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 오브 워쉽/미국/항공모함: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실제 건조 순서와는 전혀 다르게 족보가 상당히 꼬여 있는데, 이는 함재기 탑재 숫자를 중심으로 티어를 나누었기 때문이다.
실제 건조 순서와는 전혀 다르게 족보가 상당히 꼬여 있는데, 이는 함재기 탑재 숫자를 중심으로 티어를 나누었기 때문이다.
 
전체적으로 일본 항공모함에게 발린다는 느낌. 일항모보다 편대 수가 딸리기 때문에, 전투기 세팅도, 공격기 세팅도 애매하다. 일본 전투기와의 동편대수 도그파이팅에서는 매우 유리하지만 고티어로 올라갈 수록 도그파이팅보다는 기총소사를 통한 치고빠지기가 대세가 되는지라...
전체적으로 일본 항공모함에게 발린다는 느낌. 일항모보다 편대 수가 딸리기 때문에, 전투기 세팅도, 공격기 세팅도 애매하기 그지 없다.
대신 중저티어에서의 개함방공능력이 뛰어나고, 고티어에서는 방공세팅을 맞추면 정신나간 방공의 쿠투조프조차도 우스워지는 방공성능을 가진다.


==USS LANGLEY CLASS (4티어)==
==USS LANGLEY CLASS (4티어)==
{{인용문|미 해군에서 활약한 첫 항공모함입니다. [[1920년]]도 초에 석탄선인 주피터(Jupiter)호를 개량한 함선으로 미군 함선 디자이너들이 차세대 항공모함을 위한 신규 기술 혁신안을 실험하는 기반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기원 때문에 이 함선은 괜찮은 항해 속도를 갖출 순 없었습니다. 또한, 건조 기간에 급강하 폭격기가 함대에 적용되기 전이었기 때문에 랭글리(Langley)호의 비행 대대는 전투 대대와 뇌격기로만 제한되어 구성되었습니다.| | |left}}
{{인용문|미 해군에서 활약한 첫 항공모함입니다. [[1920년]]도 초에 석탄 수송선인 주피터(Jupiter)호를 개량한 함선으로 미군 함선 디자이너들이 차세대 항공모함을 위한 신규 기술 혁신안을 실험하는 기반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기원 때문에 이 함선은 괜찮은 항해 속도를 갖출 순 없었습니다. 또한, 건조 기간에 급강하 폭격기가 함대에 적용되기 전이었기 때문에 랭글리(Langley)호의 비행 대대는 전투 대대와 뇌격기로만 제한되어 구성되었습니다.| | |left}}
: 미군 최초의 항공모함이며, 그 좋은 의미든 나쁜 의미든 이름값을 하는 성능을 자랑한다. {{ㅊ|주로 나쁜 의미로}}
: 미해군 최초의 항공모함이다. 기반이 기반인지라 기동성은 전함보다도 못하다. 아직은 편대수 차이가 그리 크지 않고, 한번에 많은 양의 어뢰를 투발할 수 있기 때문에 숙련되면 한번의 뇌격으로 적 항모를 격침시킬 수 있다.
==USS BOGUE CLASS (5티어)==
==USS BOGUE CLASS (5티어)==
{{인용문|호위 항공모함으로 Type C-3 화물선을 기반으로 건조된 함선입니다. 이 함선급 제작에는 많은 돈과 시간이 필요하진 않았기 때문에 함선 개발자들은 제2차 세계대전 동안 대규모의 함선 제작을 감행할 수 있었습니다. 보그(Bogue)호의 항해 속도와 무기 장비는 랭글리호보다 약간 나은 수준이었습니다. 보그호는 뇌격기를 처음 도입한 함선이며 적 함선에 큰 피해를 주는 건 물론이고 적의 습격에도 방어할 수 있었습니다. | | |left}}
{{인용문|호위 항공모함으로 Type C-3 화물선을 기반으로 건조된 함선입니다. 이 함선급 제작에는 많은 돈과 시간이 필요하진 않았기 때문에 함선 개발자들은 제2차 세계대전 동안 대규모의 함선 제작을 감행할 수 있었습니다. 보그(Bogue)호의 항해 속도와 무기 장비는 랭글리호보다 약간 나은 수준이었습니다. 보그호는 뇌격기를 처음 도입한 함선이며 적 함선에 큰 피해를 주는 건 물론이고 적의 습격에도 방어할 수 있었습니다. | | |left}}
:베타 빌드 0.3.1 버전을 기준으로 원래 6티어의 인디펜던스 급이 5티어에 있어야 하지만 6티어 사이판이 삭제되고, 인디펜던스 급이 올라가면서 새롭게 추가되었다.
:베타 빌드 0.3.1 버전을 기준으로 원래 6티어의 인디펜던스 급이 5티어에 있어야 하지만 6티어 사이판이 삭제되고, 인디펜던스 급이 올라가면서 새롭게 추가되었다.
: 5티어부터 함재기 편제 대공 편제와 대함 편제로 변경할 수 있으며, 대공 편제로 갈 경우 상대방에 매칭된 즈이호에게 지옥을 보여줄 수 있다. 어지간히 컨트롤을 잘 하지 않는 이상 즈이호의 전투기로는 절대 대공 편제 보그를 이길 수 없기 때문. 하지만 대공 편제의 경우 공격기는 급강하 폭격기 1개 편대뿐이고, 겨우 250파운드 폭탄이기 때문에 적함을 직접 격침시킬 수 있다는 생각은 버리는게 좋다. 딸피 처리나 화재 유발에 집중하도록 하자. 적 함재기를 전부 격추시켰다면 전투기를 놀리지 말고 보급을 마친 후 적 구축함을 찾아 탐지를 유지해주도록 하자.
==USS INDEPENDENCE CLASS (6티어)==
==USS INDEPENDENCE CLASS (6티어)==
{{인용문|[[1943년]] 가장 무거운 에식스(Essex)급 함선 건조까지 까마득했기 때문에 항공모함 함대를 강화하고자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함선이 추가 건조되었습니다.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1942년]]부터 [[1943년]]까지 인디펜던스(Independence )급 경항공모함으로 건조되었습니다. 이 함선급은 완성되지 않았던 클리블랜드(Cleveland) 순양함으로부터 재건조되었습니다. 일반적인 크기 때문에 인디펜던스급 함선은 근접전에는 적합하지 않은 단 2개의 다목적 함포를 장착했습니다. 하지만 이 함선급은 32노트의 빠른 항해 속도를 보유하였고 상당히 강력한 대공 방어를 갖췄습니다. | | |left}}
{{인용문|[[1943년]] 가장 무거운 에식스(Essex)급 함선 건조까지 까마득했기 때문에 항공모함 함대를 강화하고자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함선이 추가 건조되었습니다.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1942년]]부터 [[1943년]]까지 인디펜던스(Independence )급 경항공모함으로 건조되었습니다. 이 함선급은 완성되지 않았던 클리블랜드(Cleveland) 순양함으로부터 재건조되었습니다. 일반적인 크기 때문에 인디펜던스급 함선은 근접전에는 적합하지 않은 단 2개의 다목적 함포를 장착했습니다. 하지만 이 함선급은 32노트의 빠른 항해 속도를 보유하였고 상당히 강력한 대공 방어를 갖췄습니다. | | |left}}

2016년 2월 12일 (금) 15:40 판

실제 건조 순서와는 전혀 다르게 족보가 상당히 꼬여 있는데, 이는 함재기 탑재 숫자를 중심으로 티어를 나누었기 때문이다. 전체적으로 일본 항공모함에게 발린다는 느낌. 일항모보다 편대 수가 딸리기 때문에, 전투기 세팅도, 공격기 세팅도 애매하다. 일본 전투기와의 동편대수 도그파이팅에서는 매우 유리하지만 고티어로 올라갈 수록 도그파이팅보다는 기총소사를 통한 치고빠지기가 대세가 되는지라... 대신 중저티어에서의 개함방공능력이 뛰어나고, 고티어에서는 방공세팅을 맞추면 정신나간 방공의 쿠투조프조차도 우스워지는 방공성능을 가진다.

USS LANGLEY CLASS (4티어)

미 해군에서 활약한 첫 항공모함입니다. 1920년도 초에 석탄 수송선인 주피터(Jupiter)호를 개량한 함선으로 미군 함선 디자이너들이 차세대 항공모함을 위한 신규 기술 혁신안을 실험하는 기반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기원 때문에 이 함선은 괜찮은 항해 속도를 갖출 순 없었습니다. 또한, 건조 기간에 급강하 폭격기가 함대에 적용되기 전이었기 때문에 랭글리(Langley)호의 비행 대대는 전투 대대와 뇌격기로만 제한되어 구성되었습니다.
미해군 최초의 항공모함이다. 기반이 기반인지라 기동성은 전함보다도 못하다. 아직은 편대수 차이가 그리 크지 않고, 한번에 많은 양의 어뢰를 투발할 수 있기 때문에 숙련되면 한번의 뇌격으로 적 항모를 격침시킬 수 있다.

USS BOGUE CLASS (5티어)

호위 항공모함으로 Type C-3 화물선을 기반으로 건조된 함선입니다. 이 함선급 제작에는 많은 돈과 시간이 필요하진 않았기 때문에 함선 개발자들은 제2차 세계대전 동안 대규모의 함선 제작을 감행할 수 있었습니다. 보그(Bogue)호의 항해 속도와 무기 장비는 랭글리호보다 약간 나은 수준이었습니다. 보그호는 뇌격기를 처음 도입한 함선이며 적 함선에 큰 피해를 주는 건 물론이고 적의 습격에도 방어할 수 있었습니다.
베타 빌드 0.3.1 버전을 기준으로 원래 6티어의 인디펜던스 급이 5티어에 있어야 하지만 6티어 사이판이 삭제되고, 인디펜던스 급이 올라가면서 새롭게 추가되었다.
5티어부터 함재기 편제 대공 편제와 대함 편제로 변경할 수 있으며, 대공 편제로 갈 경우 상대방에 매칭된 즈이호에게 지옥을 보여줄 수 있다. 어지간히 컨트롤을 잘 하지 않는 이상 즈이호의 전투기로는 절대 대공 편제 보그를 이길 수 없기 때문. 하지만 대공 편제의 경우 공격기는 급강하 폭격기 1개 편대뿐이고, 겨우 250파운드 폭탄이기 때문에 적함을 직접 격침시킬 수 있다는 생각은 버리는게 좋다. 딸피 처리나 화재 유발에 집중하도록 하자. 적 함재기를 전부 격추시켰다면 전투기를 놀리지 말고 보급을 마친 후 적 구축함을 찾아 탐지를 유지해주도록 하자.

USS INDEPENDENCE CLASS (6티어)

1943년 가장 무거운 에식스(Essex)급 함선 건조까지 까마득했기 때문에 항공모함 함대를 강화하고자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함선이 추가 건조되었습니다.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1942년부터 1943년까지 인디펜던스(Independence )급 경항공모함으로 건조되었습니다. 이 함선급은 완성되지 않았던 클리블랜드(Cleveland) 순양함으로부터 재건조되었습니다. 일반적인 크기 때문에 인디펜던스급 함선은 근접전에는 적합하지 않은 단 2개의 다목적 함포를 장착했습니다. 하지만 이 함선급은 32노트의 빠른 항해 속도를 보유하였고 상당히 강력한 대공 방어를 갖췄습니다.
원래 5티어 함선이었지만 6티어 사이판이 삭제되면서 대신 그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다.

USS RANGER CLASS (7티어)

다른 함선 유형을 기초로 건조된 함선이 아닌 초기부터 항공모함으로 건조된 첫 미 해군 함선입니다. 워싱턴 해상 조약 사항에 따라 제한된 배수량을 만회하고자, 레인저(Ranger)호의 장갑은 현저히 약해졌습니다. 하지만 비행 대대의 수는 자매 선들의 비행 대대 수와 거의 비슷했습니다. 이 미국 항공모함은 굴뚝이 선루에 있지 않고 선체 후미에 있어 매우 특이한 외관을 갖추고 있습니다.

USS LEXINGTON CLASS (8티어)

워싱턴 해상 조약에 따라 조약에 서명한 국가들은 비용 절약 차원에서 건조 중인 전함이나 전투 순양함 2개를 항공모함으로 재건조할 권한이 있었습니다. 미 해군은 동급 전투 순양함을 재건조하여 렉싱턴(Lexington)급 함선으로 탈바꿈시켰습니다. 렉싱턴급 함선은 필요할 경우 근접전에서 적의 경량 함선을 피할 수 있도록 전신 함선에서 항공모함 기준에 따른 괜찮은 속도와 매우 적절한 장갑을 이어받았습니다. 강력한 대공 방어와 대규모 비행 대대로 대부분의 전투 상황에서 적 함선이나 항공기의 사격 범위 내 진입을 피할 수 있습니다.

USS ESSEX CLASS (9티어)

제2차 세계대전에서 활약한 가장 유명한 유형의 함선이자 해상 역사상 가장 대량으로 생산된 항공모함입니다. 항공모함 건조 상 14개월이라는 단독 함선 제작 기간 기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다음 세대 항공모함에까지 성공적으로 차용된 이 함선의 설계상 가장 괄목할만한 혁신은 측면 항공기 승강타로 비행갑판 공간을 절약하는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연구 계통도상 이 함선은 전신 함선과 달리 추가 비행 대대를 갖추고 있으나 측면 장갑이 약하여 함장인 플레이어가 함포 사격으로 적을 저지해야만 합니다.

USS MIDWAY CLASS (10티어)

처음이자 사실상 마지막 미군 함대의 계승선이었습니다. 영국 함선 디자이너들이 추천한 장갑 비행갑판을 장착하였으며 중급 폭격에도 함선을 보호할 수 있었습니다. 미드웨이(Midway) 항공모함은 월드 오브 워쉽에서 가장 거대한 비행 대대를 갖추고 있는 함선 중 하나로 괜찮은 순항 속도와 강력한 장갑으로 진정한 바다의 괴수로 군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