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남부선: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남|서)구 \(([^)]*)\) +[[\2 \1구))
(동해선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안내문|동해남부선은 2016년에 동해선으로 통합되었습니다. 노선 현황은 [[동해선]] 문서를 참고하세요.}}
#넘겨주기 [[동해선]]
{{철도 노선 정보
|노선이름 = 동해남부선
|원어이름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KR}}
|글자색  = white
|그림    =
|그림설명 =
|나라    = {{나라|대한민국}}
|종류    = [[일반철도]]([[간선철도|간선]])
|번호    = 211
|구간    = [[부산진역|부산진]] ~ [[포항역|포항]]
|영업거리 = 143.2 km
|역수    = 37개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개통일  = [[1918년]] [[10월 31일]]
|폐지일  = [[2016년]] [[12월 30일]] (노선 합병)
|경유노선 =
|궤간    = 1,435 mm ([[표준궤]])
|선로    = 2 (부산진 ~ [[범일역 (한국철도공사)|범일]]), 1 (범일 ~ 포항)
|전기    = [[교류]] 25 kV, 60 Hz 가공전차선 (부산진 ~ [[남문구역|남문구]])
|신호    = [[ATS]]
|차량기지 =
|비고    =
}}
 
'''동해남부선'''은 [[부산광역시]]의 [[부산진역]]에서 [[경상북도]] [[포항시]]의 [[포항역]]까지 연결되는 철도 노선이다. 하지만, 포항역이 이전되어 실질적인 종점은 [[효자역 (포항)|효자역]]이다.
 
== 역사 ==
=== 사철 경동선 시대 ===
동해남부선은 [[대구선]]과 함께 일제강점기에 조선중앙철도 주식회사의 [[경편철도]]에 뿌리가 닿아있다.1916년에 [[국유철도|국철]] [[경부선]] [[대구역]]을 기점으로 하여 동해안 포항을 지나 학산에 이르는 노선과, 도중 경주에서 분기하여 울산을 경유, 동래에 이르는 노선, 그리고 울산에서 장생포에 이르는 구간을 갖춘 131.9마일, 궤간 2피트 6인치(762mm [[협궤]]), 동력방식은 증기인 철도로 부설허가를 받은 것이 시초이다<ref>철도청(1999). "한국철도100년사". pp.443.</ref>. 다만 당시에는 동해남부선이 아닌, 조선중앙철도, 줄여서 중철 또는 중앙철도 등으로 불리웠다<ref>'중철궤도 확대'. 동아일보, 1920년 4월 9일 보도.</ref><ref>'중앙철도 양선 개통'.동아일보, 1921년 10월 30일 보도.</ref>
 
이 면허에 근거하여 대구선에 해당하는 구간이 1917년 2월에 기공되어 포항과 울산 방향으로 건설이 뻗어나갔다. 동해남부선에 해당하는 구간은 1918년 10월 31일에 경주 [[서악역|서악]]에서 분기하여 [[불국사역|불국사]]까지의 8.3마일 구간을 개통이 개통되면서 처음으로 철도가 놓이게 되었다. 이후 조선중앙철도에 의해서 면허 잔여구간인 불국사~울산 간의 18.7마일 구간은 1921년 10월 25일에 완공하였다. 당시엔 [[미터법]]이 사용되지 않아 마일로 거리를 표시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후 추가적인 건설은 이루어지지 않고 조선중앙철도는 조치원~청안 간의 [[충북선]]에 해당하는 구간의 공사에 진력하면서, 건설 면허를 부여받은 장생포나 동래 방향으로의 건설은 실현되지 못했다. 이후 1923년에 대합동으로 조선중앙철도를 포함한 사철 6개사가 [[조선철도 주식회사]]로 합병되면서 해당 노선은 '''경동선'''(慶東線)이라는 선명을 부여받았다. 이후 조선국유철도12년 계획에 의해 매수선으로 지정되어, 1928년 7월 1일에 총독부 철도국에 인수되었다.
 
=== 제2종관철도 동해선으로 ===
한편으로, 조선총독부는 조선철도12개년 계획을 수립하면서 원산(갈마)~부산(부산진) 간의 건설선으로 포함된 동해선에 해당하는 노선의 건설을 결정하였으며, 이에 따라 경동선 구간도 자연스럽게 그 대상에 포함이 되었다.
 
동해선은 [[경원선]] [[안변역|안변]]으로부터 동해안을 따라 남하하는 [[동해북부선]]과, [[부산진역]]으로부터 동해안을 따라 북상하는 경주까지의 남부선, 그리고 경동선 [[경주역|경주]]에서 [[양양역|양양]] 까지의 중부선으로 나누어 공사가 추진되었는데, 이중 경동선이 부설된 구간 중 경주 이남은 남부선에 편입되고, 경주 이북은 중부선에 포함되어 개궤를 포함한 건설 공사에 착수하게 되었다.
 
동해남부선의 공사는 1930년 7월 10일 부산진에서 부터 착수되었으며<ref>한국철도공사(2010). "철도주요연표". pp. 69.</ref>, 이와 같이 경동선의 해당구간들도 대구에서부터 개궤 공사가 진척되었다. 이후 1차로 [[해운대역|해운대]] 까지의 18.9km 구간이 1934년 7월 16일에 개통되어 처음으로 열차가 운행되었다. 이후, 점차 북상하여 1935년 12월 16일에 [[태화강역|구 울산역]]에 이르는 구간이 완공되었다. 이후 1937년 12월 1일에 경동선 개축구간이 완료됨으로서 경주까지의 전 구간, 그리고 동해중부선에 해당하는 학산까지의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이후 [[중일전쟁]] 및 [[제2차 세계대전]]의 개전으로 동해선 건설은 [[삼척선]] 등의 전쟁 수행상 필요한 노선 외엔 거의 진척되지 못하였다. 다만, 해륙연계 수송의 필요에 따라 적기부두<ref>현재의 우암부두</ref> 인입 기능을 하는 [[우암선]]은 전쟁 중에도 건설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 해방 이후 ===
동해남부선은 해방 이후 영업선으로 경주, 포항, 울산, 부산을 연결하는 노선으로서 운영되었다. 한국전쟁기에는 후방 병참노선으로서 부산 및 울산으로부터의 양륙물자를 전선으로 수송하는 기능을 담당하였으며, 이로 인해 수차례의 공비 습격을 받기도 하였다<ref>한국철도공사(2010). 전게서. pp. 109.</ref>. 이 군수물자 수송을 위해 [[울산항선]], [[장생포선]] 등이 건설, 정비되었다.
 
해방이후의 운행은 [[영천역|영천]]에서 부산 구간 내에서만 운전되는 것이어서 대구까지의 직결 운전을 경남도가 건의하기도 하는 등, 지금의 운영형태와는 차이가 있었다.<ref>'동해남부선의 열차증설건의'. 경향신문, 1963년 3월 26일.</ref> 그러나, 1970년 4월 1일에 단행된 열차시각 개정에서 관광객 지향의 동해선 순환열차가 투입되면서 서울로부터의 직결운행하는 [[특급열차]]가 처음으로 설정되게 되었다.<ref>'경전동해 2개순환열차'. 매일경제, 1970년 3월 26일.</ref> 
 
이후 1979년에는 관광객 유치목적으로 [[새마을호]]가 1왕복 설정되어 이후 이어지는 동해남부선 새마을호의 기원이 되었다.<ref>한국철도공사(2010). 전게서. pp.209</ref> 또한 동해남부선 구간에 관광용 [[증기기관차]] 열차가 설정되어 운행하기도 하였다.<ref>한국철도공사(2010). 전게서. pp.215</ref>
 
1992년 8월 20일에는 울산 신시가지 건설에 따라 동해남부선 울산 시내 구간이 대폭 이설되어 현재 선로로 전환되었다. <ref>한국철도공사(2010). 전게서. pp.266.</ref> 사업은 1987년에 착수되어 이루어졌으며, [[호계역]]에서 [[덕하역]]에 이르는 구간이 새로 변경되었다. 이로 인해 [[학성동]]에 위치한 울산역은 삼산동으로 이전하게 되었으며, [[달리신호장]], [[병영역]], [[야음역]]이 폐지되었다. 한편으로 [[효문역]], [[선암신호장]]이 새로 건설되었다. 이에 따라 [[달리신호장]]에서 분기하던 울산항선 및 동선 야음역에서 분기하던 장생포선이 새로 생긴 울산역에서 분기되는 형태로 정리되었다.<ref> 울산박물관. "새롭게 보는 울산 철도 100년". 리플렛.</ref>
 
===복선전철화===
1993년 [[경부고속철도]] 건설이 결정되면서, 동해남부선은 고속철도의 연계수송을 담당하는 노선으로 개량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따라 복선전철화가 구상되어 1997년에 그 계획이 확정되었다.<ref>'동해남부선 복선화계획 확정'. 경향신문, 1997년 5월 2일 보도.</ref> 다만 [[1997년 외환 위기|외환위기]] 등으로 인해 착수가 지연되어 기공은 2003년 8월 11일에서야 이루어지게 되었다.
 
우여곡절 끝에 건설이 진행되지만 썩 빠르게 진행되지는 못하였다. 이후 울산시 측에서 50km가 넘는 노선을 [[광역철도]]로 추진하는 것은 부당하다며 예산분담을 거부<ref>'동해남부선, 일반 철도로 전환되야'. 울산제일일보, 2010년 2월 24일자.[http://www.uj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43067]</ref>, 이후 부산시 등과 논의를 거쳐 [[일반철도]]로 전환 추진되면서 진행에 속도가 붙기 시작하였다.<ref>'부산~울산 동해남부선 일반철도로 전환'. 서울PN, 2011년 3월 31일 보도.</ref>
 
복선전철 공사의 부분개업이 목전에 이른 시점에, SR 개업과 관련한 철도 경쟁체제 도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적자선 논란이 번지면서 동해선 광역전철의 운영권 문제가 불거지게 되었다. 이에 국토교통부는 '철도산업발전방안'에 따라 [[경강선|성남~여주선]], [[서해선|소사~원시선]]과 함께 동해선 부전~일광 구간 운영권을 입찰제로 하기로 결정하였다<ref>'원주~강릉 철도 운영, 코레일이 맡는다'. 뉴스핌, 2013년 9월 12일 보도.[https://www.newspim.com/news/view/20130912000323]</ref>. 그러나, 현실적으로 일반열차와의 혼합운영을 하는데다 영업성이 좋지 못한 상황에서 제대로 경쟁입찰이 성립되지 않아서 철도공사 운영으로 결정된다. 이후 개통을 목전에 둔 상태에서 [[SR]] 분리 관련한 파업사태로 일정 지연이 발생하였으나, 이윽고 [[동해선 광역전철]]로 2016년 12월 30일에 개업하게 되었다.<ref>'부전~일광 동해선 복선전철 30일 개통'. 다이내믹 부산 제1760호, 2016년 12월 27일.[https://www.busan.go.kr/news/totalnews01/view?dataNo=57175]</ref>
 
===연혁===
* [[2000년]] [[11월 14일]]: 부산진 ~ 울산 구간을 [[광역철도]]로 지정<ref>건설교통부 고시 제2000-285호</ref>
* [[2011년]] [[12월 30일]]: 광역철도 지정 해제<ref>국토해양부 고시 제2011-833호</ref>
* [[2016년]] [[12월 30일]]: [[동해선]]으로 통합<ref>국토교통부 고시 제2016-224호</ref>
 
== 역 목록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 90%;"
|-
! km
! 역명
! 연계 노선
! colspan="2" | 소재지
|-
| style="text-align: right;" | 0.0
| [[부산진역|부산진]]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부산|1}} [[부산 도시철도 1호선|1호선]], [[경부선]], [[우암선]] (연결)
| rowspan="16" | {{세로|[[부산광역시]]}}
| [[부산 동구|동구]]
|-
| style="text-align: right;" | 2.1
| [[범일역 (한국철도공사)|범일]]
| style="text-align: left;" | [[가야선]] (연결)
| rowspan="2" | [[부산진구]]
|-
| style="text-align: right;" | 4.6
| [[부전역|부전]]
| style="text-align: left;" | [[부전선]] (연결)
|-
| style="text-align: right;" | 7.8
| [[거제해맞이역|거제]]
|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2" | [[연제구]]
|-
| style="text-align: right;" | 9.1
| [[남문구역|남문구]]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text-align: right;" | 10.6
| [[동래역 (한국철도공사)|동래]]
|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2" | [[동래구]]
|-
| style="text-align: right;" | 11.9
| [[안락역|안락]]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text-align: right;" | 13.6
| [[재송역|재송]]
|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5" | [[해운대구]]
|-
| style="text-align: right;" | 14.9
| [[센텀역|수영]]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text-align: right;" |
| [[우일역|우일]]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text-align: right;" | 20.8
| [[신해운대역|해운대]]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text-align: right;" | 23.7
| [[송정역 (부산)|송정]]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text-align: right;" | 30.3
| [[기장역|기장]]
|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4" | [[기장군]]
|-
| style="text-align: right;" | 33.3
| [[일광역|일광]]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text-align: right;" | 38.6
| [[좌천역 (한국철도공사)|좌천]]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text-align: right;" | 42.0
| [[월내역|월내]]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text-align: right;" | 44.9
| [[서생역|서생]]
|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7" | {{세로|[[울산광역시]]}}
| rowspan="3" | [[울주군]]
|-
| style="text-align: right;" | 53.4
| [[남창역|남창]]
| style="text-align: left;" | [[온산선]] (연결)
|-
| style="text-align: right;" | 62.7
| [[덕하역|덕하]]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text-align: right;" | 65.2
| [[선암신호장|선암]]
|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2" | [[울산 남구|남구]]
|-
| style="text-align: right;" | 70.0
| [[태화강역|태화강]]
| style="text-align: left;" | [[울산항선]], [[장생포선]] (연결)
|-
| style="text-align: right;" | 73.4
| [[효문역|효문]]
|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2" | [[울산 북구|북구]]
|-
| style="text-align: right;" | 79.6
| [[호계역|호계]]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text-align: right;" | 86.8
| [[모화역|모화]]
|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14" | {{세로|[[경상북도]]}}
| rowspan="12" | [[경주시]]
|-
| style="text-align: right;" | 90.7
| [[입실역|입실]]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text-align: right;" | 94.6
| [[죽동역|죽동]]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text-align: right;" | 98.7
| [[불국사역|불국사]]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text-align: right;" | 103.2
| [[동방역|동방]]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text-align: right;" | 109.7
| [[경주역|경주]]
| style="text-align: left;" | [[중앙선]] (연결)
|-
| style="text-align: right;" | 114.8
| [[나원역|나원]]
| style="text-align: left;" | [[금장삼각선]] (연결)
|-
| style="text-align: right;" | 118.5
| [[청령역|청령]]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text-align: right;" | 121.2
| [[사방역|사방]]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text-align: right;" | 127.0
| [[안강역|안강]]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text-align: right;" | 129.9
| [[양자동역|양자동]]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text-align: right;" | 132.8
| [[부조역|부조]]
| style="text-align: left;" | [[동해선]] (연결)
|-
| style="text-align: right;" | 139.2
| [[효자역 (포항)|효자]]
| style="text-align: left;" | [[괴동선]] (연결)
| rowspan="2" | [[포항시]]
|-
| style="text-align: right;" | <del>143.2</del>
| <del>[[포항역|포항]]</del><ref>효자부터 포항 구간은 폐선 상태이다. 철도거리표에는 반영이 되지 않았다.</ref>
| style="text-align: left;" |
|-
|}
 
{{주석}}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분류:폐지된 철도 노선]]
[[분류:동해선|*]]

2024년 1월 16일 (화) 18:56 기준 최신판

넘겨줄 대상: