫차 04:20, 막차 23:20
 
7분 간격, 첫차시간 04:20, 막차시간 23:20


== 특징 ==
== 특징 ==
이 노선은 꽃마을~옛골 구간, '''즉 노선의 ⅓이상이 독점구간이다.''' 따라서 이 구간의 수요는 그대로 먹고 있다. 내곡동 개발이 완료되면 더욱 수요가 늘어날 듯.
이 노선은 꽃마을~옛골 구간, '''즉 노선의 ⅓이상이 독점구간이다.''' 따라서 이 구간의 수요는 그대로 먹고 있다. 내곡동 개발이 완료되면 더욱 수요가 늘어날 듯.
또 개포중-도곡역 구간은 472의 미어터지는 수요를 적절히 분산해 주고 있다.  
또 개포중-도곡역 구간은 472의 미어터지는 수요를 적절히 분산해 주고 있다.


== 역사 ==
== 역사 ==
동사의 8442가 폐선되면서 4대 증차되었다.
예전에는 4312의 하위호환 노선이었는데, 4312의 양재역-청계산 구간이 단축되어서 하위호환 노선은 아니다. 또 비슷한 노선으로 8441과 8442가 있었는데, 둘 다 폐선되었다. 이로써 이 노선에 4대 증차되었다.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분류:서울특별시 지선버스|4432]]

2023년 4월 2일 (일) 10:24 기준 최신판

개요[편집 | 원본 편집]

도선여객 소속의 서울특별시 지선버스이다.

<<운행 구간>>

개포중학교-도곡역-한티역-뱅뱅사거리-양재역-양재꽃시장-코트라-청계산입구역-옛골(회차)

7분 간격, 첫차시간 04:20, 막차시간 23:20

특징[편집 | 원본 편집]

이 노선은 꽃마을~옛골 구간, 즉 노선의 ⅓이상이 독점구간이다. 따라서 이 구간의 수요는 그대로 먹고 있다. 내곡동 개발이 완료되면 더욱 수요가 늘어날 듯. 또 개포중-도곡역 구간은 472의 미어터지는 수요를 적절히 분산해 주고 있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예전에는 4312의 하위호환 노선이었는데, 4312의 양재역-청계산 구간이 단축되어서 하위호환 노선은 아니다. 또 비슷한 노선으로 8441과 8442가 있었는데, 둘 다 폐선되었다. 이로써 이 노선에 4대 증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