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IS: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 (207.244.86.206(토론)의 편집을 Mykim5902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Echiura in Korea1.jpg]]
'''개불'''(학명: ''Urechis unicinctus''; 영어 : fat innkeeper worm or penis fish)은 [[환형동물]]문<ref>[[지렁이]], [[거머리]]랑 문(Phylum)이 동일하다.</ref>[[의충동물]]류에 속하는 개불과 개불속의 생물을 통칭하는 말이다.
== 생김새 ==
몸길이가 10-30㎝ 정도이고 소시지 모양의 원통형에 가까우며 황갈색을 띤다. 다만 소시지처럼 매끈하지는 않고 굵기가 들쭉날쭉하다.
얼핏 보면 전혀 동물 같이 생기지 않았으나 자세히 보면 입과 항문이 몸 양 끝에 있는 엄연한 동물이다. 겉면에는  젖꼭지 모양의 작은 돌기가 많이 있어서 이걸로 몸을 움직인다. 입의 앞쪽에 오므렸다 늘였다 할 수 있는 납작한 주둥이가 있는데, 이 주둥이 속에 뇌가 있다. 다른 환형동물이나 의충동물이 그렇듯 이 동물도 눈이 발달되어 있지 않다.
== 습성 ==
바다 밑의 모래 속에 U자 모양의 관을 파고 살고, 암수딴몸으로 암컷과 수컷은 각각 알과 정자를 만들어 체외수정을 한다. 알은 트로코포라유생을 거쳐 성체가 된다.
한국, 일본, 중국 등의 연안에 분포한다.
== 용도 ==
한국애서는 생으로 회 형태로 식용으로 먹는 경우가 많다. 모듬회를 먹을 때 길쭉하게 생긴 황갈색 벌레 모양의 횟감이 바로 개불인데, 특이하게도 단맛이 난다.
중국에서는 탕수육 등에 넣어서 감칠맛을 내는 재료로 사용한다.
또한 가자미·도미 등의 낚시에 미끼로 쓰인다.
== 여담 ==
[[나무위키]]의 악명 높은(?) 반달이 이 개불을 계정명으로 사용했고, 계속 개불과 [[서울특별시]] 관련 문서를 여러 차례 반달했다. <s>충꽁깽한</s> 내막을 알고 싶다면 {{나무위키|반달리즘(위키)/사례}}의 2.11번 문단을 참고하자.
{{각주}}
{{퍼온문서|개불||일부}}
[[분류:동물]]
* [http://whois.kr 한국인터넷진흥원 WHOIS 서비스]
* [http://whois.kr 한국인터넷진흥원 WHOIS 서비스]
* [http://wq.apnic.net/apnic-bin/whois.pl 아시아태평양네트워크정보센터 WHOIS 서비스]
* [http://wq.apnic.net/apnic-bin/whois.pl 아시아태평양네트워크정보센터 WHOIS 서비스]

2016년 2월 23일 (화) 22:11 판

인터넷에서 개인·기관을 특정할 수 있는 도메인, IP주소, AS번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한국에서는 한국인터넷진흥원이 국내 정보에 대한 쿼리를 제공하고 있으며, 진흥원을 경유해서 해외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단, 프록시 같이 많은 사람이 조회한 해외 IP는 상위 기관에서 차단을 걸어서 상위 WHOIS에서 직접 열람해야 한다.

WHOIS 뜯어보기

# KOREAN(UTF8)

조회하신 IPv4주소는 한국인터넷진흥원으로부터 아래의 관리대행자에게 할당되었으며
, 할당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네트워크 할당 정보 ]
IPv4주소  : 223.32.0.0 - 223.63.255.255 (/11)
서비스명  : SK-TELECOM-NET
기관명  : 에스케이텔레콤(주)
기관고유번호  : ORG110316
주소  :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65 (을지로2가)
우편번호  : 100-999
할당일자  : 20100818

--------------------------------------------------------------------------------

조회하신 IPv4주소는 위의 관리대행자로부터 아래의 사용자에게 할당되었으며, 할당 정
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네트워크 할당 정보 ]
IPv4주소  : 223.55.208.0 - 223.55.223.255 (/20)
네트워크 이름  : SKTelecom383
기관명  : 에스케이텔레콤
기관고유번호  : ORG883233
주소  : 서울 중구 을지로2가 SK텔레콤빌딩
우편번호  : 100-999
할당내역 등록일  : 20110309
공개여부  : N

  • 상단 : 한국인터넷진흥원의 할당 정보
    한국인터넷진흥원이 관리대행자에게 할당한 정보이다. 할당된 기관정보가 기재되어 있으며, 보통 ISP나 국가기관이 진흥원으로부터 IP를 할당받아간다. 할당한 사이더 대역(223.32.0.0/11)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위의 정보에 해당되는 223.32.0.0/11을 리브레 위키에서 차단하면, SK텔레콤 회선으로 위키를 이용할 수 없게 된다.
  • 하단 : 관리대항자의 할당 정보
    관리대행자가 할당받은 IP 대역을 쪼개 사용자에게 할당한 정보이다. IDC나 대기업이 따로 받아가는 경우가 많고, 개인은 ISP에서 일괄 관리한다. 본 정보의 사이더 대역인 223.55.208.0/20을 리브레 위키에서 차단한다면, 특정 지역에서 SK텔레콤 회선으로 위키를 이용할 수 없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