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대신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자동 찾아 바꾸기: 「철도 노선색|B|1」(을)를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으)로)
(자동 찾아 바꾸기: 「철도 노선색|B|1」(을)를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으)로)
3번째 줄: 3번째 줄:
{{철도역 정보
{{철도역 정보
|역명 = 서대신
|역명 = 서대신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TC}}
|배경색 = {{대한민국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부산|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대한민국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부산|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TC}}
|글자색 = white
|글자색 = white
|관할 = [[부산교통공사]]
|관할 = [[부산교통공사]]
9번째 줄: 9번째 줄:
|소재지 =  
|소재지 =  


|노선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 = [[부산 도시철도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호선]]
|노선대한민국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부산|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 = [[부산 도시철도 대한민국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부산|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호선]]
|역번호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07
|역번호 = 대한민국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부산|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07
|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
|배경색대한민국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부산|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 = {{대한민국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부산|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대한민국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부산|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대한민국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부산|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
|글자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 = white
|글자색대한민국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부산|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 = white
|전방면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 = [[신평역|신 평]]
|전방면대한민국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부산|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 = [[신평역|신 평]]
|전역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 = [[대티역|대 티]]
|전역대한민국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부산|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 = [[대티역|대 티]]
|전거리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4
|전거리대한민국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부산|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 = 대한민국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부산|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4
|전역번호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06
|전역번호대한민국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부산|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 = 대한민국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부산|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06
|후방면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 = [[노포역|노포]]
|후방면대한민국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부산|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 = [[노포역|노포]]
|후역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 = [[동대신역|동대신]]
|후역대한민국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부산|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 = [[동대신역|동대신]]
|후거리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 = 0.7
|후거리대한민국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부산|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 = 0.7
|후역번호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08
|후역번호대한민국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부산|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 = 대한민국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부산|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08
}}
}}


== 개요 ==
== 개요 ==
[[부산광역시]] [[서구]] [[대영로]] 지하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舊 [[서대신동2가]] 338번지)에 위치한 지하역이다.
[[부산광역시]] [[서구]] [[대영로]] 지하 대한민국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부산|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舊 [[서대신동2가]] 338번지)에 위치한 지하역이다.


이름은 서대신동에서 따왔다.
이름은 서대신동에서 따왔다.


== 역사 ==
== 역사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990년]] [[2월 28일]] : 부산 도시철도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호선 개통과 함께 서대신동역(西大新洞驛)으로 영업 개시<br>
[[대한민국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부산|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990년]] [[2월 28일]] : 부산 도시철도 대한민국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부산|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호선 개통과 함께 서대신동역(西大新洞驛)으로 영업 개시<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994년]] [[6월 23일]] : 신평역까지 연장 개통과 함께 중간역으로 전환<br>
[[대한민국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부산|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994년]] [[6월 23일]] : 신평역까지 연장 개통과 함께 중간역으로 전환<br>
[[20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0년]] [[2월 24일]] : 서대신역(西大新驛)으로 역명 변경
[[20대한민국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부산|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0년]] [[2월 24일]] : 서대신역(西大新驛)으로 역명 변경


== 특징 ==
== 특징 ==
부산 도시철도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호선에서는 보기 힘든 섬식 승강장을 채택하고 있다.
부산 도시철도 대한민국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부산|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호선에서는 보기 힘든 섬식 승강장을 채택하고 있다.


동대신~서대신 구간은 악명 높은 드리프트 구간이며, 주택가 지역 아래를 지나가기 때문에 열차가 시속 20km/h로 서행한다. 이 구간은 전국의 도시철도 노선 중에서 속도가 가장 느린 구간이다.  
동대신~서대신 구간은 악명 높은 드리프트 구간이며, 주택가 지역 아래를 지나가기 때문에 열차가 시속 20km/h로 서행한다. 이 구간은 전국의 도시철도 노선 중에서 속도가 가장 느린 구간이다.  


서대신역은 부산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호선의 역들 중에서 가장 이용객이 적은 역이다. 하지만 이건 부산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호선이 워낙 부산의 요충지만 지나가는 황금노선이라, 상대적으로 적다는 것이다.
서대신역은 부산 대한민국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부산|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호선의 역들 중에서 가장 이용객이 적은 역이다. 하지만 이건 부산 대한민국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부산|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호선이 워낙 부산의 요충지만 지나가는 황금노선이라, 상대적으로 적다는 것이다.


서대신역 주위로는 주택가가 밀집해 있으며, [[부경고등학교]]와 [[구덕공설운동장]]이 근처에 있다. 이처럼 역세권이 나쁘지 않음에도 이용객수가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호선 중에서 가장 적은 것은 직선거리로 불과 500m 떨어져 있는 [[동대신역]]과 이용객수를 나눠먹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있다.
서대신역 주위로는 주택가가 밀집해 있으며, [[부경고등학교]]와 [[구덕공설운동장]]이 근처에 있다. 이처럼 역세권이 나쁘지 않음에도 이용객수가 대한민국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부산|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호선 중에서 가장 적은 것은 직선거리로 불과 500m 떨어져 있는 [[동대신역]]과 이용객수를 나눠먹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있다.




46번째 줄: 46번째 줄:
{{퍼온문서|||일부}}
{{퍼온문서|||일부}}


[[분류:부산 도시철도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호선]]
[[분류:부산 도시철도 대한민국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부산|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호선]]
[[분류:부산 서구의 철도역]]
[[분류:부산 서구의 철도역]]
[[분류:전철역]]
[[분류:전철역]]

2019년 11월 15일 (금) 08:22 판

西大新驛 / Seodaesin Station

본 틀은 {{새 철도역 정보}}로 교체중입니다. 자세한 것은 템플릿 문서를 참고하세요.


운영주체 부산교통공사

개요

부산광역시 서구 대영로 지하 대한민국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부산|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舊 서대신동2가 338번지)에 위치한 지하역이다.

이름은 서대신동에서 따왔다.

역사

부산|1|부산|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990년 2월 28일 : 부산 도시철도 대한민국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부산|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호선 개통과 함께 서대신동역(西大新洞驛)으로 영업 개시
부산|1|부산|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994년 6월 23일 : 신평역까지 연장 개통과 함께 중간역으로 전환
부산|1|부산|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0년 2월 24일 : 서대신역(西大新驛)으로 역명 변경

특징

부산 도시철도 대한민국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부산|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호선에서는 보기 힘든 섬식 승강장을 채택하고 있다.

동대신~서대신 구간은 악명 높은 드리프트 구간이며, 주택가 지역 아래를 지나가기 때문에 열차가 시속 20km/h로 서행한다. 이 구간은 전국의 도시철도 노선 중에서 속도가 가장 느린 구간이다.

서대신역은 부산 대한민국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부산|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호선의 역들 중에서 가장 이용객이 적은 역이다. 하지만 이건 부산 대한민국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부산|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호선이 워낙 부산의 요충지만 지나가는 황금노선이라, 상대적으로 적다는 것이다.

서대신역 주위로는 주택가가 밀집해 있으며, 부경고등학교구덕공설운동장이 근처에 있다. 이처럼 역세권이 나쁘지 않음에도 이용객수가 대한민국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부산|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1호선 중에서 가장 적은 것은 직선거리로 불과 500m 떨어져 있는 동대신역과 이용객수를 나눠먹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있다.


각주

매개변수가 누락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