켈트 신화: 두 판 사이의 차이

10번째 줄: 10번째 줄: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 다케루베 노부아키. 《켈트·북구의 신들》. 박수정 (역). 도서출판 들녘. 2000년 (초판 1쇄). ISBN 978-89-75271-72-4
* 모리세 료. 《게임, 만화, 소설 등 작품 창작을 위해 꼭 알아두어야 할 켈트 신화 사전》. 김훈 (역). 비즈앤비즈. 2014년. ISBN 978-89-97716-54-8
* 이케가미 료타. 《도해 켈트 신화》. [[곽형준]] (역). AK 커뮤니케이션즈. 2014년. ISBN 978-89-64077-69-6
* 찰스 스콰이어. 《켈트 신화와 전설》. 나영균·전수용 (역). 황소자리 출판사. 2009년 (초판 1쇄). ISBN 978-89-91508-56-9
* 찰스 스콰이어. 《켈트 신화와 전설》. 나영균·전수용 (역). 황소자리 출판사. 2009년 (초판 1쇄). ISBN 978-89-91508-56-9
* 다케루베 노부아키. 《켈트·북구의 신들》. 박수정 (역). 도서출판 들녘. 2000 (초판 1쇄). ISBN 978-89-75271-72-4


== 외부 참조 ==
== 외부 참조 ==

2016년 11월 11일 (금) 19:33 판

틀:토막글 켈트 신화는 고대 켈트족이 신앙하던 신화 체계를 통틀어서 가리키는 말이다.

사실 켈트족이라고 해도 부족별로 신앙에 차이가 있었다. '켈트 신화'라고 뭉뚱그려 말하지만 부족이 사는 지역에 따라, 또 신화를 기록한 언어에 따라 켈트 신화도 몇 가지로 세분화된다. 다만 켈트족이 원체 문헌 기록을 남기지 않는 민족에다가 로마 제국이 팽창하면서 밀려나가는 바람에 알 수 없는 점이 많다. 특히 갈리아로 대표되는 대륙의 켈트 신화는 로마 측 기록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현대에 들어서 '켈트 신화'라고 하면 거의 에린 지방의 신화, 요컨대 아일랜드 신화를 가리킨다. 게일어로 기록된 아일랜드 신화는 그나마 자료가 많기 때문.

참고 문헌

  • 다케루베 노부아키. 《켈트·북구의 신들》. 박수정 (역). 도서출판 들녘. 2000년 (초판 1쇄). ISBN 978-89-75271-72-4
  • 모리세 료. 《게임, 만화, 소설 등 작품 창작을 위해 꼭 알아두어야 할 켈트 신화 사전》. 김훈 (역). 비즈앤비즈. 2014년. ISBN 978-89-97716-54-8
  • 이케가미 료타. 《도해 켈트 신화》. 곽형준 (역). AK 커뮤니케이션즈. 2014년. ISBN 978-89-64077-69-6
  • 찰스 스콰이어. 《켈트 신화와 전설》. 나영균·전수용 (역). 황소자리 출판사. 2009년 (초판 1쇄). ISBN 978-89-91508-56-9

외부 참조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