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산은 내 뜻이오: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br|Br|BR|bR) *> +<br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본문==
==본문==
{{인용문2|청산(靑山)은 내 뜻이오<br>
{{인용문2|청산(靑山)은 내 뜻이오<br />
청산(靑山)은 내 뜻이오 녹수(綠水)는 님의 정이<br>
청산(靑山)은 내 뜻이오 녹수(綠水)는 님의 정이<br />


녹수 흘러간들 청산이야 변(變)하겠는가<br>
녹수 흘러간들 청산이야 변(變)하겠는가<br />


녹수도 청산을 못 잊어 울면서 가는고<br>|황진이}}
녹수도 청산을 못 잊어 울면서 가는고<br />|황진이}}


==해설==
==해설==
13번째 줄: 13번째 줄:


===초장===
===초장===
청산(靑山)은 사랑하는 임에 대한 화자의 변함없는 마음을 의미하고, 녹수(綠水)는 님의 변화무쌍한 마음을 의미한다. 청산을 사람에 마음에 비유한 [[은유법]]이 사용되었으며, 청산부분과 녹수부분의 내용과 느낌이 비슷한 것을 통해 [[대구법]]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청산(靑山)은 사랑하는 임에 대한 화자의 변함없는 마음을 의미하고, 녹수(綠水)는 님의 변화무쌍한 마음을 의미한다. 청산을 사람에 마음에 비유한 [[은유법]]이 사용되었으며, 청산부분과 녹수부분의 내용과 느낌이 비슷한 것을 통해 [[대구법]]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중장===
===중장===
22번째 줄: 22번째 줄:


[[분류:시조]]
[[분류:시조]]
[[분류:16세기]]

2021년 7월 14일 (수) 18:39 기준 최신판

청산은 내 뜻이오는 조선시대의 유명한 기생인 황진이가 지은 시조이다.

본문[편집 | 원본 편집]

청산(靑山)은 내 뜻이오
청산(靑山)은 내 뜻이오 녹수(綠水)는 님의 정이

녹수 흘러간들 청산이야 변(變)하겠는가

녹수도 청산을 못 잊어 울면서 가는고
— 황진이

해설[편집 | 원본 편집]

청산은 내 뜻이오는 본문의 내용에서 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사랑하는 임을 향한 변함없는 사랑을 노래하는 시조이다.

초장[편집 | 원본 편집]

청산(靑山)은 사랑하는 임에 대한 화자의 변함없는 마음을 의미하고, 녹수(綠水)는 님의 변화무쌍한 마음을 의미한다. 청산을 사람에 마음에 비유한 은유법이 사용되었으며, 청산부분과 녹수부분의 내용과 느낌이 비슷한 것을 통해 대구법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중장[편집 | 원본 편집]

초장의 내용을 이용해서 중장을 읽어 보면, 님의 마음이 변해도 님을 향한 나의 마음은 변하지 않습니다. 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중장의 "변(變)하겠는가"라는 부분은 설의법이 사용되었다. 서로 대조되는 녹수와 청산을 이용한 대조법 또한 사용되었다.

종장[편집 | 원본 편집]

종장에서는 사랑하는 임도 자신을 잊지 않기는 바라는 화자의 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