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알파벳}} +{{로마자}}))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알파벳}}
{{로마자}}
<br />
<br />
알파벳의 26번째 마지막 글자이다. 처음 글자는 A이다. '''Z'''  이렇게 생겼다. 발음은 한국에선 '''제트'''(Zet)라고 읽는데, 원래 로마자인 '''제타'''(Zetta)에서 유래되었기 때문에 미국 영어 외에는 거의 '''제드''' 비슷하게 발음한다. 프랑스어에서는 제드(zède), 이탈리아어에선 제타(zeta), 네덜란드어에선 제트(zet)라고 읽는다. [[X]] 정도는 아니지만 비슷하게 쓰이는 곳이 거의 없는 글자다.
알파벳의 26번째 마지막 글자이다. 처음 글자는 A이다. '''Z'''  이렇게 생겼다. 발음은 한국에선 '''지'''(Zi:) 또는 '''제트'''(Zet)라고 읽는데, 원래 로마자인 '''제타'''(Zetta)에서 유래되었기 때문에 미국 영어 외에는 거의 '''제드''' 비슷하게 발음한다. 프랑스어에서는 제드(zède), 이탈리아어에선 제타(zeta), 네덜란드어에선 제트(zet)라고 읽는다. [[X]] 정도는 아니지만 비슷하게 쓰이는 곳이 거의 없는 글자다.


발음은 [[유성 치경 마찰음]]으로 분류되는 발음인데, 현대 한국어에는 없는 발음이다.<ref>다만 중세 한국어의 [[ㅿ]]가 이 발음이었을 것이라고 추측하기도 한다.</ref> 언어권에 따라서는 /s/발음이나 /tʃ/발음을 내기도 한다.
발음은 [[유성 치경 마찰음]]으로 분류되는 발음인데, 현대 한국어에는 없는 발음이다.<ref>다만 중세 한국어의 [[ㅿ]]가 이 발음이었을 것이라고 추측하기도 한다.</ref> 언어권에 따라서는 /s/발음이나 /tʃ/발음을 내기도 한다.


== 트리비아 ==
== 트리비아 ==
* 영어에서 "(from) A to Z (에이 투 제트, 아토즈/에이토즈)"는 '그 모든 것'을 가리키는 관용구로도 쓰인다. 그리스어의 [[오메가|Ω]]와 같은 역할.
* 영어에서 "(from) A to Z (에이 투 지[제트], 아토즈/에이토즈)"는 '그 모든 것'을 가리키는 관용구로도 쓰인다. 그리스어의 [[오메가|Ω]]와 같은 역할.
** 위와 같은 이유로, 다른 의미에서 최고를 뜻하는 'A'와는 사뭇 다르게, Z는 최종형태나 [[궁극]] 그 자체를 상징하기도 한다.
** 위와 같은 이유로, 다른 의미에서 최고를 뜻하는 'A'와는 사뭇 다르게, Z는 최종형태나 [[궁극]] 그 자체를 상징하기도 한다.
* 수학에서 Z(z)는, X(x)와 Y(y) 다음으로 쓰이는 세번째 [[미지수]]를 가리킨다.
* 수학에서 Z(z)는, X(x)와 Y(y) 다음으로 쓰이는 세번째 [[미지수]]를 가리킨다.
** 이러한 사용법으로 인해, 그냥 관용 표현으로 '''세번째(3rd)의 것'''을 가리키기도 한다. 예를 들어 X와 Y, 그리고 Z..., 라는 식으로도 스이고, 또는 제 3의 인물 혹은 제 3자 격인 주인공 정도를 가리키기도 한다. (ex : 의문의 Z가 나타났다. <s>괴도 Z</s>)
** 이러한 사용법으로 인해, 그냥 관용 표현으로 '''세번째(3rd)의 것'''을 가리키기도 한다. 예를 들어 X와 Y, 그리고 Z..., 라는 식으로도 스이고, 또는 제 3의 인물 혹은 제 3자 격인 주인공 정도를 가리키기도 한다. (ex : 의문의 Z가 나타났다. <s>괴도 Z</s>)
** 위와 같은 이유로, 여성(X)도 아니고 남성(Y)도 아닌, [[제3의 성]](Z)을 상징하기도 한다.
** 위와 같은 이유로, 여성(X)도 아니고 남성(Y)도 아닌, [[제3의 성]](Z)을 상징하기도 한다.
** 위와 같은 이유로, [[좌표공간]]에서 3번째 축을 가리킬 때 쓰이며, [[3차원]]을 상징하기도 한다. 참고로 4번째 축(4차원)은 a보다 [[w]]를 주로 쓰는 편이다.
* 약간 부드럽게 휘어지는 'S(-자 모양/커브)'보다, 좀 더 각진 모양, 혹은 급한 꺾임을 가리키는 표현으로 'Z(-자 모양/커브)'가 쓰인다. 만일 차량도로가 이 모양으로 나있으면 운전 난이도가 폭풍상승.
* 약간 부드럽게 휘어지는 'S(-자 모양/커브)'보다, 좀 더 각진 모양, 혹은 급한 꺾임을 가리키는 표현으로 'Z(-자 모양/커브)'가 쓰인다. 만일 차량도로가 이 모양으로 나있으면 운전 난이도가 폭풍상승.



2022년 8월 28일 (일) 16:22 기준 최신판

라틴 문자 RomanA-01.svg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알파벳의 26번째 마지막 글자이다. 처음 글자는 A이다. Z 이렇게 생겼다. 발음은 한국에선 (Zi:) 또는 제트(Zet)라고 읽는데, 원래 로마자인 제타(Zetta)에서 유래되었기 때문에 미국 영어 외에는 거의 제드 비슷하게 발음한다. 프랑스어에서는 제드(zède), 이탈리아어에선 제타(zeta), 네덜란드어에선 제트(zet)라고 읽는다. X 정도는 아니지만 비슷하게 쓰이는 곳이 거의 없는 글자다.

발음은 유성 치경 마찰음으로 분류되는 발음인데, 현대 한국어에는 없는 발음이다.[1] 언어권에 따라서는 /s/발음이나 /tʃ/발음을 내기도 한다.

트리비아[편집 | 원본 편집]

  • 영어에서 "(from) A to Z (에이 투 지[제트], 아토즈/에이토즈)"는 '그 모든 것'을 가리키는 관용구로도 쓰인다. 그리스어의 Ω와 같은 역할.
    • 위와 같은 이유로, 다른 의미에서 최고를 뜻하는 'A'와는 사뭇 다르게, Z는 최종형태나 궁극 그 자체를 상징하기도 한다.
  • 수학에서 Z(z)는, X(x)와 Y(y) 다음으로 쓰이는 세번째 미지수를 가리킨다.
    • 이러한 사용법으로 인해, 그냥 관용 표현으로 세번째(3rd)의 것을 가리키기도 한다. 예를 들어 X와 Y, 그리고 Z..., 라는 식으로도 스이고, 또는 제 3의 인물 혹은 제 3자 격인 주인공 정도를 가리키기도 한다. (ex : 의문의 Z가 나타났다. 괴도 Z)
    • 위와 같은 이유로, 여성(X)도 아니고 남성(Y)도 아닌, 제3의 성(Z)을 상징하기도 한다.
    • 위와 같은 이유로, 좌표공간에서 3번째 축을 가리킬 때 쓰이며, 3차원을 상징하기도 한다. 참고로 4번째 축(4차원)은 a보다 w를 주로 쓰는 편이다.
  • 약간 부드럽게 휘어지는 'S(-자 모양/커브)'보다, 좀 더 각진 모양, 혹은 급한 꺾임을 가리키는 표현으로 'Z(-자 모양/커브)'가 쓰인다. 만일 차량도로가 이 모양으로 나있으면 운전 난이도가 폭풍상승.

각주

  1. 다만 중세 한국어의 가 이 발음이었을 것이라고 추측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