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

개요[편집 | 원본 편집]

고려 중기나 말기에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우리나라의 전통 시의 한 종류로 일종의 정형시이다. 시조새와는 관계없다.

시조의 형식[편집 | 원본 편집]

일반적으로 시조는 3장 6구, 12음보, 45자 내외를 한 소절로 본다. 장이라고 하는 것은 시조의 한 줄을 의미하며, 맨 첫줄을 초장, 둘째줄을 중장, 마지막 줄을 종장이라고 한다. 구는 하나의 장을 둘로 나누는 것으로 두 단어씩 묶어서 가운데를 끊어주면 얼추 맞아떨어진다(우리말 특유의 단어 구분절이 기준점이 된다) 음보는 하나의 단어, 혹은 띄어쓰기(끊어읽기-조선시대에는 띄어쓰기가 없었으므로)가 되며, 보통 한 음보가 3~5자, 한 구는 7~8자로 구성되기 때문에 전체 글자 숫자는 많아야 50자를 넘지 않게 된다.

시조에서 가장 중요한 것으로 종장의 첫 음보는 무조건 세 글자라는 불변의 규칙이 있다.

하지만 이 외에도 종장에 대해 잘 안 알려진 규칙들이 있는데 종장의 둘째 음보는 5자 이상이어야 하며[1], 세 번째 음보를 읽을 때 운율이 가장 높아지도록 한다.

물론 이는 정형화된 평시조에 해당하는 것으로, 사설시조나 엇시조가 되면 위의 틀에서 벗어나는 일종의 예외상황이 발생한다.

한번 뜯어보자[편집 | 원본 편집]

이 몸이 죽고죽어 일백번 고쳐죽어

백골이 진토되어 넋이라도 있고없고

임 향한 일편단심이야 가실줄이 있으랴
정몽주 단심가
  • 초장 : 이 몸이 / 죽고죽어 // 일백번 / 고쳐죽어
  • 중장 : 백골이 / 진토되어 // 넋이라도 /있고없고
  • 종장 : 임 향한/ 일편단심이야 // 가실줄이 / 있으랴

전체적인 운율을 따지면 3.4.3.4 / 3.4.4.4 / 3.5.4.3이 되며 총 글자 숫자는 44자가 된다. 그리고 종장의 첫 음보는 "임 향한"이라는 것으로 3글자를 맞추게 되는 것. '일편단심이야'에서 5글자 이상, '가실줄이'에서 운율이 가장 고조된다.

형식에 따른 분류[편집 | 원본 편집]

  • 평시조
  • 연시조
  • 사설시조
  • 엇시조

시조집[편집 | 원본 편집]

  • 청구영언
  • 해동가요

시조 목록[편집 | 원본 편집]

원래 시조는 현대에 지어진 경우가 아닌 다음에는 따로 제목을 붙이지 않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하지만, 워낙 유명해져 이름이 붙은 경우가 있는데 여기는 그런 시조의 목록을 기재한다.


각주

  1. 너무 길어지면 운율이 깨어지기 때문에 보통은 7자까지, 억지를 부려도 9자까지만 허용된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